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환경미술

환경미술 環境美術
Environment Art(영)

작품을 그 자체로서 완결된 것이라 생각지 않고 언제나 그 주변 환경과의 관계를 고려하는 경향. 현대의 새로운 작품은 새로운 수법의 전시 형태를 요구한다. 따라서 작품과 관람자와의 전체적인 교류를 의도하여, 보는 사람의 주위를 작품(회화*, 조각*, 오브제* 등)으로 둘러싸고, 때로는 소리, 빛 따위도 가해서 독특하게 꾸민 환경을 말한다. 이런 관점에서 볼때, 다다이스트( →‘다다’ 참조)인 슈비터즈Kurt Schwitters(1887~1948)의 작품인 <메르츠바우*Mertzbau>나 초현실주의*의 대규모적인 전시회도 환경미술에 속한다.
그러나 환경미술이 본격적으로 시도된 곳은 미국으로 그 기원은 이미 추상표현주의*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경향의 작품들은 대형화되어, 관람자는 색깔을 바라보기보다는 그것에 압도되어 ‘경험’하기 시작한다. 말하자면 관람자는 뉴만Barnett Newman(1905~1970)이나 로스코Mark Rothko(1903~1970)의 거대한 화면에 둘러싸인다는 느낌을 갖게 되었다. 같은 무렵에 건축가 키슬러Fredrick Kiesler(1890~1965)는 회화, 조각, 건축을 결합시키는 작업을 했고, 네벨슨Louise Nevelson(1899~1988)은 조각을 벽 전체로 확대시켰으며, 허버트 퍼버Herbert Ferber는 ‘조각의 방’이란 새로운 개념을 만들어냈다.
1950년대 말 몇몇 젊은 작가들은 연극적인 이벤트와 해프닝*으로 눈을 돌렸다. 이런 것들은 모두 환경미술에서 발전한 형식으로 그 연원은 폴록Jackson Pollock(1912~1956)의 액션 페인팅*에서 찾을 수 있다. 그들은 살아 있는 환경 속에 실제의 인간과 실제의 대상물을 결합시킴으로써 해프닝을 개인주의적이고 고립적인 미술 작품으로보다는 전면적인 예술 환경을 새롭게 강조하는 경향으로 유도했다.
이와 같은 새로운 예술관이 잘 나타난 것은 올덴버그Claes Oldenburg(1929~ )의 <상점>이다. 그는 예술과 생활의 총체를 이끌어내기 위해 실제로 상점을 구입, 거기에서 작품을 제작, 상품도 진열해 놓고 판매했다. 그는 또한 거대한 기둥을 이용해서 여러 차례 퍼포먼스*를 보여주기도 했다. 1960년대 중반부터 이 경향의 작가들은 화랑의 전시로부터 순수한 환경으로 방향전환을 하기 시작했다. 안드레Carl Andre(1935~ )는 내화벽돌로 마루를 깔고, 스미스Tony Smith(1912~1980)는 거대한 공간 구조의 조각으로 건축학적인 환경을 창조해서 전시했다. 이러한 환경미술은 결과적으로 삼차원적인 형태와 거대한 규모, 그리고 건축과 풍경에 대한 새로운 공감에의 관심을 부활시켜 주었다. 그리하여 대지미술*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개념미술*이 탄생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환두대도

환두대도 環頭大刀

손잡이의 머리부분이 고리모양인 칼로 원삼국시대의 고분에서도 출토되나 삼국시대의 고분에서 주로 나온다. 그 종류로는 고리 안에 아무런 장식이 없는 민고리자루칼, 고리안에 세 잎의 잎사귀가 장식된 세잎고리자루칼, 용, 봉황이 표현된 용봉고리자루칼, C자형의 고리를 반원형으로 연결한 세겹고리자루칼 등이 있다. 세겹고리자루칼이나 용봉고리자루칼은 왕족에게만 부장이 허락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환상미술

환상미술 幻想美術 irrealistic art(영) art fantastique(프) phantastische Kunst(독)

상상적 환상적 세계를 표현한 미술. 사실주의* 미술에 대립되는 개념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구상, 추상미술*과 대비되는 경우도 있다. 경험적, 합리적인 자연관 및 그 표현 기법에 대립하는 제재, 기법, 예술관에 의해 성립된 미술을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제재면에서는 신화적 괴물류, 종교적 환상, 몽상적 세계를 표현하고, 기법적으로는 비사실주의적 형태, 색채 등을 주로 사용한다. 서양 중세의 묵시록*적 환상의 표현, 보슈Hieronymus Bosch(c.1450~1516), 블레이크William Blake(1757~1827), 르동Odilon Redon(1840~1916) 등과 중국 명말청초(明末淸初)의 오빈吳彬(우 삔), 공현龔賢(꽁 시앤) 등이 대표적이다.

환상적 사실주의

환상적 사실주의 幻想的寫實主義
Fantastic Realism(영)

→ 비엔나 환상파

환원주의

환원주의 還元主義 Reductionism(영)

근대 이래로 미술은 점차 재현성, 즉 어떤 이야기나 현상을 담아서 사실적이고 서술적인 내용을 보여주는 특성을 상실해 갔다. 그러면서 미술 자체의 순수하고 심오한 형식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이와 같은 미술의 형식화를 환원주의라고 한다. 형식주의 미술, 특히 추상표현주의*나 미니멀 아트* 등 모더니스트 아트는 환원주의에 근간을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