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노르만 양식

노르만 양식 Norman Style(영)

노르만은 원래 ‘북방인’이라는 뜻. 8세기말부터 스칸디나비아 방면에서 해상으로 남하한 바이킹에 서구 사람들이 붙인 이름. 노르만 양식이라는 용어는 미술사상 다음 세경우에 사용된다. ①노르만인이 911년 서북 프랑스에 정착한 이후(노르망디 공국), 11세기 이후에 전개된 로마네스크 미술*의 한 양식. 주미에주의 노틀담 성당을 전형으로 하는 건축에 그 특색이 있고, 특히 계상랑(階上廊)과 높은 창을 갖는 삼층 구조, 목조 천장을 받치는 격벽(隔璧)과 아치* 등이 주목된다. ②노르망디 공의 잉글랜드 정복(1066)과 함께 노르만 양식이 브리튼 섬으로 건너가서 발전한 양식으로 앵글로 노르만 양식이라고도 한다. 그 전형의 하나인 다람 대성당은 주미에주의 흐름을 계승하며 일찍이(1104년 이전) 교차 늑재 궁륭*을 실현했다. ③일부 노르만 인이 더욱 남하하여 지중해의 시칠리아 섬에 정착하고 11세기 이후 시칠리아 왕 로게리우스 2세 시대에 팔레르모를 중심으로 최전성기에 이른 미술 양식으로, 비잔틴과 이슬람 미술의 접촉으로 이룬 건축 장식 양식에 특색이 있고, 몬레아레 대성당이 대표적이다.

노홍초당도

노홍초당도 盧鴻草堂圖

고사(高士) 산수화*의 한 화제(畵題). 노홍盧鴻(루 홍)은 당唐나라 때에 숭산嵩山에 은거했던 고사이다. 이름을 ‘홍일鴻一’이라고도 한다. 개원 연간(713~141)에 여러 번 황제에게 부름을 받았으나 나아가지 않고, 숭산에 영극寧極이라는 초당을 지어 은일했다. 그는 박학하고 서화에 능하였다고 한다. 그림은 산수와 수석(樹石)에 뛰어났는데, 평원(平遠)의 아취가 있고 청아한 기운이 있다 하여 왕유王維(우앙 웨이, 699~759)와 비견되었다. 숭산의 초당은 관영(官營)으로 5백명의 학자들이 모여 있었는데, 그 초당의 모습을 스스로 그린 것에서 비롯되었다. 그림은 <초당십지도草堂十志圖>라 하여 작은 초가집에 개울을 그리고 한두 사람의 인물이나 자연의 정경을 그리는 것으로 구성된다. 초당, 도경대(倒景台), 월관(樾館), 침연정(枕煙庭), 운금종(雲錦淙), 사선등(斯仙磴), 척번기(滌煩磯), 멱취정(冪翠庭), 동원실(洞元室), 금벽담(金碧潭) 등 10경으로 되어 있다. 모사본이 대북臺北 고궁박물원과 오사카大阪 시립 미술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