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감광유제

감광유제 感光乳劑

필름이나 인화지가 빛에 반응하도록 그 위에 바르는 감광성(感光性)을 지닌 액체상태의 물질을 일컫는 말. 감광유제로는 보통 빛에 대해 빠르고 규칙적으로 반응하도록 은과 할로겐 원소를 결합하여 만든 할로겐화은(AgX)이 쓰인다. 할로겐화은의 종류로는 염화은(AgCl), 브롬화은(AgBr), 요오드화은(AgI), 플루오르화은(AgF) 등이 있으나, 플루오르화은은 수용성이므로 사진유제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할로겐화은은 아교와 비슷한 성질의 젤라틴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사진에서 감광도(感光度), 감색성(感色性), 콘트라스트*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은 할로겐화은의 결정입자이다. 결정입자가 커서 감광유제층이 두터워지면 빛에 반응하는 속도가 빠른 고감도 유제가 되며, 화상은 거친 입자(조립자)와 낮은 콘트라스트를 가지게 된다. 반면 작은 결정입자에 의한 얇은 유제층은 빛에 반응하는 속도가 느린 저감도 유제를 형성하게 되어 상대적으로 고운 입자(미립자)와 높은 콘트라스트, 고해상력의 화질을 갖게 된다.

감람묘

감람묘 橄欖描

→ ‘인물십팔묘’ 참조

감로도

감로도 甘露圖

지옥에서 고통받고 있는 중생을 구제하기 위하여 음식을 공양하는 의식절차를 그린 불화. 즉 아귀(餓鬼)에게 감로수를 베푼다는 신앙내용이 담겨있기 때문에 그림의 하단에는 아귀가 그려져 있다.
감로도는 《우란분경盂蘭盆經》에 근거한 것으로, 부처님의 수제자인 목련존자가 돌아가신 어머니가 아귀도에 빠져 먹지 못하는 고통을 당하는 것을 보고 참회의 날인 7월 15일에 부처님과 스님께 온갖 음식을 공양하여 어머니를 구하게 되었다. 특히 이와 같은 내용이 중국과 한국에서 중시되었던 것은 조상 숭배 사상과 관련이 있다.
감로도의 형식은 상단과 중단, 하단으로 나뉘는데, 상단에는 7여래와 인로왕보살, 아미타내영도가 그려진다. 중단에는 의식장면이 도설되고 하단에는 아귀상, 지옥상, 윤회하는 중생 등 6도중생이 압축묘사된다. 특히 하단에는 백중날의 행사 장면 등이 그려져 풍속화적인 요소가 가미되면서 흥미로움을 자아낸다.

감상

감상 鑑賞 appreciation(영)

예술작품을 감각적 형식과 표현 내용의 전체에 걸쳐서 음미하고 즐기는 것. 단순한 지적, 분석적 이해나 개인적인 좋고 싫음이 반응되는 정서적 태도와는 구별된다. 또한 미적 관조*와는 달리 작품을 적극적으로 음미하는 평가활동이 포함되나, 그 평가가 비평의 경우처럼 언어적으로 표현되지는 않는다. 영국의 미학자 오스본Harold Osborne은 그의 저서 《감상의 기술The Art of Appreciation》(1970)에서 “감상력은 기본적으로 기능(skill)이며 훈련에 의해 향상시킬 수는 있지만, 그것도 특정분야에 한정될 뿐 예술의 모든 영역에 걸쳐서 감상력을 키우는 것은 드물다”라고 언급하였다. 이 점에 있어서는 감정*과 통하는 점이 없지 않으나, 감상은 작품의 식별이나 유별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며 어디까지나 감각적 표현 구조의 미묘한 차이를 향수하는 것에 주안점을 둔다.

감장

감장 嵌裝

금판 위에 청옥(靑玉) 등을 박은 알집을 또다른 금판으로 만들어 붙여서 장식하는 기법으로, ‘알물림’이라고도 한다. 한국에서는 삼국시대에 금 장신구의 장식기법으로 주로 사용하였으며 이후 입사*(入絲) 기법으로 이행된 것으로 보인다.

감정

감정 鑑定 connoisseurship(영)

예술작품이나 골동품 등의 진위여부, 작자, 제작 연대, 재질, 제재 등을 전문가의 입장에서 사정, 평가하는 행위. 정확한 감정에는 역사적ㆍ문헌학적으로 해박한 지식과 풍부한 감상*의 경험에서 우러나온 뛰어난 직관력, 소위 감식안과 과학적 기술(재료 및 기법의 분석, X선, 적외선 투사)을 요하는 까닭에 고도로 전문화되어 있다. 감정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을 감정가(鑑定家)라고 하며, 그 진위에 대한 판단을 보증하는 서류를 감정서(鑑定書)라고 한다.

감정이입 미학

감정이입 미학 感情移入美學
Einfühlungsästhetik(독)

19세기 중엽, 피셔Friedrich Theodor Vischer가 자연미의 미적 관조*를 일상적 지각이나 과학적 관찰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한 개념. 이어서 19세기말부터 20세기초에 걸쳐 립스Theodor Lipps가 미*를 관조할 때 대상과 자아감정이 융합, 동일된 상태를 감정이입이라 규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미의식*을 설명하여 감정이입의 미학을 주창하였다.
감정이입은 인간에 대해 일어나는 ‘본래적 감정이입’과 인간 이외의 자연물에 대한 ‘상징적 감정이입’으로 나뉘어진다. 또한 미술사가 보링거Wilhelm Worringer는 감정이입 개념을 예술창작의 근본적 충동에 적용하여 예술의욕(Kunstwollen)을 규정하는 두 가지 근원으로서 ‘감정이입 충동’과 ‘추상 충동’을 대치시켰다.

감지

감지 紺紙

감람색(紺藍色)으로 착색한 종이를 말하며 중국에서는 이 감색을 자감색(磁紺色)이라고도 한다. 경전을 필사할 때는 금니(金泥), 은니(銀泥), 주(朱) 등으로 하였으며 ‘감지금니(紺紙金泥)’라 부른다. 경전에 먹 대신에 금은의 니(泥)로써 감지 위에 필사하는 이유는 엄숙함과 장중함을 느끼게 하려는 목적이다. 금니사경은 경전의 경건성을 높이기 위해 귀족사회에서 종교적 행사로 행해졌다.

감필묘

감필묘 減筆描

붓질을 많이 하지 않고 최소한의 필선으로 자유분방하고 빠른 속도로 그리는 기법. 원래는 생필(省筆), 약필(略筆)이라 하여 글자의 자획을 줄여서 쓰는 서예의 기법이었으나, 당말오대(唐末五代) 때부터 회화기법으로 응용되기 시작하여 남송南宋의 양해梁楷(량 카이)에 의해 그 전통이 확립되었다.
대상의 본질만을 함축적으로 표현하므로 간략화된 형태로 나타나며 일품화가(逸品畵家)나 선승화가(禪僧畵家)들이 사의적(寫意的)인 인물화를 그릴 때 애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