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직도
경직도 耕織圖
동양 인물 풍속화의 한 화제(畵題). 농민의 부지런함과 땀 흘려 일하는 모습을 임금에게 알리고, 임금이 백성들의 생업인 농업과 잠업에 대한 정책을 힘쓰도록 촉구하기 위하여 제작되었다. 일종의 권계화*(勸戒畵)로 왕실의 교육에 이용되었다. 남송南宋의 화가인 누숙樓璹(로우 즈우)이 고종高宗에게 진상한 것에서 비롯되었다. 절강성浙江省의 현령을 지낸 누숙은 빈풍칠월도*에서 힌트를 얻어 경직도를 그렸다고 한다.
농업과 잠업(蠶業)의 일을 시기 순으로 묘사한 경직도와 잠직도(蠶織圖)를 경직시(耕織詩)와 함께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경직도에는 농사를 짓는 21개의 장면이 묘사되고, 잠직도에는 베짜는 24개의 장면이 표현되어 총 45폭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 각각 오언시(五言詩)를 붙이는데, 원본은 남아있지 않다. 이후 많은 경직도가 그려졌는데, <누숙경직도樓璹耕織圖>를 모본으로 제작된 <패문재경직도佩文齋耕織圖>가 가장 유명하다. <패문재경직도>는 청淸나라 강희 연간(康熙, 1662~1722) 때인 1696년에 초병정焦秉貞(자오 빙즈엉)이 투시원근법을 사용하여 제작한 것이다.
한국에는 조선 중기인 1498년에 <누숙경직도> 모본이 전래되었다고 추정된다. <패문재경직도>는 18세기 초엽이나 늦어도 중엽에 전래된 것으로 보인다. 남아 있는 경직도로는 김홍도金弘道가 그린 <논갈이> 등의 경직도와 작자미상의 <경직도>(독일 게르트루드 클라센 소장) 등이 있다. 조선 후기 풍속화 중에 종종 보이는 논갈이, 베짜기, 실감기 등의 장면은 경직도에 그 연원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