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성가퀴

성가퀴

성벽 위에 설치한 높이가 낮은 담. 몸을 숨기고 적을 쏠 수 있도록 만든 시설로 성첩, 여장, 치첩 등이 있다.

성무일과서

성무일과서 聖務日課書
breviary(영)

나날의 봉헌을 위해 필요한 찬송가 및 전례문과 기도를 담은 책. 중세 시대에 성직자들이 성무공과(수도사들이 매일 올리는 7회에 걸친 기도 시간으로 조과 matin, 1시과 prime, 3시과 terce, 6시과 sext, 9시과 nones, 종과 complin이라고 부른다)를 행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가장 초기의 것은 11세기에 나타났으며, 삽화가 그려지는 경우가 많으며 상당히 세심하게 제작되었다.

성물안치실

성물안치실 聖物安置室 sacristy(영) sacristie(프)

기독교 성당의 본 제단에 부속된 작은 방으로 예배에 필요한 제구(祭具)와 제의(祭衣)를 보관한다. 중세까지는 성직자와 성가대를 위한 장소인 성단소와 완전히 분리되어 있었으나, 16세기 이후 규모가 확대되어 성단소와 직접 연결되는 주요한 부분이 되었다. ‘제구실(祭具室)’이라고도 한다.

성사

성사 聖事 sacrament(영)

그리스도에 의해 은혜를 받기 위한 방법. 로마 가톨릭에서는 비적(秘蹟), 그리스 정교에서는 ‘기밀(機密)’이라 부르며 일곱개의 성사(성세, 견진, 성체, 고해, 신품, 병자, 혼인)가 있다. 프로테스탄트에서는 성례전이라 불리는 세례와 성찬의 두 성사가 있다.

성상파괴주의

성상파괴주의 聖象破壞主義
iconoclasm(영)

종교적인 이유에서 종교적인 우상이나 형상을 파괴하는 것. 보다 넓게는 동기와 상관없이 이미지의 재현*을 억제한다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성상파괴주의에 관한 연구는 종교적 교리와 관련해서 자연과 형상의 가치에 관한 논의들을 낳았다. 성상 파괴에 관한 역사적으로 특별한 논쟁은 로마 교황과 비잔틴의 대립 가운데에서 비롯되었다. 8세기초 콘스탄티노플을 공격한 아랍군을 격퇴한 이사우리아조의 황제 레오 3세는 726년에 로마와 이탈리아의 일부를 포함한 제국 전역에서 성상 숭배를 금지하고 그 파괴 및 몰수를 명했다.
단지 종교뿐 아니라 정치, 사회, 경제, 윤리 등 문화 전반과 관련된 이 조치는 동방의 그리스도 교도의 우상 숭배 경향을 근절시킴과 동시에 포교의 편의상 전통적으로 성상 숭배에 호의적이었던 수도사의 정치적 영향력을 억제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그러나 교황 그레고리우스 2세와 이탈리아내 비잔틴 속주민은 이에 강하게 반발하면서 그리스도의 신성에 대한 유형의 표현으로서 신성한 것을 숭배하는 것은 정당하다고 주장하였다. 성상을 수호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전통에 호소하고, 특히 거칠고 무지한 대중을 기독교에 접근시키기 위한 유일하고 효과적인 수단임을 강조하였다.
성상 파괴 논쟁은 테오도라가 레오 3세와 그의 후계자들의 성상 파괴 행위를 무효화시키고 그리스 정교(正敎)를 부흥하려고 한 843년까지 계속되었다. 성상 파괴 논쟁을 하나의 계기로 비잔틴 제국은 로마, 게르만 세계로부터 점차 더 분리되어 그리스, 아시아적인 국가로 변해갔다.
격렬하던 분쟁은 여제 이레네에 의해 중단되어 787~813년에는 비교적 평화로운 시기가 지속되었으나, 이후의 국면에서는 정치적인 의미가 강화되었다. 즉 교권(敎權)과 속권(俗權)에 대한 견해 차이는 오랫동안 지속되어 온 로마 교황과 비잔틴 황제의 관계를 단절시켰고, 교황을 프랑크 왕국과 긴밀한 관계를 맺도록 한 것이다. 결국 1054년에 비잔틴 교회와 로마 교회는 결정적으로 분리되었다.

성소

성소 聖所 sanctuarium(라) sanctuary(영) sanctuaire(프)

①신의 숭배에만 이용되는 건물 또는 장소, 신전, 신역 등. ②신전 내의 특히 성스러운 장소. 고대 신전의 나오스 또는 케라, 아듀톤(제사(祭司)가 신탁을 받는 장소) 등을 안치하는 지성소. ③기독교 성당의 내진*에서 주제단이 있는 부분. 서구의 성당에서는 프레스비테리움(presbyterium)과 성가대석은 구별된다. 그러나 프레스비테리움은 주제단에 가깝게 배치되어 성소와 일체화되기 때문에 양자는 같은 뜻으로 사용되는 수가 많다. 독일, 프랑스의 성당에서는 성가대석과 공간적으로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내진의 의미로도 쓰이며 성당 전체를 뜻하기도 한다.

성장

성장 聖障 iconostasis(영)

비잔틴과 러시아 정교 교회에서 성당 전체 건물과 성당내 가장 신성한 장소를 분리시키는 경계막. 규율에 따라 성화상을 장식한다.

성형 궁륭

성형 궁륭 星形 穹窿
stellar vault(영)

궁륭*의 한 종류. 영국의 웨스트 민스터 성당 등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천장 부분에 장식 늑골*이 꽃과 같이 펼쳐져 교차하는 궁륭이다.

→ ‘궁륭’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