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다큐멘터리 포토그래피

다큐멘터리 포토그래피 documentary photography(영)

→ 기록사진

다포

다포 多包

공포*(栱包)의 일종. 기둥과 기둥 사이에 창방*(昌枋)과 평방*(平枋)을 걸고 그 위에 포작(包作)을 짜올리는 양식. 중국에서는 요대(遼代)부터 다포형식이 사용되기 시작하여 송, 원대(宋元代)에는 일반적인 양식이 되었다. 특히 송대에는 《영조법식營造法式》이라는 건축기법에 관한 서적이 발간되어 다포계 양식의 규범이 만들어졌다. 일본에서도 가마쿠라(鎌倉)시대에 다포 양식이 많이 사용되었다.
한반도에서는 이러한 형식이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 확실히 알 수 없지만, 1323년 〈관경변상도〉(교토 知恩院 소장)와 북한에 있는 〈심원사心源寺 보광전普光殿〉(1374), 〈석왕사釋王寺 호지문護持門 옹진전應眞殿〉(1384) 등의 건축 자료로 미루어 고려 말기에는 전형적인 다포계 양식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출목(出目) 수에 있어 내외이출목(內外二出目), 내외삼출목 등 구조 양식의 급격한 발전을 보임에 따라, 전형적인 다포계양식의 시작은 적어도 고려 중기 이전으로 여겨진다. 다포 양식은 목조건축 양식 중에서도 가장 장중하고 복잡한 구조와 형식을 가지므로 주로 조선시대 이후 궁전이나 사찰 등 권위있는 건축물에서 사용되었다. 지붕 사이의 공간에 있는 공포는 공간포(空間包)라 한다.

다폭 제단화

다폭 제단화 多幅祭壇畵 polyptych(영)

기독교의 제단화*, 혹은 세 폭 이상의 패널*로 된 기도용 미술 작품을 말한다.

→ ‘제단화’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