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흉상

흉상 胸像 bust(영)

머리에서 가슴까지의 상반신을 다룬 조상(彫像). 흉상의 역사는 초상의 역사와 밀접하게 연관된다. 사후 세계를 믿었던 이집트 인들은 여러 선명한 색을 사용해 죽은 사람의 흉상을 만들었지만 예술 작품을 유기체로 본 고대 그리스 인에게는 인체를 절단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었기 때문에 신체의 일부를 나타내는 흉상은 거의 제작되지 않았다. 그러다 헬레니즘* 시대에 와서 흉상이 다시 제작되기 시작했다.
이 시대의 흉상은 눈먼 ‘호머’의 초상에서와 같이 이상화된 형태와 기원전 1세기 알렉산드리아 미술에서와 같이 사실적인 형태가 공존한다. 로마 시대에 흉상은 최전성기를 맞아 공화정 초기부터 정교하고 다양한 창의적인 흉상이 많이 제작되었다. 초상 미술을 금기시한 중세에는 흉상이 거의 자취를 감추어 유골함에 값비싼 금속으로 성자들의 모습을 조각하는 정도가 고작이었다.
르네상스*, 특히 15세기 피렌체의 미술가들은 매우 사실적인 것에서부터 형식에 치우친 이상화한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고전의 흉상을 부활시켰다. 16세기에는 로마 제정 후기의 정교한 흉상을 모방했으며, 바로크* 시대에는 새롭고 화려한 형태로 발전했다. 그 후로는 형태상의 변화는 거의 없으나 신고전주의* 시대에는 로마 공화정 시대의 흉상같이 단순한 형태로 되돌아갔다.
19세기와 20세기에 와서 로댕Auguste Rodin(1840~1917), 데스피오Charles Despiau(1874~1946)와 엡스타인Jacob Epstein(1880~1959) 같은 미술가들이 흉상을 제작했으나, 인물의 성격 묘사에 치중해 전통적 형태에서 멀어졌다. 현대에는 학구적인 조각가들에 의해 흉상은 명맥을 유지할 뿐이다.

흉중구학

흉중구학 胸中丘壑

‘마음 속에 언덕과 골짜기의 심상(心象)이 있다’는 동양회화 용어. 여기서 구학, 즉 언덕과 골짜기는 속세를 떠난 이상향이라는 의미이다. 산수를 심상으로 구상하고 파악함으로써 참다운 산수화*를 그려낼 수 있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곽희郭熙(구어 시)는 《임천고치*》에서 “임천(林泉)을 동경하는 마음이나 연하(烟霞)와 벗삼으려는 생각은 꿈 속에서나 있을 뿐이요, 생생한 현실에서는 단절되어 있다. 이제 묘수를 얻어서 생생하게 이를 표현하면 집과 뜰을 벗어나지 않고서도 임천과 골짜기를 오르내릴 수 있다. 이것이야말로 세상에서 그림 속의 산수를 귀하게 여기는 까닭의 본의라 하겠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반드시 자연을 접하면서 의(意)를 널리 펼칠 수 있어야 한다고 제기하였다. 즉 마음껏 즐기고 본 산수는 모두 ‘흉중에 역력히 늘어서게 될’ 뿐만 아니라, ‘산수의 아름다운 풍경이 눈과 마음속에 저절로 떠올라서 그림으로 그려지게 된 경지’ 이것이 바로 진정한 산수화라는 것이다. 곽희가 살았던 송대(宋代)에는 자연의 형상을 그대로 옮기는 것보다는 자기의 예술관에 입각해 자연을 미화시키는 이상화를 중요시했다.
산수화 제작시 사의성(寫意性)의 기초인 ‘흉중구학’을 통해 산수의 이상적 경지를 추구하였다. 실제 자연을 체험함으로써 경험하고 터득한 산수자연을 소재로 한 후 그림의 의취를 살려 표현해야 한다는 이론은 산수화를 사의*적 개념과 형사*적 개념으로 조화시켜 이상화시키는 데 공헌한 것이다. 이러한 이론은 곽희를 필두로 하여 명대(明代)의 동기창董其昌(똥 치츠앙, 1555~1636)의 산수화론 등에 계승되었다.

흑도

흑도 黑陶 bei-tao(중)

중국 신석기시대에 채도에 이어 나타난 토기*로, 용산문화*(龍山文化)의 대표적인 토기이다. 고운 태토를 사용하고 물레로 성형하며 구울 때 통풍이 안되는 환원염으로 번조하므로 태토의 철분이 환원되어 회색이 되고 마지막에 연기를 내어 그을리게 하여 탄소의 미립자를 태토에 스며들게 한 후 문지르면 검은 광택이 나는 표면이 만들어진다. 그릇형태는 변화가 많으며 얇게 성형된 것은 특히 ‘난각(卵殼)토기’라고 부른다.
이러한 예는 하모도문화(河姆渡文化)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양자강 도작(稻作)문화에 널리 파급되었고 대문구문화(大汶口文化)나 후기의 양저문화(良渚文化)에는 두꺼운 흑도가 있다. 춘추전국(春秋戰國)~진한(秦漢)시대까지 존속하고 감숙성甘肅省의 제가문화(齊家文化)나 하남河南, 섬서성陝西省에 흑도의 용*(俑)이나 기물(器物)이 보인다.

흑인미술

흑인미술 黑人美術 Negro Art(영)

아프리카의 흑인에 의한 원시 미술. 그 제작 지역은 아프리카 북부의 이슬람 문화권을 제외한 서부 및 중앙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하여 세네갈에서 차드에 이르는 지구, 콩고 지구, 수단 지구로 크게 나뉘어진다. 나무, 상아, 청동, 철, 금, 은 등을 써서 만든 조각*과 공예*가 주요한 것으로, 중심은 종교적, 주술적인 가면이나 인체 조각에 있다. 기하학적 형태, 생명감이 넘치는 변형 등이 19세기에 주목을 받은 이래 유럽 미술가들에게 영향을 끼쳤다. 가장 융성했던 시기는 지역이나 민족에 따라 다르다. 베닌에서는 16~17세기, 콩고에서는 17세기경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제작 시기가 불명확한 것이 많다.
근대 미술*은 이 흑인미술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 야수주의*는 원시적 데포르마시옹*을 배웠고, 표현주의*는 신비적 요소를 받아들였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피카소Pablo Picasso(1881~1973)를 비롯, 입체주의*에 끼친 흑인 미술의 영향이다. 특히 1906~1909년의 피카소의 작품들은 ‘흑인미술 시대’로 구별하고 있을 정도이다. 피카소는 주로 흑인미술에 나타나는 볼륨*의 해석에 의한 기하학적 면의 구성, 논리적인 사고와는 전혀 다른 별개의 논리 체계에 의한 물체의 파악, 입체적인 단순화와 부분의 강조 등에서 힌트를 얻어 그것을 실제의 제작에 도입했다.

희화

희화 戱畵

장난이나, 우스개 또는 풍자를 목적으로 그린 그림. 더 나아가서는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웃음을 자아내게 하는 그림을 말한다. 대개 붓이나 펜에 의한 약화적(略畵的) 형식을 취하며 그 성격상 캐리커처*나 만화*와 비슷한 면모를 지닌다. 특히 16세기말 이탈리아에서 출현한 캐리커처는 위트와 풍자가 충만한 희화의 한 장르*로서 성립되었다.
웃음의 소재와 개념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희화의 내용도 매우 폭넓다고 할 수 있다. 고대 그리스나 로마의 사티로스*Satyros, 프리아포Priapos처럼 호색적이고 익살스러운 신(神)들의 기행(奇行)을 그린 그림 중에는 희화에 속하는 것들이 많다. 중세의 괴물이나 그로테스크한 우화적인 동물 등도 우스꽝스럽게 묘사되곤 한다. 15~16세기에는 그라프Urs Graf나 보슈Hieronymus Bosch, 브뤼겔Pieter Bruegel 등의 풍속화*에서도 유머스러운 희화화가 엿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