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묘지

묘지 墓誌 mu-chih(중)

죽은 사람의 본관과 관위(官位), 행적 등을 돌이나 전(塼)에 새겨 무덤 앞에 묻은 돌이나 도판(陶板), 또는 거기에 새긴 글. 흔히 ‘광지(壙誌)’라고도 한다. 묘 앞에 세우는 묘비와는 구별된다. 《서경잡기》에 ‘전한前漢의 두자춘杜子春이 임종때 글을 지어 돌에 새기고, 무덤 앞에 파묻었다’라는 기록으로 보아 전한때부터 시작된 듯하다. 후한後漢 원평 원년(106)의 〈가무중의 처 마강(價武仲妻馬姜)묘지〉, 서진의 〈유도(劉韜) 묘지〉 등이 현존하는 것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지만 묘지의 시초인지는 확실치 않다. 위진(魏晋)시대에는 금비령(禁碑令)에 의해 묘비 대신 성행하였고, 남북조(南北朝)시대에 이르러 묘지명의 체제가 정비되었다. 현재 한국에 남아 있는 묘지 가운데 가장 오래된 예는 공주 무녕왕릉武寧王陵의 것인데, 523년에 죽은 무녕왕의 능에서 나온 이 묘지는 지신(地神)으로부터 묘터를 산다는 토지 매매 계약서로서의 성격을 지닌다. 묘지가 많이 나타나는 시기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인데, 묘지의 내용이 피장자의 가계나 신분 등 개인신상에 대한 것을 알려주어 당시 사회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