0 1 2 7

테라코타

테라코타 terra-cotta(이)

‘구운 흙’이라는 뜻의 이탈리아어. 구우면 단단해지고 치밀해지는 점토의 성질을 이용해서 만든 여러 가지 형상의 조각*이나 건축 장식용 제품. 여러 색깔과 특성을 지닌 점토를 이용하거나 또는 화학 약품의 사용, 구워내기 방법 등을 이용해 다양한 색채의 제품을 만들 수 있다. 진흙으로 입체적인 표현을 하는 것은 이미 선사시대부터 이용되었으므로 테라코타 조각의 역사는 신석기시대의 도기 제작 기술이 발견되었던 시기까지 소급된다. 이집트, 고대 크레타 문명(→‘에게 미술’ 참조), 콜럼버스 이전의 남미, 동방 문화에서도 석기시대부터 전해오는 많은 테라코타로 된 소형의 조각상들이 있다. 중국 당唐에는 테라코타로 단색 또는 여러 색깔을 칠한 용*(俑)을 부장(副葬)하는 풍습이 크게 유행하였다.
한편 중세 독일 북부 등 돌이 부족한 평원지대에서는 건물을 지을 때 테라코타 벽돌을 사용했다. 이렇게 테라코타는 건축용으로는 많이 쓰였으나, 조각용으로는 제한적으로 사용되었고, 르네상스* 시대에는 유약*과 채색으로 아름다움과 내구성을 더한 테라코타가 조상, 장식판, 무덤, 벽장식 등의 값비싼 대리석이나 청동의 대용으로 애용되었다.
점토로 상을 만들 때, 작은 물건일 경우는 속까지 전부 점토로 채우지만, 큰 작품의 경우에는 작은 물건을 만들 때처럼 점토로 전체를 만든 후 점토가 반쯤 말랐을 때, 여러 부분으로 조각내어 속을 파낸 후 진흙물을 발라 다시 짜맞추거나, 고리 또는 소용돌이 모양으로 감아올리는 방법을 사용한다. 또 여러 개의 복제품을 만들 경우에는 석고나 테라코타 등으로 틀을 만들어 찍어낸 후 가마에 굽는 방법을 취한다. 색깔을 넣고자 할 때는 형을 만들 때, 또는 만든 후 색깔을 넣은 진흙물을 바르며, 광택을 원하는 경우에는 가마에서 구워낸 후 유약을 칠하고 다시 굽는다. 유약칠을 하면 기후에 견디는 힘이 더 강해져 테라코타를 건축 장식물에 사용하기가 더욱 유용해진다.
20세기에 들어와서 테라코타는 프랑스의 마이욜Aristide Maillol(1861~1944) 등 현대 조각가들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권진규權鎭圭가 훌륭한 작품을 선보였다. 또 건축장식으로서도 테라코타는 각광을 받고 있다.

테레빈유

테레빈유 oil of terebinth(영)

유화* 재료. 침엽수와 특수한 종류의 소나무 수액을 정류하여 만든, 유화용 물감을 녹이는 기름. 무색의 액체인데, 특이한 냄새가 나며 공기 속에 방치하면 산화하여 수액 상태가 되므로 과도하게 쓰면 화면에 변색, 퇴색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

테크놀로지 아트

테크놀로지 아트 Technology Art(영)

1970년대에 들어서 본격적으로 시도되고 있는 미술 동향으로 키네틱 아트*에서 발전한 것. 따라서 키네틱 아트와 명확한 구분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엄밀하게 말하면 키네틱 아트가 1970년대의 상황에 맞게 변모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키네틱 아트로서 대표되던 기술과 예술의 결합은 1960년대 미국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전개되었으나, 1970년대 초 석유파동과 불황, 환경보호운동의 여파로 급격히 퇴조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테크놀로지 아트는 단순한 1960년대 키네틱 아트의 부활이 아닌 새로운 모습을 보이고 있다. 기술적으로 복잡한 것을 추구했던 키네틱 아트에 비해 테크놀로지 아트는 단순하고 안정된 것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하며 대중이 이해하기 쉬운 작품들을 많이 제작하였다. 1978년 1~7월까지 미국 앨라배마 주의 헌츠빌 미술관에서 개최된 <우주시대의 예술전>, 1978년 9월 로체스터 대학 부설 메모리얼 미술관에서 개최된 <예술의 에너지전>에서는 제2세대의 작가들이 대거 참여했다.
테크놀로지 아트의 특성상, 그것의 취급이나 보급에 대한 문제점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현대인의 의식 환경 속에 과학 기술이 보다 깊이 침투되어 있으므로 예술과 테크놀로지의 접촉 및 그들의 적극적인 공존을 지향한 작품들이 증가하는 것은 필연적인 추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