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안견파

안견파 安堅派

안견安堅 및 그의 화풍을 추종하는 화가들로 형성된 조선 초기의 대표적인 화파. 이 화파는 중국 북송北宋 및 원대(元代)의 이곽파*李郭派 화풍을 토대로 하면서도, 산만한 듯 조화를 이루는 경물(景物)들간의 구성과 약간 치우치거나 대칭으로 배치된 구도, 확대지향적인 공간개념 및 흑백의 대비가 두드러지는 필묵법(筆墨法)과 단선점준*(短線點皴) 등 조선적(朝鮮的)인 특징을 짙게 보여주고 있다. 일본 덴리대학天理大學에 소장된 안견의 〈몽유도원도夢遊桃園圖〉와 그의 작품으로 전해지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사시팔경도四時八景圖〉 〈소상팔경도瀟湘八景圖〉에서 그의 이러한 특징적인 화풍을 잘 느낄 수 있다.
안견파 화가로는 안견 외에도 양팽손梁彭孫(1480~1545)과 신사임당申師任堂(1504~1551), 조선중기의 김시金禔(1524~1593), 이정근李正根(1532~?), 이흥효李興孝(1537~1593), 이징李澄(1591~?), 이정李楨 등이 있으며 그 밖에 각종 계회도*(契會圖)나 행사도에도 안견파의 영향이 뚜렷하여 조선초기에서 중기까지 오랜 기간에 걸쳐 직업화가들과 사대부 출신 화가들에게 크게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일본의 무로마치수묵화*(室町水墨畵)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조선 중기에 이르러서는 새로이 유행하게 된 절파*浙派 화풍과 혼합되면서 점차 쇠퇴하였다.

안다

안다 anda(범)

‘알’이라는 뜻으로 불교 스투파*의 반구형 돔*을 가리킨다. 안다는 천상의 돔을 형상화한 것인데, 동아시아에서는 사발을 엎어 놓은 모양이라는 뜻으로 ‘복발(覆鉢)’이라고 부른다.

→ ‘스투파’ 참조

안드라시대 미술

안드라시대 미술 Āndhra Period Art(영)

마우리야* 왕조의 아쇼카왕Aśoka이 사망하자 중인도와 남인도에서는 드라비다 계통의 새로운 왕조가 들어섰는데, 이를 안드라(또는 사타바하나Śātavahana) 왕조라고 부른다. 안드라 왕조는 기원전 32년부터 서기 50년까지를 전기 안드라 시대, 서기 50~320년 사이를 후기 안드라 시대로 흔히 나눌 수있다.
안드라의 강역(江域)은 동으로는 마드라스 위쪽의 키스트나강Kistna부터, 서로는 데칸 고원 북서부의 나식Nāsik에 이르렀다. 안드라는 해상 교통이 발달하여 동서 해안에 있는 항구들은 이미 서기 1세기에 로마 제국과 무역을 하고 있었다. 산치* 제1탑(대탑)의 네 문(토라나*)에 새겨진 조각*들이 전기 안드라 시대인 서기 1세기 초반에 제작되었다. 조각의 주제는 본생담*(本生譚)과 불전도*(佛傳圖)가 대부분이다. 그런데 각각의 문에 새겨진 조각들은 기진자(寄進者)들이 원하는 장소에 원하는 주제들을 새겨서인지 도상*(圖像)적인 통일성은 없다.
후기 안드라 시대의 미술은 키스타나 강 유역에 세워진 간타살라Ghantāśāla, 나가르주나콘다Nāgārjunakonda, 골리Goli, 굼마디디루Gummadidirru 등의 스투파*와 승원지(僧院地)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아마라바티*의 대탑이다. 4세기 초 안드라 왕조의 멸망과 더불어 불교 미술*도 쇠퇴했지만 안드라의 불교 미술은 스리랑카*를 비롯한 인도네시아*, 미얀마* 등 동남아시아*의 불교 조각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안드로노포 문화

안드로노포 문화 Andronovo

기원전 2000년대에 시베리아, 카자흐스탄, 중앙 아시아 북부의 넓은 지역에 분포했던 청동기 문화. 명칭은 서 시베리아 아친스크 부근의 안드로노포 마을에서 유래한 것이며, 카자흐스탄 동부 지역이 중심지였다. 청동제 무기와 도구, 주발 등이 다수 출토되었으나, 동물의장(動物意匠)은 보이지 않았다.

안료

안료 顔料 pigment(영)

물과 같은 매재(媒材)에 용해되지 않고, 혼합되어 물감이 되는 분말. 천연 재료로는 광물성, 식물성, 동물성 안료가 있고, 인공적인 화학제도 있다. 은폐력(隱蔽力)이 크고 빛을 받아도 변하지 않는 것이 이상적인데, 광물성인 무기 안료는 이러한 점에서 우수하나 유기 안료는 퇴색하기 쉽다. 매재의 차이에 따라 수채화용, 유화용, 파스텔 등으로 나뉜다.

안휘파

안휘파 安徽派

중국의 홍인弘仁(훙 르언)을 대표로 하는 중국 안휘성安徽省 출신의 청초(淸初) 산수화파. 중국에서는 ‘휘파徽派’라고도 부른다. 이들 중 대표적인 홍인, 사사표査士標(츠아 스퍄오), 왕지서汪之瑞(우앙 즈르웨이), 손일孫逸(쑨 이)은 출신지의 옛이름을 따서 따로이 신안화파新安畵派, 혹은 해양사가(海陽四家)라고도 한다. 안휘파에는 그 밖에도 무호蕪湖의 소운종蕭雲從(샤오 윈츠옹), 선성宣城의 매청梅淸(메이 칭), 매경梅庚(메이 껑) 및 대본효戴本孝(따이 번샤오) 등이 포함된다.

→ ‘신안화파’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