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하루 그만보기
요대 미술 遼代美術
요(遼, 916~1125)는 내몽골 동부에 살던 거란족(契丹族)이 세운 나라로, 건국 이전부터 당唐의 영주營州(현 요녕성 금주錦州의 조양朝陽 부근)를 통해 당의 문화를 숭상하고, 태조 926년에 발해를 멸망시킨 후, 태종 회동 원년(會同, 938)에는 후진後晉으로부터 하북성, 산서성 북쪽을 할양 받아, 광대한 영토를 소유하는 강국이 되었다.
건축: 궁성은 상경上京 임황부臨潢府, 동경東京 요양부遼陽府, 남경南京 석진부析津府, 중경中京 대정부大定府, 서경西京 대동부大同府의 오경을 두었다. 상경과 중경은 내몽골에 있었는데, 현재 성벽의 흔적은 남아있고, 동경은 요녕성 요양 부근, 남경은 지금의 북경 서남 부근, 서경은 산서의 대동 부근에 있었다. 거란족의 고유한 건축은 후세의 몽골 민족과 같은 조립식의 궁려(穹廬)였는데, 주요한 궁로는 출입구를 동쪽으로 향하게 하였다. 중국계 건축은 당의 양식을 그대로 모방했는데, 그것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는 한 예는 하북성河北省 소현의 〈독락사獨樂寺 관음각觀音閣〉(984)이고, 그 외에는 요동성 의현의 〈봉국사 대웅전〉(1020경), 하북성 보저현寶抵縣의 〈광제사廣濟寺 삼대사전三大士殿〉(1025), 산서성 〈대동사 하화엄사의 박가교장薄伽敎藏〉(1038)과 〈해회전海會殿〉 〈보현전普賢殿〉, 하북성 신성현의 〈개선사開善寺 대전大殿〉, 하북성 역현易縣 〈개원사開元寺 관음전觀音殿〉 〈비로전毘盧殿〉 〈약사전藥師殿〉 등이 11세기부터 요의 몰락 직후인 12세기 초까지 목조로 건축되었다. 이 건물들이 독락사 관음각과 다른 점은 당양식을 기조로 하면서 다소 다른 경향으로 바뀌었다는 점이다.
탑*으로는 산서성 응현應縣의 〈불궁사佛宮寺 석가탑釋迦塔〉이 있는데, 이 탑은 중국에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탑으로, 팔각오층석탑이다. 전탑은 팔각첨탑이 압도적으로 많고 팔각층탑(八角層塔)은 적다. 팔각층탑은 내몽골의 〈소오달맹昭烏達盟, 백탑자白塔子의 백탑白塔〉, 호화호특呼和浩特 동쪽 백탑역 남방의 〈만부화엄경탑萬部華嚴經塔〉, 하북성 탁현의 〈운거사탑雲居寺塔〉 등인데 각 층의 외벽에 조각이 있는 것이 특색이다. 팔각첨탑의 예로는, 북경北京의 천녕사天寧寺, 탁현의 보수사普壽寺, 통현通縣의 〈연등불사리탑燃燈佛舍利塔〉, 요녕성 서부 금현錦縣의 광제사, 의현 가복사嘉福寺, 동부 심양의 〈무구정광사리불탑無垢淨光舍利佛塔〉(1044)등과 더불어 요의 상경성 유적과 중경성 유적에 걸쳐서 광범위하게 산재한다. 동서 쌍탑으로는 〈북진현北鎭縣 숭흥사崇興寺 팔각십삼첨쌍탑〉의 한 예가 전한다.
조각:불상*으로는 각지에 많이 남아있는 전탑에 장식된 것, 내몽골 영성현寧城縣에서 출토된 응력應曆 7년의 명문*이 있는 석조여래좌상, 하북성 소현의 계현 독락사 관음각에 있는 본존, 소조십일면관음상, 양협시보살상, 산서성 대동大同의 대화엄사大華嚴寺의 불상 등이 있다. 이 불상 등은 모두 균형이 잘 잡혔으며 얼굴생김이 온화하면서도, 단정, 엄숙하고 풍만하여 당 양식의 영향을 보여준다.
요소주의 要素主義
Elemantarism(영)
요소주의라는 용어는 1920년대 반 되스부르크Theo van Doesburg(1883~1931)에 의해 시작된 것으로, 신조형주의*Neo-Platicism의 변형이라 볼 수 있다. 몬드리안Piet Mondrian(1872~1944)이 화면에서 직각만을 고집한 반면 요소주의에서는 수직 수평의 관계만을 고집하는 태도를 버렸다. 반 되스부르크는 사선이라는 불안정한 상태를 만드는 요소를 도입하여 화면에 운동감을 주고자 하였다.
요철법 凹凸法
동양회화에서 입체감을 나타내기 위하여 먹이나 채색을 써서 명암의 단계를 번지듯 점진적으로 나타내는 기법. 서방의 지중해 지역에서 유래되어 북인도와 중앙아시아* 등을 거쳐 극동으로 전래되었다 하여 ‘태서법(泰西法)’이라고도 한다. 중국 육조(六朝)시대의 장승요張僧繇(즈앙 썽야오)가 금릉金陵(현 江蘇省 南京)에 있는 일승사一承寺에서 ‘천축법(天竺法)’을 써서 입체감의 효과를 강조한 그림을 그렸는데 멀리서 보면 요철처럼 빛나지만, 가까이서 보면 실제로는 평탄하다는 것이다. 장승요가 요철법의 전통을 확립한 이후 당초(唐初)에 위지을승尉遲乙僧(웨이츠 이썽)이 공덕, 인물*, 화조*를 그렸는데, 모두 외국의 사물들로서 현란한 염색에 음영이 있고 입체감이 강하여, ‘요철화파’라는 명칭이 생겼다. 이런 종류의 회화 작품을 ‘요철화’라고 간략하게 부른다. 우리나라에서는 고구려시대의 고분벽화에서 요철법의 초기 단계를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