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캄포산토

캄포산토 camposanto(이)

성역(聖域)이라는 이탈리아어로서, 교회 근처에 있는 묘지를 말하는데 특히 피사의 캄포산토(13세기말 완성)가 유명하다.

캐노피

캐노피 canopy(영)

건축 용어로서, 교회의 신랑*이나 벽감 등의 위에 있는 소형 지붕을 말한다. 당대의 제반 건축 양식들이 압축적으로 나타나 있는 것이 보통이다.

캐논

캐논 canon(영)

규준, 규범 등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kanon’에서 유래했다. 미술에서는 ‘이상적 인체의 비례‘를 말한다. 흔히 조화*를 가장 잘 이룬 인체의 비례로의 캐논으로 팔등신(八等身, 키가 머리 길이의 8배가 되는 것)을 예로 든다. 옛날부터 화가나 조각가가 실제로 인체를 표현할 때 캐논이 문제가 되어 왔고, 시대나 나라에 따라 여러가지 캐논이 있었다. 기원전 5세기경 그리스의 조각가 폴리클레이토스Polykleitos가 인체의 비례를 연구하여 《캐논》이라는 저서(전해지지 않는다)를 내고, 그것을 <도리포로스의 상>(원작은 청동상, 로마 시대의 모조품만이 전한다)으로 실증했다.
이후 로마 시대의 갈레노스Galenos, 비트루비우스Vitruvius를 거쳐 르네상스*에 이어졌고, 알베르티Leone Battista Alberti(1404~1472), 레오나르도 다 빈치Leonardo da Vinci(1452~1519), 뒤러Albrecht Dürer(1471~1528) 등에 의해 상세히 연구되었다. 특히 뒤러의 연구는 유명하다.

캐리커처

캐리커처 caricature(영)

시국(時局) 풍자나 인생의 유머를 다룬 모든 회화의 총칭. 캐리커처의 어원은 이탈리아어 ‘caricare’에서 온 것으로, 인물을 그릴 때 그 사람의 특징적인 요소나 신체의 일부를 괴상하거나 우스꽝스럽게 과장시켜 그린 그림을 말한다. 이러한 과장법을 사용하는 이유는 풍자, 우의(寓意), 해학 따위를 표현하기 위해서이다.
영어로는(특히 미국의 경우) 인쇄 매체에 발표되는 정치 풍자화를 카툰이라고 하여 이것과 구별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풍자화 이외에 만화*라는 명칭이 있다. 캐리커처의 기원은 멀리 이집트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풍자화가 하나의 장르*로서 확립된 것은 17~18세기이며, 프랑스의 칼로Lorrainer Jacques Callot(1592~1635), 영국의 호가드William Hogarth(1697~1764), 롤랜드슨Thomas Rowlandson(1756~1827) 등에 의해서였다. 스페인의 화가 고야Francisco de Goya(1746~1828)의 환상적인 우의화(寓意畵), 19세기 프랑스의 도미에Honoré Daumier(1808~1879), 그랑비유Grandville(1803~1847), 모니에Henri Monnier 등의 정치 사회적인 풍자화에 의해 근대 만화는 전성기를 맞는다. 20세기에는 독일의 프리츠 마인하르트Fritz Meinhard, 프랑스의 페네J.J.C. Pennes, 영국의 로David Low, 베이트먼H.M. Bateman, 미국의 쇼글로브, 스타인버그Saul Steinberg(1914~ ) 등이 있다.

캔디드 포토그래피

캔디드 포토그래피 candid photography(영)

일반적으로 피사체인 상대가 의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자연스러운 동작이나 표정을 찍은 사진을 일컫는 말. ‘스냅샷(snapshot)’이라고도 한다. 이 기법은 1920년대 말에 라이카와 같은 35mm 카메라의 출현으로 가능하게된 기동성을 바탕으로 고안된 것으로 보도사진부문에 일대혁신을 가져온 것이었다. 이것은 순간적인 장면도 확실하게 포착할 수 있고 사진에서 시간의 표현을 가능하게 했다는 점에서 사진미학에서도 획기적인 계기를 마련한 것이었다.

→ ‘스냅사진 미학’ 참조

캔버스

캔버스 canvas(영) toile(프)

화포(畵布). 유화의 지지재(支持材)로서 사용된다. 표준적인 캔버스는 거친 마포를 사용하여 거기에 일종의 아교를 먹이고 다시 그 위해 백악(白堊)을 린시드유*, 포피유로 녹여서 칠한다. 그 밖에 드물게는 목면의 캔버스도 사용된다. 요즘은 캔버스라는 용어가 거의 유화*와 동의어로까지 쓰이고 있으나, 이것이 회화의 밑바탕 재료로 쓰이게 된 것은 중세 말기부터였다. 그 전의 그림들(특히 운반 가능한 그림들)의 대부분은 목재 패널 위에 그려진 패널화들이었다.
15세기 초기 북구 이탈리아와 베네치아의 화가들인 만테냐Andrea Mantegna(1430~1506), 벨리니Jacopo Bellini(c.1400~1470) 등이 캔버스를 사용하기 시작하였고, 점차 이러한 경향이 일반화되어 오늘날에 이르렀다. 북부 이탈리아 화가들이 왜 캔버스를 사용하였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당시 종교 행렬에 사용하는 깃발에다 물감을 칠한다든지, 타피스트리*를 대신한 값싼 대용물로서 물감을 칠한 작품이 사용되고 있었음을 볼 때, 결국 상당한 경비와 시간이 요구되는 목재 패널의 경제적 대용물로서 주로 캔버스가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 이전에도 린넨천에 그림을 그리는 경우는 있었으며, 고대 이집트의 무덤 속에서도 캔버스화의 원형이라고 할 만한 것이 발견되기도 한다. 일부 전문가들에 의하면 캔버스화는 내구성이 강하지 못하며 기후 변화에 따른 물감의 변색, 변질도 심하다고 한다. 현재 남아 있는 수많은 걸작들은 낡은 캔버스에서 새 캔버스로 옮겨 담는 어려운 작업을 통해서 보존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술가들은 캔버스 특유의 질감 때문에, 혹은 관습적으로 캔버스를 계속해서 애용하고 있다.

캔틸레버

캔틸레버 cantilever(영)

벽체 또는 기둥에서 튀어나온 보*로서 한쪽만으로 받쳐지고 있다. 근대 건축에서는 종종 대규모로 사용되고 있으며, 근대적 디자인의 한 특징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발전으로 인해 커튼월 시스템 및 앞면이 모두 유리로 된 벽체도 가능하게 되었다. 가구 특히 의자의 구조에도 도입되어 새로운 의자의 구조를 규정하여 모던 디자인 원천의 하나가 되었다.

커뮤니티 아트

커뮤니티 아트 community art(영)

→ 공동체 미술

컨셉추얼 아트

컨셉추얼 아트 Conceptual Art(영)

→ 개념미술

컨템퍼러리 스타일

컨템퍼러리 스타일 Contemporary Style(영)

‘컨템퍼러리’는 1945~1956년 영국의 많은 비평가들이 당대의 미술, 건축, 그리고 디자인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한 용어. 예를 들어 컨템퍼러리 미술 재단이 1947년에 설립되었고, 1951년에는 리드Herbert Read(1893~1968)의 저서 《컨템퍼러리 영국 미술》이 출간되었다.
컨템퍼러리 양식의 특징은 명랑함, 쾌활함, 미세함 등이며, 이 특성들은 응용미술*에서 대단히 돋보인다. 이러한 외양은 검은 목재 대신 얇은 금속 막대와 엷은 색의 목재를 사용한 가구에서 기인하였다. 특히 금속 가구의 다리에는 밝은 색의 플라스틱* 조각이 채색되어 있다. 또한 잡지걸이는 플라스틱으로 에워싸여진 철사로 만들어졌으며 금속 받침대 사이는 플라스틱으로 만든 장식적인 레이스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가보Naum Gabo(1890~1977), 칼더Alexander Calder(1898~1976), 헤프워드Barbara Hepworth의 조각에서 유래한 것이다. 벽지와 직물 디자인에서는 눈(雪) 결정체, 관(棺) 모양 또는 길게 늘어진 육모꼴과 같은 기하학적 문양이 선호되었다.
컨템퍼러리 양식은 1951년 영국의 전시행사에서 일반에게 보급되었으며, 이 때 ‘페스티벌 양식(festival style)’ 또는 ‘남부 은행 양식(south bank style)’이라는 또다른 용어들도 만들어졌다. 《디자인》이라는 잡지는 이 양식을 ‘새로운 영국 양식’이라고 칭하기도 하였다. 현대 디자인의 권위자들은 페스티벌 양식이 실제로 존재했다는 점을 인정하지 않으면서도, 그러한 어휘가 쓰여지고 있다는 점은 인정하고 있다. 해밀턴Richard Hamilton(1922~ )은 이것을 컨템퍼러리 양식의 한 하위 등급으로 간주한다. 쿡Peter Cook은 1952년의 디자인이 전후의 부산물의 혼합체(합판제품, 소형 기계의 기술공학)와 1930년대의 양식을 내포하고 있다고 말한다. 많은 컨템퍼러리 양식은 제품 디자인에 편중되어 있고, 그 외의 분야에서는 잘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