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불상

불상 佛像

불상은 넓은 의미로는 불교교리에 의한 예배의 대상을 시각적인 조형매체로 표현한 말로, 여래상은 물론 보살상, 신중상, 나한*상, 명왕*상 등을 모두 포함한다. 좁은 의미로는 불(佛)의 상, 즉 여래상만을 가리킨다. 원래 불상은 석가상을 만드는 데서 출발하였다.
소승 내지 남방 불교에서는 석가상만 집중적으로 제작하였고, 그 외에 약간의 과거불이나 미륵불을 상으로 제작하였다. 대승 또는 북방 불교에서는 아미타*, 아촉, 약사*, 비로자나불* 등의 여래상과 관음*, 세지, 문수*, 지장* 등의 보살상을 만들어 숭배하였다. 또한 밀교(密敎)가 흥기하자 새로이 분노형을 특징으로 하는 명왕상을 만들고, 천부(天部), 귀신상을 다수 더하는 등 불상이 다양해졌다.
불교 초기에는 여래형의 불상이 출현하지 않았는데, 약 500년 동안의 이 시기를 무불상의 시대라고 한다. 불(佛)을 보리수*, 연화*, 불탑*, 불족적*으로 표현하거나 본생담*(本生譚), 불전도*(佛傳圖) 등 회화*나 부조* 등의 여러 가지 상징적인 형태로 나타내었다. 인체의 형상을 빌려 표현된 불상이 처음 조성된 시기는 1세기경으로 인도의 쿠샨왕조*시대에 간다라*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졌다. 간다라지방은 헬레니즘*의 영향을 받아 서방의 고전문화가 들어왔던 곳으로, 소조상이나 회색의 편마암 조상이 많으며 불안(佛顔)이 서구적이며 사실적이다.
한편 인도 중북부의 마투라* 지역에서도 인도 고유의 조각전통에 따른 불상이 등장하는데, 붉은 색에 흰 반점이 있는 사암질(砂巖質) 조상이 많으며 상징적인 인체표현을 주로 하였다. 불상의 도상*적인 특징은 대좌* 위에 불상을 놓으며 두광*(頭光) 혹은 신광*(身光)으로 구성된 광배*가 있어 신성함을 강조한다.
또한 머리의 육계(肉髻), 미간의 백호(白毫), 나발(螺髮) 등의 32상 80종호(三十二相八十種好)로 부처의 초인간적인 신체를 표현하며, 그 상의 성격과 의미에 따라 시무외인(施無畏印), 여원인(與願印),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설법인(說法印) 등 여러 가지 수인*을 하거나 지물*을 들고 있다. 이러한 도상*적인 규범은 인도에서 성립되었으며 중국을 거쳐 한국으로 전파되면서 새로운 의미의 도상이 첨가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