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당삼채

당삼채 唐三彩 tang-san-cai(중)

중국 당唐나라 때 세가지 색깔의 유약으로 장식된 도자. 한대(漢代) 이래로 묘에 부장한 명기*(明器)류는 유약을 씌우지 않은 회도에 채색을 한 것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당대(唐代)에는 백토로 분장한 후 녹색, 갈색, 백색, 황색, 남색 등의 저화도 유약(鉛釉)으로 명기를 채색하기 시작했다. 당시 귀족들 사이에 유행한 후장의 풍속과 함께 발달한 것으로, 800~900도에서 굽는 연질 도자로서 실용성은 없다. 700년을 전후해서 약 50년 사이에 만들어졌고 756년 안록산의 난(亂) 무렵에 사라진다.
당삼채는 주로 장안長安과 낙양洛陽 부근에서만 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화도 유약에 포함된 코발트 블루는 푸른색, 철 성분은 황갈색과 갈색, 구리는 녹색, 중성유는 백색과 탁색을 발한다. 도용(陶俑)이나 명기용(明器用) 그릇으로 사용되었는데, 당시 귀족들의 호화로운 생활과 서방문물의 영향을 잘 보여준다. 복잡한 고도의 기교를 사용하고 있어서 당시 저화도 유약의 눈부신 발달을 보여주는 한편, 일본의 나라삼채奈良三彩, 발해삼채渤海三彩, 요송삼채遼宋三彩에 큰 영향을 미쳤다.

당초문

당초문 唐草文
tang-chao-wen(중) rinceau(영)

식물 덩굴의 줄기가 이루는 물결 모양이 꽃과 잎, 열매 등을 에워싸면서 말리고 반전하며 연장된 문양으로, 주로 가늘고 긴 공간을 메우는데 사용된다. 본래 ‘당초’는 당풍(唐風) 또는 이국풍의 덩굴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고대 이집트의 로터스, 아시리아의 팔메트* 등을 리드미컬한 덩굴 줄기로 연결해나간 기원전 6세기 그리스의 팔메트 당초문에서 비롯되었다.
중국에서는 고유의 C자형에 기초한 동물계당초문(動物界唐草文, 龍唐草, 龍紋系唐草)과 서방에서 전래된 식물계당초문(植物界唐草文)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엄밀하게는 당초문이 식물계 모티브에 기반한 것이므로 식물계당초문에 국한시켜야 할 것이다. 서방의 당초문이 중앙 아시아를 거쳐서 중국에 들어온 것은 육조(六朝)시대의 일이다. 북제北齊~수당隋唐시대에 걸쳐서 화문(花文)과 포도, 석류 등의 과일이 부가되고 채색이 다채로워졌다. 당초문은 각 나라의 독자적 문화와 결합하여 풍부하게 변화, 발전해온 다국적 문양으로, 사산조 페르시아의 은기(銀器), 염직, 이슬람 도기 등 세계 각지의 공예품과 건축의 장식에 널리 사용되었다.

당회

당회 唐繪

→ 가라에

대각체

대각체 臺閣體

→ 관각체

대공

대공 臺工

목조 건물의 대들보 위에 설치되어 중종보나 마루보, 도리*(道里) 등을 받치는 짧은 기둥. 형태와 형식에 따라 동자대공(童子臺工), 접시대공, 화반대공(花盤臺工), 포대공(包臺工), 판대공(板臺工), 인자형대공(人字形臺工)으로 구별된다.

대구

대구 帶鉤 dai-gou(중)

고대 유목 기마민족의 복식용 혁대를 매는 데 사용한 갈고리로, 중국의 춘추(春秋)시대 중기~말기에 중원지역에 전해져 위진남북조 시기에 이르기까지 사용되었다. 재료는 청동이 많고 철, 연옥으로 된 것도 있다. 초기형식은 소형으로 주조*된 부조*의 훼룡문*(虺龍文)이 드러난 것이 있으며 하남성, 산서성, 안휘성에서 발견되었다.
성행기에는 형태가 점차 둥글고 길어지며 대구의 머리가 여러 동물의 모습으로 표현된다. 갈고리는 항상 운문(雲文)과 와문(渦文)으로 장식되었다. 때로는 금, 은 또는 옥석 등의 상감*(象嵌) 및 도금(鍍金)으로 문양을 두드러지게 했다. 크기는 일반적으로 10cm 정도로, 긴 것은 50cm에서 짧은 것은 2cm 짜리도 있다.
한대(漢代)에서는 화려한 장식은 사라지고 실질적인 형태로 바뀌었다. 갈고리를 제외하고는 혁대 바깥쪽에 드러나 칼을 차고 경낭(鏡囊)과 인장*(印章), 전폐(錢幣) 등의 물품을 걸 때도 사용되었다. 낙랑의 평양 석암리 9호분에서 출토된 타출(打出)과 누금(鏤金), 상감기법으로 세공된 금제대구가 유명하다.

대기원근법

대기원근법 大氣遠近法
aerial perspective(영)

눈과 대상 간의 공기층이나 빛의 작용 때문에 생기는 대상의 색채 및 윤곽의 변화를 포착하여 거리감을 표현하는 기법. 선을 이용하여 깊이와 회화 공간을 표현하는 선 원근법*과 비교된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Leonardo da Vinci(1452~1519)는 색채로, 흡사 대기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면서 색채들의 단계적인 변화를 통하여 회화의 깊이감을 산출해내는 방법을 ‘대기 원근법’이라고 이름하였다.
다 빈치는 대기원근법을 선 원근법과 연결시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색채가 흐려지거나 상실되는 것은 그것을 바라보는 거리에 비례한다. 그러나 이는 동일한 고도에서 색채를 보는 경우에 한한다. 고도가 다를 경우, 이러한 규칙은 적용되지 않는데, 이는 공기의 밀도가 다르면 공기가 색채를 흡수하는 정도도 다르기 때문이다”. 대기 원근법은 이미 폼페이 벽화에서도 사용된 바 있다. 또 10세기에 중국화에서도 대기 원근법에 대한 해석이 나타나는데, 송宋의 산수화*에서 가장 발달하였다.
유럽에서 대기 원근법은 1000년 동안 중단되었다가 15세기초 플랑드르 화가들에 의해 재발견되었다. 대기 원근법은 루벤스Pieter Paul Rubens(1577~1640)의 치밀하게 계획된 풍경화, 터너William Turner(1775~1851)의 작품들에서 무한대로 확장되는 공간감을 부여하는 역할을 훌륭하게 보여주고 있다.

→ ‘선 원근법’ ‘왜곡 원근법’ ‘원근법’ 참조

대련

대련 對聯 tui-lien(중)

판(板)이나 종이 등에 대구(對句)의 글을 써서 대문이나 기둥의 양쪽에 부착하거나 걸어 놓은 것. 많은 경우 기둥에 거는데 ‘주련(柱聯)’ ‘영련(楹聯)’ ‘영첩(楹帖)’ ‘대자(對字)’라고도 부르며 보통 색을 칠하여 글씨, 글귀가 돋보이게 한다. 문짝에 걸어 놓는 것을 ‘문련(門聯)’ 또는 ‘문심(門心)’, 문기둥 좌우에 거는 것을 ‘광대(框對)’, 새해에 쓰는 것을 ‘춘련(春聯)’이라고 한다. 영련은 중국 오대(五代)때에 후촉後蜀의 맹창盟昶이 학사 신인손辛寅遜에게 명하여 도부판(挑符版)에 ‘신년납여경, 가절호장춘(新年納余慶, 嘉節號長春)’의 대구를 쓰게 하여 침실 문위에 써 붙인 것이 시초라고 한다. 송대(宋代)에는 기둥 위에 붙이는 것이 널리 퍼져서 경사(慶事)나 조상(弔喪) 때 이를 붙이는 것이 널리 행해지고, 명明, 청淸 이후에는 일반화되었다.

대비

대비 對比 contrast(영)

이질적인 것은 대비나 대조를 하면 강조되고 변화하여, 유동적이고 강렬하며 자극적인 효과를 유발한다. 미술 작품의 경우에 주제, 제재나 색채, 구도 등에서 대비의 효과를 보여주는 예가 많다. 한편 콘트라스트는 사진의 원판, 네거티브 필름, 포지티브 필름 혹은 인화에서의 농담(濃淡)의 차이를 말하기도 한다.

대상성

대상성 對象性 objecthood(영)

미국의 평론가 프리드Michael Fried가 미니멀 아트*를 리터럴 아트*로 재규정하면서 그것이 갖는 비예술적 조건을 제한한 개념. 대상성을 옹호하는 리터럴리스트의 입장과 형태를 매체로 하여 대상성을 제거시키는 모더니스트 회화*는 서로 대립한다. 리터럴 아트가 대상성으로 몰입되는 이유는 형태를 매체로 보는 것이 아니라, 대상 자체의 기본적인 속성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대상성은 ‘연극성(theatricality)’과 관련되는데, 객체로서의 작품이 주체로서의 관객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리터럴리스트의 작품은 보는 이에게 의존하고 있으므로 관객이 없다면 불완전한 것이 되며, 작품은 항상 관객을 기다리는 상태에 있다. 또한 프리드의 주장에 따르면, 연극적 조건에 접근할수록 예술성은 퇴보하는데, 그것은 음악과 연극, 회화, 조각 등 개별 미술들 사이의 장벽이 무너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대상성은 마치 연극이 진행되는 과정에서와 같이 시간의 경과를 필요로 함으로써 무한정한 지속(duration)의 표출을 가져오며, 이러한 지속성은 순간성(instantaneousness), 현재성(presentness)이라는 모더니즘* 개념에 어긋나는 것으로 이해된다.

→ ‘미니멀 아트’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