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화보

화보 畵譜

중국화의 각종 기법을 종류별, 계통별로 편집한 책. 중국의 판본기술이 확립된 송대(宋代)부터 화가나 문인이 그림을 배우는 입문서로서 생겨났다. 화보라는 말은 북송北宋 선화 연간(宣和)에 나온 《선화화보*》에서 비롯된 것이다. 화보는 《선화화보》와 같이 그림을 곁들이지 않고 문자로만 설명한 것과 《매화희신보梅花喜神譜》와 같이 그림을 곁들여 설명한 것 등 두 종류로 나뉘어진다.
일반적으로는 화법에 대한 도해가 있고 문자로 된 간단한 설명이 덧붙여진다. 그림이 곁들여진 화보로는 남송南宋 송백인宋伯仁(쏭 보르언)의 《매화희신보梅花喜神譜》(1238)가 가장 오래되었다. 북송 이후 사군자* 등이 유행함에 따라 원대(元代)에는 이간李衎(리 칸, 약1260~1310)이 대나무의 생태와 묵죽*(墨竹)에 대한 화법(畵法)을 상세히 도설한 《죽보상록竹譜詳錄》을 발간하여 명성을 얻었다.
명明, 청淸 이래의 화보는 위의 두 화보를 계승한 것으로, 《역대명공화보歷代名公畵譜》 《만소당화전晩笑堂畵傳》 《당시화보唐詩畵譜》 《시여당보詩餘堂譜》 《십죽재서화보十竹齋書畵譜》 등이 있고, 화법도해로는 《도회종이圖繪宗彛》 《고송죽보高松竹譜》 《설호매보雪湖梅譜》 《개자원화전*》 등이 있다. 또한 회화이론서이면서도 화보라고 이름을 붙인 것이 있다. 즉 명대(明代) 당인唐寅(탕 인)의 이름을 따서 편찬한 《당육여화보唐六如畵譜》, 청나라 강희 연간(康熙, 1662~1722)에 편찬된 《패문재서화보佩文齋書畵譜》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