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도상학
불교 도상학 佛敎圖像學
Buddhist Iconography(영)
불교 제존(諸尊)의 조상(彫像), 화상(畵像) 또는 만다라* 내지는 불교적 주제를 취한 회화*, 조각*의 양식과 내용 등에 관한 해석학(解釋學)이다. 불교 미술* 작품의 여러 가지 상징, 설화적, 서술적 표현의 주제와 의미 등을 밝히는 도상해명(圖像解明)의 영역도 포함한다.
불교 도상학은 불교 문헌에서 그 출전을 구명하고 타당한 해석을 하며 불교적 의의를 해명하는 것을 과제로 하지만 동시에 작품의 양식과 연대, 배경 등을 고찰하는 미술사*의 연구와도 밀접한 연관을 갖는다. 도상학적 연구는 불교학과 미술사와의 양면을 추구하는 학문으로 불교 미술 연구의 기본이며, 작품의 진면목을 이해하고 감상하는데 필수적이다.
불교 도상학의 대상은 밀교(密敎)의 경우, 제존의 상(像)이며 표현에 관한 해석에 중점을 둔다. 특히 밀교관계에서는 밀교가 많은 종류의 제존과 다양한 표현형식을 가질 뿐 아니라 제존들의 각종 만다라도 복잡하게 변하고 있으므로 도상학적 고찰이 요망된다. 현교(顯敎)일 경우에는 도상해명을 주로 한다. 현교관계의 도상해명은 초기 인도 미술에 보이는 많은 상징적 표현과 소승불교에서 기원한 〈불교설화도佛敎說話圖〉, 대승불교의 〈정토도淨土圖〉와 〈내영도來迎圖〉, 여러 종류의 경변(經變) 등 그 그림의 주제를 비정(比定)하고 내용을 해명하며, 불교사 및 미술사의 위치를 부여하는 분야이다.
불교 도상학의 과제는 역사적인 맥락속에서 그 지역에 따른 특이한 전개와 변용(變容)들 중에 외래종교와의 교섭과 영향도 고려할 뿐 아니라 제존의 상 표현 전반에 관한 제문제도 종합적으로 고찰한다. 예를 들면, 여러 존상들의 구분에 상응하는 상(像)표현의 기본문제를 해명하기 위해 연구한다. 자세, 수인*(手印), 지물* 등 상(像)형식 일반에 관한 문제와 대좌*(臺座), 광배*(光背), 의복과 장신구, 조상법(造像法), 그리고 만다라와 그 조직에 관한 문제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해명하는 것도 불교 도상학의 영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