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쿠호시대 미술
하쿠호시대 미술 白鳳時代美術
여러 호족들의 연합정권으로 인해 불안정했던 조정이 권신(權臣) 소가蘇我의 권세를 꺾어 중앙정권을 장악하고 당唐을 본떠 국가를 건설한 645년의 다이카노카이신大化の改新으로부터 헤이조平城(현 나라奈良)로 천도한 710년까지의 미술. 국가의 보호를 받았던 불교는 헤이안(飛鳥)시대와 마찬가지로 미술 문화의 중심역할을 하였다.
이 시대의 미술양식은 이제까지와는 다른 양식으로 전개되었다. 이는 한반도를 거쳐서 일본에 전해지던 중국 대륙의 미술양식이 견당사(遣唐寺)의 파견에 따라 직접 일본으로 들어오게 되고, 백제와 고구려의 멸망에 따른 망명인들에 의해서 새로운 기술과 양식이 전해졌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효덕조孝德朝부터 천지조天智朝까지는 헤이안 양식의 여운을 지닌 작품들이 존재하고, 천무조天武朝 이후에는 수隋, 당唐의 영향을 받은 작품들도 나오게 되었다.
건축:호류지法隆寺의 금당金堂, 오중탑五重塔, 중문中門, 회랑回廊의 일부가 하쿠호시대의 건축이다. 그 특징으로는 중간이 굵은 엔타시스적 기둥과 처마밑 두공*에 구름 모양의 첨차를 사용한 것을 들 수 있다.
조각:하쿠호 전기에 속하는 대표적 조각은 도쿄東京국립박물관 소장의 〈신해명관음보살상辛亥銘觀音菩薩像> 등을 들 수 있는데, 좌우에 지느러미 모양으로 넓어지는 천의(天衣)의 형식 등 아직 헤이안시대의 양식이 남아 있지만 얼굴에는 엄숙함이 줄어들고 어린아이의 얼굴에 가까운 표정을 보이고 있다. 또한 북제北齊, 북주北周 양식을 보이는 〈관심사觀心寺 관음보살觀音菩薩〉, 당당한 체구나 둥글둥글한 얼굴 생김에서 수의 영향을 느끼게 하는 〈당마사當麻寺의 본존미륵상〉 등이 전기 시대의 작품들이다.
후기의 작품으로는 살집이 좋아지고 법의의 질감이나 주름이 사실적으로 묘사된 〈법륭사 대보장전大寶藏殿의 귤부인주자 아미타삼존상橘夫人廚子 阿彌陀三尊像〉, 체구와 조화 비율이 실제 사람에 가까워지고 치마를 통해서 허리나 다리의 선을 뚜렷하게 들여다보이게 만들어 초당(初唐)의 영향이 배인 〈약사사藥師寺 동원당東院堂 성관음상聖觀音像〉 〈약사사 약사삼존상〉 등이 있다.
회화:하쿠호 시대의 회화를 대표하는 작품은, 석실 세면에 성장한 남녀 인물과 현무, 백호, 청룡이 그려지고 천장에 성숙(星宿)이 그려진 〈다카마쓰쓰카高松塚 벽화〉와 1949년 화재로 상실된 대소 12면의 〈호류지 벽화〉가 있다. 이 벽화에는 약사藥師, 석가釋迦, 아미타阿彌陀, 미륵彌勒의 정토가 잘 표현되어 있다. 불보살의 몸이나 의복문양에 짙은 음영*을 나타내어 입체감을 살린 점과 철선묘*(鐵線描)라 부르는 비수 없는 탄력성 풍부한 선이 사용된 점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