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연등천장

연등천장

목조건축의 내부에서 서까래 바닥면을 보이게 한 천장으로, 삿갓천장이라고도 한다. 가장 오래된 천장형태로 움집, 귀틀집, 토담집 등에서 사용되는 원초적인 천장이다. 연등천장의 특색은 서까래 사이로 산자를 엮은 부분이 훤히 들여다 보이는 것이지만 산자가 보이지 않게 널빤지로 서까래 사이를 덮어 정리하기도 한다. 이러한 천장은 주심포* 계통 양식의 집에 주로 사용된다.

연리문청자

연리문청자 練理文靑磁

→ ‘고려청자’ 참조

연주문

연주문 連珠文
pearl rounded motif(영)

구슬을 꿴 듯이 작은 원을 동그랗게 연결한 문양. 원래 진주는 영혼, 광명, 선(善)을 상징하는 것으로 연주문은 근동지역에서부터 사용됐다. 주로 왕관이나 의복의 장신구에 쓰였으며 고대 공예품과 직물, 건축장식에도 사용됐다.
서아시아에서는 루리스탄 청동기의 가장자리 장식에 사용되었고 사산조 이란*에서 크게 유행하여 의상의 문양과 옷깃, 소매 끝 등 복장의 중요 부분과 왕관 등에 장식되었다. 사산계의 직물에서 연주문이 염직 문양으로 등장하기 시작하여 비잔틴*, 초기 이슬람시기, 7~8세기의 동아시아에도 계승되어 중국의 투르판과 한국에도 쓰인 예가 많다. 후대로 갈수록 소형화되어 단순한 장식의장이 된다. 연주문은 띠 형태로 가장자리를 장식하거나 혹은 작은 원을 이룬 연주문 안에 사자, 봉황 등의 동식물 문양이 삽입되는 경우로 나뉜다. 중국에서는 당唐나라때 크게 유행하여 불상*의 대좌* 및 광배*, 금속공예, 벽화*, 석조부조 등 불교 관계 미술품 장식에 자주 사용되었다. 한국에서도 통일신라시대*에 불교의 성행과 함께 성행하여 불교공예품을 비롯, 불상이나 도자기 등에 장식문양으로 많이 나타난다.

연출사진

연출사진 staged photography(영)

→ ‘구성된 사진’ 참조

연화

연화 蓮花

불교에서 연화는 지저분한 연못에서도 청정하고 아름다운 꽃을 피워내는 모습이 사바세계에 존재하는 부처님의 가르침과 같다 하여 불교를 상징하는 꽃이며, 무명 속에서 깨달음을 얻어 성취되는 진리를 의미하기도 한다. 부처님이 탄생하여 사방으로 일곱 걸음을 걸을 때 땅에서 연꽃이 솟아올라 태자를 받들었기 때문에 부처의 탄생을 상징하기도 한다. 혹은 불교의 이상적인 인간상인 보살을 상징하기도 한다. 불교공예품이나 조각품의 장엄장식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조선시대에는 길상문양으로도 널리 사용되었는데, 연뿌리와 연꽃 줄기가 서로 얽혀있는 것은 형제애를, 열매와 씨앗은 자식을 많이 갖기를 희망하는 유교적인 관념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연화문

연화문 蓮花文

연꽃을 도안화한 문양. 연꽃은 인도와 이집트 등지에서 재배되었고 불교 성립 이전부터 여러 미술품에 장식문양으로 사용되었다. 서양에서는 로터스(lotus)라고 불렀고 내세에 무한한 생명을 부여하는 재생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이집트에서는 해가 뜰 때 꽃이 피고 해가 지면 꽃이 진다고 하여 태양숭배사상과 관련지어 신성시했다. 인도의 가장 오래된 문헌인 《리그베다》에서도 우주만물 창조의 상징으로 비유되어 광명의 꽃, 생명의 꽃으로 상징되었다. 불교성립 후에는 더러운 물에서 자라지만 더렵혀지지 않아 세속에 물들지 않는 청정(淸淨)의 상징으로서 부처의 세계를 공양하는 꽃으로 비유되어 왔다.
연화가 미술품에 장식되기 시작한 것은 불교 발생 이전 이집트* 등의 원동(遠東)지방에서 이고 인도*에서는 기원전 3세기에 만들어진 마우리아왕조*의 아쇼카왕Aśoka 기념 천장과 벽면, 사리용기, 불상의 대좌*와 광배*, 기타 공예품 등에 많이 장식되며 중국에서는 더욱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주로 남북조(南北朝)시대부터 송대(宋代)에 이르기까지 대유행하며 불교의 흥성과 관련이 깊다. 형태는 활짝 핀 연꽃을 위에서 바라본 화판(花瓣)과 자방이 표현된 것, 측면에서 본 꽃잎과 꽃받침만 표현된 것, 연꽃, 잎, 줄기가 표현된 하연(荷蓮) 등이 있다. 연판이 위로 향한 앙련(仰蓮)과 아래로 향한 복련(伏蓮), 하나의 연판에 하나의 꽃잎이 있는 단판(單瓣), 하나의 연판에 두 개의 꽃잎이 있는 복판(複瓣), 연판이 2층 이상 겹친 중판(重瓣) 형식으로 나뉜다.
한국에서는 고구려, 백제 등 고대 건물지에서 발견된 와당*에서부터 연화문이 나타나고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다양한 연화문이 보이며 7세기 이후의 각종 불상에 많이 장식되었다. 고구려의 연화문은 잎 끝이 날카롭고 강직해 보이지만 백제의 것은 온화하고 완만하며, 신라의 것은 우아하고 장식적인 것이 특징이다. 삼국시대까지는 연판 내 장식문이 인동문*, 구슬, 꽃술이 장식되었으나 8세기 무렵부터 잎, 꽃, 보상화문* 등으로 다채로워지며 고려시대엔 연판 내에 문자가 등장하고 귀꽃장식이 유행하였다. 조선시대에는 귀꽃장식이 매우 많고 연판의 양감도 줄어들어 선각에 가까워진다. 인동문과 결합된 연화인동문(蓮花忍冬紋)은 주로 삼국시대에, 연화당초문(蓮花唐草文)과 연화보상화문(蓮花寶相華文)은 통일신라시대에 나타난다.

연화좌

연화좌 蓮華座

→ ‘대좌’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