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환경미술

환경미술 環境美術
Environment Art(영)

작품을 그 자체로서 완결된 것이라 생각지 않고 언제나 그 주변 환경과의 관계를 고려하는 경향. 현대의 새로운 작품은 새로운 수법의 전시 형태를 요구한다. 따라서 작품과 관람자와의 전체적인 교류를 의도하여, 보는 사람의 주위를 작품(회화*, 조각*, 오브제* 등)으로 둘러싸고, 때로는 소리, 빛 따위도 가해서 독특하게 꾸민 환경을 말한다. 이런 관점에서 볼때, 다다이스트( →‘다다’ 참조)인 슈비터즈Kurt Schwitters(1887~1948)의 작품인 <메르츠바우*Mertzbau>나 초현실주의*의 대규모적인 전시회도 환경미술에 속한다.
그러나 환경미술이 본격적으로 시도된 곳은 미국으로 그 기원은 이미 추상표현주의*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경향의 작품들은 대형화되어, 관람자는 색깔을 바라보기보다는 그것에 압도되어 ‘경험’하기 시작한다. 말하자면 관람자는 뉴만Barnett Newman(1905~1970)이나 로스코Mark Rothko(1903~1970)의 거대한 화면에 둘러싸인다는 느낌을 갖게 되었다. 같은 무렵에 건축가 키슬러Fredrick Kiesler(1890~1965)는 회화, 조각, 건축을 결합시키는 작업을 했고, 네벨슨Louise Nevelson(1899~1988)은 조각을 벽 전체로 확대시켰으며, 허버트 퍼버Herbert Ferber는 ‘조각의 방’이란 새로운 개념을 만들어냈다.
1950년대 말 몇몇 젊은 작가들은 연극적인 이벤트와 해프닝*으로 눈을 돌렸다. 이런 것들은 모두 환경미술에서 발전한 형식으로 그 연원은 폴록Jackson Pollock(1912~1956)의 액션 페인팅*에서 찾을 수 있다. 그들은 살아 있는 환경 속에 실제의 인간과 실제의 대상물을 결합시킴으로써 해프닝을 개인주의적이고 고립적인 미술 작품으로보다는 전면적인 예술 환경을 새롭게 강조하는 경향으로 유도했다.
이와 같은 새로운 예술관이 잘 나타난 것은 올덴버그Claes Oldenburg(1929~ )의 <상점>이다. 그는 예술과 생활의 총체를 이끌어내기 위해 실제로 상점을 구입, 거기에서 작품을 제작, 상품도 진열해 놓고 판매했다. 그는 또한 거대한 기둥을 이용해서 여러 차례 퍼포먼스*를 보여주기도 했다. 1960년대 중반부터 이 경향의 작가들은 화랑의 전시로부터 순수한 환경으로 방향전환을 하기 시작했다. 안드레Carl Andre(1935~ )는 내화벽돌로 마루를 깔고, 스미스Tony Smith(1912~1980)는 거대한 공간 구조의 조각으로 건축학적인 환경을 창조해서 전시했다. 이러한 환경미술은 결과적으로 삼차원적인 형태와 거대한 규모, 그리고 건축과 풍경에 대한 새로운 공감에의 관심을 부활시켜 주었다. 그리하여 대지미술*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개념미술*이 탄생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환두대도

환두대도 環頭大刀

손잡이의 머리부분이 고리모양인 칼로 원삼국시대의 고분에서도 출토되나 삼국시대의 고분에서 주로 나온다. 그 종류로는 고리 안에 아무런 장식이 없는 민고리자루칼, 고리안에 세 잎의 잎사귀가 장식된 세잎고리자루칼, 용, 봉황이 표현된 용봉고리자루칼, C자형의 고리를 반원형으로 연결한 세겹고리자루칼 등이 있다. 세겹고리자루칼이나 용봉고리자루칼은 왕족에게만 부장이 허락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환상미술

환상미술 幻想美術 irrealistic art(영) art fantastique(프) phantastische Kunst(독)

상상적 환상적 세계를 표현한 미술. 사실주의* 미술에 대립되는 개념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구상, 추상미술*과 대비되는 경우도 있다. 경험적, 합리적인 자연관 및 그 표현 기법에 대립하는 제재, 기법, 예술관에 의해 성립된 미술을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제재면에서는 신화적 괴물류, 종교적 환상, 몽상적 세계를 표현하고, 기법적으로는 비사실주의적 형태, 색채 등을 주로 사용한다. 서양 중세의 묵시록*적 환상의 표현, 보슈Hieronymus Bosch(c.1450~1516), 블레이크William Blake(1757~1827), 르동Odilon Redon(1840~1916) 등과 중국 명말청초(明末淸初)의 오빈吳彬(우 삔), 공현龔賢(꽁 시앤) 등이 대표적이다.

환상적 사실주의

환상적 사실주의 幻想的寫實主義
Fantastic Realism(영)

→ 비엔나 환상파

환원주의

환원주의 還元主義 Reductionism(영)

근대 이래로 미술은 점차 재현성, 즉 어떤 이야기나 현상을 담아서 사실적이고 서술적인 내용을 보여주는 특성을 상실해 갔다. 그러면서 미술 자체의 순수하고 심오한 형식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이와 같은 미술의 형식화를 환원주의라고 한다. 형식주의 미술, 특히 추상표현주의*나 미니멀 아트* 등 모더니스트 아트는 환원주의에 근간을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황금분할

황금분할 黃金分割
golden section(영) section d’or(프)

①선분 AB를 점 P로 내분할 때 AB•BP=AP2 을 만족하는 두 선분AP:AB의 비례 관계를 가리킨다(√5 ~1:2). 보통 황금분할 또는 황금비라고 하는데, 그것은 이 관계에 있는 비례가 시각적으로 좋은 느낌을 주기 때문이다. 황금분할은 이미 르네상스*기에 ‘신(神)의 비례‘로 존중받았다. ②근대 미술사에서는 1912년에 결성된 입체주의*의 한 분파를 말하며, 이 황금비로 대표되는 기하학적 원리를 존중하여 ‘섹시옹 도르파’라고 지칭하였다.
그 최초의 전람회는 1912년 파리의 라보에시 화랑에서 열렸고, 그리Juan Gris(1887~1927), 레제Fernand Léger(1881~1955), 메칭거Jean Metzinger(1883~1956), 라 프레네이Roger de La Fresnaye, 로트André Lhôte, 들로네Robert Delaunay(1885~1941), 마르쿠시Louis Marcoussis(1883~1941), 비용Jacques Villon(1875~1963), 뒤샹Marcel Duchamp(1887~1968) 등이 참여하였다. 즉 피카소Pablo Picasso(1881~1973)와 브라크Georges Braque(1892~1963)를 제외한 당시 입체주의의 주요 화가들을 망라한 셈이며 입체주의에서 기하학적 추상주의에의 교량 구실을 한 것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황도대

황도대 黃道帶 zodiac(영) zodiaque(프) Tierkreis(독)

태양을 도는 주요 행성들의 행로. 별자리에 따라서 12궁으로 나뉜다. 즉 백양궁(수양자리), 금우궁(황소자리), 쌍자궁(쌍둥이자리), 거해궁(게자리), 사자궁(사자자리), 처녀궁(처녀자리), 천칭궁(천칭자리), 천갈궁(전갈자리), 인마궁(사수자리), 마갈궁(염소자리), 수족궁(물병자리), 쌍어궁(물고기자리) 등이다. 또한 이 대를 상징화로 표상한 원형 또는 타원형의 도형 역시 별자리와 결합되어 있다.

황산도

황산도 黃山圖

산수화*의 한 화제(畵題). 황산은 중국 안휘성安徽省 남단에 있는 명산이다. 바위봉우리들이 검게 보인다하여 ‘이산(黟山)’이라고도 한다. 남북이 약 5백리나 되는 산악으로, 높은 봉우리가 36개나 되고, 계곡 동굴이 무수히 많으며 산이 깊어 예부터 피난처로 이용되어 왔다. 황산을 처음 그림으로 그린 기원은 확실치 않으나, 황산을 그린 판화인 <황산도경黃山圖經>이 송대(宋代)에 제작되었고 이 판화는 원, 명대(元明代)에 거듭 판각되었다.
17세기초 황산에 사찰이 들어서면서 일반 사람들도 이 산을 찾게 되었고, 《삼재도회三才圖會》(1607)에 황산도가 삽도(揷圖)되는 등 하나의 화제로서 정착되었다. 청초(淸初)의 황산 화가는 황산 남쪽의 흡현歙縣 출신인 홍인弘仁(훙 르언)과 그 북쪽의 선성宣城 출신인 매청梅淸(메이 칭)을 비롯하여 ‘황산’이라 자호(自號)한 법약진法若眞(화 루오), 석도石濤(스 타오, 1641~1717) 등이 있다. 이들은 험준한 황산을 기이하면서도 탈세속적인 곳으로 여겨 자연경관의 실경에 기초하여 각기 개성적으로 황산도를 그려냈으며, 그 결과 황산도는 유명한 화제(畵題)가 되었다. 석도의 《황산팔승도책黃山八勝圖冊》 《황산도권黃山圖卷》 등이 잘 알려져 있다.

황산화파

황산화파 黃山畵派

중국화 유파의 하나. 청초(淸初) 선성宣城(현 安徽省)의 매씨(梅氏) 일가를 적계(嫡系)로 한 매청梅淸(메이 칭), 매충梅翀(메이 츠옹), 매경梅庚(메이 껑), 매울梅蔚(메이 웨이)과 선성으로 옮겨 살던 석도石濤(스 타오, 1641~1717) 등을 총칭하는데, 이들은 오랫동안 황산에 깊숙이 들어가 살면서 자연과 옛 사람을 배우던 화가들이다. 신안화파*도 역시 황산에서 배웠기 때문에 황산화파라고 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지만, 이 두파는 양식이 서로 다르다.

회권

회권 繪卷

→ 에마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