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근대 미술

근대 미술 近代美術 Modern Art(영)

일반적으로 19세기말 인상주의*에서 시작하여 20세기 전반을 지배하면서 여러 가지 분극적, 전문적 발전을 거친 미술사조 전반을 일컫는다. 미술사상에서의 ‘근대’의 정의는 사람에 따라 그 견해가 달라, 역사적 의미에서는 르네상스 이후를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조형예술에서는 자연을 모티브*로 해서 사상의 전달에 중점을 둔 인상주의를 출발점으로 볼 수도 있고, 또 세잔느Paul Cézanne(1839~1906)의 조형사상적 혁명을 근대성(modernity)의 창시점으로 보는 사람도 있다. 이와 같이 그 구분에 대해서는 명료하지 않지만, 모던 아트의 모던은 역사적 시기로서의 근대라기보다도 입체주의*를 거쳐 전개되는 조형 감각이 표출하는 ‘현대(contemporary)’를 의미하며 주로 아방가르드*를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즉 사물의 단순한 재현을 배격하고 개성적인 감각에 기초를 둔 독특한 조형적 형식을 지닌 작품 전반을 근대 미술이라고 볼 수 있으며, 여기에는 추상미술*, 초현실주의*, 비구상* 등이 포함된다.
시각적 세계에 대한 회화적 정복에의 진로는 금세기의 추상미술로 향해 전개되어 왔는데, 여기에는 두 갈래의 흐름이 있었다. 모두 인상주의를 원천으로 하고 있으나, 한쪽은 세잔느의 이론에서 출발하여 입체주의에 이르기까지 차례로 그 영역이 확대되었다. 이 흐름은 제1차세계대전을 전후해서 러시아, 독일, 네덜란드에서 기하학적 및 구성적 운동을 전개하면서 세계 각지로 확대되었다. 이 계통은 그 엄격함에 있어서 이지적, 구성적, 건축적, 기하학적이며 논리학에 가까운 것들이었다.
한편 또 하나의 흐름은 고갱Paul Gauguin(1848~1903)과 그 주변의 예술 이론에 의해 시작된 것으로, 야수주의*를 통해 제1차세계대전 전의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1866~1944)의 추상표현주의*로 발전되었고, 그 후 강력한 세력을 가지고 초현실주의의 예술 속에 재현되었다. 전자에 비해 후자는 기하학적 형태보다는 유기적 형태를 취하고, 이지적이라기 보다는 직감적, 감동적이고 곡선적이다. 또한 전자가 고전적이었던 데 대해서 후자는 오히려 낭만적이었다.
물론 이 두 가지 흐름을 혼합해서 표현한 작가들도 있으나, 기하학적인 경향은 몬드리안Piet Mondrian(1872~1944) 및 구축주의*의 펩스너Antoine Pevsner(1886~1962)와 가보Naum Gabo(1890~1977), 그리고 비기하학적인 작업은 미로Joan Miró(1893~1983) 및 아르프Jean Arp(1887~1966)에 의해서 계속 추구되어 왔다. 이 중간에서 입체주의, 표현주의*, 오르피슴*, 신조형주의*, 구축주의, 다다*, 미래주의*, 초현실주의, 추상표현주의 등 모든 유파가 서로 영향을 끼치면서 활발하게 활동했다.
이들은 모두 일반적인 회화 관념이었던 대상의 사실적 묘사에서 떠나 실재(實在)를 추상화하는 태도에서 기인한 것으로 과거의 미학에 의한 예술관, 즉 감정이입 미학*으로서는 설명하기 어려운 또다른 미의 장르를 형성하였다. 19세기 미술은 예술의 형성을 완성하는 방향으로 매진했던 데 반해서, 근대미술은 근대적 시각을 형성하여 과거의 전통을 타파하고 전통적 예술 형성의 파기를 목표로 하였다.

근대건축국제회의

근대건축국제회의 近代建築國際會議
Congrès Internationaux d’Architecture Moderne, CIAM(프)

스위스의 예술 후원자인 드 만드로Hélène de Mandrot의 주창으로 기디온Siegfried Giedion(1893~1968)과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1887~1965)가 중심이 되어 1928년 6월 28일 스위스의 라 사르에 설립된 회의.
근대 건축가의 국제적 연계 및 통합을 목적으로 한 근대건축국제회의는 이듬해인 1929년 프랑크푸르트에서 두번째 모임을 개최하면서 《최소한의 주거》라는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1930년 브뤼셀에서 열린 제3회 회의에서는 《합리적인 건축 요령》이, 1933년 파트리스호(號) 선상에서 열린 제4회 회의에서는 《아테네 헌장》이 정리되었다. 1937년 파리 회의에 이어, 제6회(1947, 브리지 워터, 《신건축의 19년》), 제7회(1949, 베르가모), 제8회(1951, 호데스돈, 《도시의 핵》), 제9회(1953, 엑 상 프로방스, 《주거》), 제10회(1956, 드브로브니크, 《주거))로 계속되었다.
그러나 제10회 회의를 기획한 바케마Jacob Bakema, 캔딜리스Georges Candilis, 스미슨 부부Alison & Peter Smithson 등 ‘팀 텐Team Ⅹ’의 젊은 건축가들이 기디온, 세르트José Luis Sert, 그로피우스Walter Gropius(1883~1969), 르 코르뷔지에 등 고참회원들의 아카데미즘*, 형식주의 및 통제주의를 맹공격하며 CIAM은 분열의 위기를 맞았다. 1959년 네덜란드 오텔로에서 회의가 열렸으나, 결국 해산이 결정되었고 이것이 마지막 회의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