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거리미술

거리미술 street art(영)

야외 조각전시, 낙서, 벽화*, 거리 연극 등을 광범위하게 포괄하는 용어. 모두 공적으로 개방된 공간에서 공개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거리미술이란 용어는 본질적으로 정치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정치적 관점에서의 거리미술 개념은 마야코프스키Vladimir Mayakovsky가 “거리를 우리의 붓으로 만들자, 광장이 우리의 팔레트*가 되게 하자”고 선동하며 작가들을 고무하던 러시아 혁명 이후의 대중을 위한 구경거리(mass spectacles)와 선전미술(propaganda art)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도시의 게시판에 작품을 설치한 예술가들로는 코주스Joseph Kosuth(1945~ ), 뷔렝Daniel Buren(1938~ ), 콜버슨Ian Colverson, 마시Denis Masi 등이 있다. 미국에선 광고게시판 미술(billboard art), 스카이라인 회화(skyline painting) 작업에 참여한 상업작가들이 르네상스 이탈리아 화가들이 사용한 것과 유사한 테크닉을 구사하면서 광고 이미지가 14.5×4.8m나 되는 크기의 게시판 그림들을 그리기도 하였다.

거비파

거비파 巨碑派

비교적 짙은 수묵을 많이 써 직사각형 꼴의 대산대수(大山大水)를 장엄한 느낌이 나도록 그렸던 오대(五代)와 북송北宋의 화가들을 말한다. 미국의 중국 회화 전문가인 셔먼 리Sherman E. Lee가 ‘모뉴멘털 스쿨Monumental School’이라고 붙인 명칭에서 유래한 말.
대표적인 작가로는 오대의 형호荊浩(싱 하오), 관동關仝(꾸완 통), 북송의 동원董源(똥 위앤), 거연巨然(쥐 르안), 이성李成(리 츠엉), 범관范寬(환 쿠완), 허도녕許道寧(쉬 따오닝), 곽희郭熙(구어 시), 이당李唐(리 탕) 등을 들 수 있다.

거세파

거세파 巨勢派

→ 고세파

거신광

거신광 擧身光

→ ‘광배’ 참조

거치문

거치문 鋸齒文
saw-toothed pattern(영)

톱날 또는 짐승의 날카로운 이빨의 모양과 같은 삼각형을 가로로 반복한 무늬. 선사시대부터 나타나 중국의 채도(彩陶)나 동경*(銅鏡), 한국의 삼국시대 토기*, 고배(高杯)의 뚜껑, 고구려 벽화와 같은 동양 고대 유물에서도 찾을 수 있고 서양의 건축장식에서도 많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