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강가

강가 Gangā(범)

인도의 갠지스 강을 의인화한 여신. 강가의 상징이자 바하나*인 마카라Makarā는 물에 사는 악어와 유사하게 생긴 괴수로 물을 상징한다. 인도의 야무나Yamuna강을 신격화한 야무나 여신과 같이 표현되기도 하는데 야무나 여신의 바하나(乘物)는 거북. 힌두교의 신화를 보면 원래 천상에서 흐르고 있던 강가 여신은 시바*의 머리카락을 통해 지상으로 하강하게 되었다고 한다. 인도 타밀 나두Tamil Nādu주의 마말라푸람Māmallapuram에는 7~8세기경인 팔라바 왕조시대*에 제작된 거대한 암각 부조*가 남아 있는데, 바로 강가 여신이 지상으로 내려오는 신화를 조각으로 표현한 것이다.

강남산수

강남산수 江南山水

강남(江南)지방의 특유한 지형을 표현한 그림. 양자강 이남의 물과 평지가 많은 특유의 경치를 묘사하는 것으로, 황량하고 거대한 풍경을 그린 이곽파*李郭派의 화북산수(華北山水)와 대비된다. 강남산수의 전통은 고개지顧愷之(꾸 카이즈, 344~406)로부터라고 생각되지만, 오대(五代)의 동원董源(똥 위앤)과 거연巨然(쥐 르안)이 그 양식을 정립하였다. 평담고아(平淡古雅)한 방식으로 그려진 둥근 언덕과 부드러운 형태의 지형이 표현된다. 강남지방의 지형과 분위기를 나타내기 위해 긴 피마준* 또는 먹선에 흰 부분이 많이 보이는 비백서*나 초서*의 법을 활용한 묘사법을 사용했으며 호초점*을 풍부히 사용하여 부드러운 분위기를 고조시켰다. 온화한 분위기의 강남산수는 원사대가*(元四大家)와 명대(明代)의 오파*吳派 등에게로 이어져 계승되었다.

강남춘

강남춘 江南春

산수화*의 한 화제. 중국의 소주蘇州, 항주杭州, 양주揚州, 남경南京 등지에 있는 맑은 물가의 봄경치를 그린 그림이다. 꽃나무와 농부 혹은 고사(高士)의 뱃놀이 광경 등을 덧붙여 그리기도 한다. 명대(明代)의 문징명文徵明(원 즈엉밍, 1470~1559) 등 문인화가가 그린 그림이 많다.

강남화

강남화 江南畵

논자(論者)와 시대에 따라 다소 견해가 다르기도 하지만, 북송北宋의 미불米芾(미 후, 1051~1107)은 강남의 특유한 화법을 강남화라 했고, 그 전통은 고개지顧愷之(꾸 카이즈, 344~406)로부터라고 생각했다. 따라서 동원董源(똥 위앤) 계통의 산수화* 뿐만 아니라, ‘강남의 기상’ 을 나타내는 피마준* 또는 비백(飛白)이나 초서*의 법을 활용한 강남화의 특징적인 묘사 형식을 생각했던 것 같다. 원, 명대(元明代)에는 미법산수*나 강남을 주제로 한 작품을 강남화로 부른 예가 있다.

강서화파

강서화파 江西畵派

중국 청초(淸初)의 화가 나목羅牧(루어 무)을 대표로 하는 유파. ‘강서파(江西派)’라고도 한다. 나목은 계녕도系寧都(현 江西에 속함) 출신으로, 남창南昌(현 江西)에 살면서 산수화*를 그렸는데, 처음엔 위석장魏石狀(웨이 스추앙)의 전수를 받다가 뒤에는 황공망黃公望(후앙 꽁왕, 1269~1454)에게 배웠다. 기록에 따르면, 그의 필치는 매우 신비로워서 강회江淮(즉 長江과 淮河) 주변에서 그에게 배우려는 사람이 매우 많았다고 한다.

강호시대 미술

강호시대 미술 江戶時代美術

→ 에도시대 미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