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귀솟음

귀솟음

건물 전체의 균형을 위해 기둥의 높이를 각각 조절하는 건축 기법. 귀솟음은 일반적으로 평주(平柱)에서 귓기둥(隅柱) 쪽으로 가면서 차차 기둥의 높이를 키워 귓기둥을 높게 한다. 이는 기둥의 높이가 동일할 경우, 귓기둥이 짧게 보이는 착시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귀솟음과 유사한 목적으로 변두리 기둥을 건물 내부쪽으로 기울게 하여 건물의 안정감을 주는 수법을 안쏠림이라 한다.

규 圭 gui(중)

→ ‘옥기’ 참조

균열

균열 龜裂 crack(영)

①회화 기법의 하나. 유화가 갈라지는 것을 이용하여 작품의 미적 효과를 높이려는 시도. 잘 마르지 않는 채료(彩料) 위에 잘 마르는 채료를 칠했을 경우나 건성유*를 너무 많이 썼을 경우에, 재료가 수축하여 일어난다. 또 화포에 먹인 풀이 너무 진하거나, 화포를 말 때 화면을 안쪽으로 하면 균열이 잘 일어난다. ②도자기에 잔 금이 가도록 주도면밀하게 유도한 유형. 가끔 곱게 분쇄한 산화철을 문질러 넣고 한번 더 소성하기도 한다.

→ ‘빙렬’ 참조

균형

균형 均衡 balance(영)

물체가 수직축을 중심으로 좌우대칭으로 배치될 때 생기는 중력적인 균형. 원래는 저울의 일종인 ‘천칭(天秤)’을 의미했다. 넓은 의미로는 각종 대조물, 직선과 곡선, 수평선과 수직선, 명(明)과 암(暗), 흑과 백, 한색과 난색 등이 서로 힘을 보충하여 긴장감과 안정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결국 균형이란 조화와 역학적 안정을 포함한 물질적인 여러 단위의 공간적 배치라고 할 수 있다. 즉 조건과 성격이 다른 대조적인 것들이 안정된 통일감을 유지하게끔 배치되는 것을 말한다. 조형 표현에서의 지극히 중요한 조건 중의 하나인 균형은 형의 대소(大小), 성질, 명암이나 채도, 재질감 등 온갖 구성 요소가 평형을 유지하여 전체로서 긴장된 조화를 이룰 때 얻어진다.
조화를 유지하는 아름다움은 정적이고 온화한 미적 효과를 지니지만, 그것만으로는 단조로워서 변화가 결핍되기 쉬운데, 이것을 깨뜨리고 동적인 효과를 이끌어내는 수단으로서 대비*(contrast) 또는 대조가 요구된다. 이 동적인 효과의 콘트라스트가 모순되지 않는 것 또한 조화이다. 이렇듯 미학*의 중심 과제인 ‘다양의 통일’, 즉 변화와 조화는 끊임없이 예술에 요구된다.

그라뷔르

그라뷔르 rotary photogravure(영)

사진을 응용하여 제판하는 인쇄법의 일종. 요판(凹版) 인쇄의 대표적인 기법으로, 특히 윤전식 사진 요판의 약칭이다. 그라뷔르 인쇄는 사진의 상태와 농담(濃淡)을 잘 나타내는 고속도 다량 생산의 인쇄법이어서 영화, 오락 잡지, 주간지 등 사진이 많은 인쇄물에 주로 쓰인다.

그라타주

그라타주 grattage(프)

‘긁어 지우기’나 ‘마찰’이란 뜻의 회화 기법. 두텁게 색칠을 한 다음, 그 표면을 긁어서 시각적인 효과를 얻는 것을 가리킨다. 색의 두께의 변화에 따라서 색, 빛, 그림자 등의 미묘한 시각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래픽 디자인

그래픽 디자인 graphic design(영)

주로 인쇄기술에 의한 복제*로 대량 생산되는 선전 매개체의 시각적 디자인. 상업 디자인 중에서도 평면적 조형 요소가 큰 것을 일컫는다. 즉 포스터*, 신문 및 잡지 광고, 다이렉트 메일(dierect mail, DM), 표지, 일러스트레이션*, 지도, 통계, 도표 등의 디자인이 포함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와 같은 인쇄물뿐 아니라 텔레비전 광고(television commercial)나 애니메이션 영화(animation film) 등의 디자인까지 포함시키는 ‘시각 디자인(visual design)’이라는 보다 넓은 개념으로 쓰이기도 한다.
그래픽은 ‘쓰다’라는 뜻의 그리스어 ‘그라피코스(graphikos)’에서 유래했다. 일반적으로 회화, 도안, 석판화*, 동판화*, 실크 스크린* 등 평면상에 도형을 나타내는 기술을 통상 그래픽 아트로 총칭하는데, 여기에서 그래픽 디자인 분야가 독립되어 다루어지게 된 것은 20세기에 들어와서부터이다.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광고 선전 매개체로서의 포스터 등의 인쇄에 의한 디자인의 가치가 인식되었고, 기술적으로는 사진 제판술의 진보로 인해 고급의 다색 인쇄에 의한 대량 생산이 가능해진 결과였다.
툴루즈-로트렉Henri de Toulouse-Lautrec(1864~1901)이 만든 포스터가 20세기 초까지 주로 석판화로 인쇄되었던 것에서 전화(轉化)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래픽 디자인은 일러스트레이션, 레이 아웃*, 레터링 등 커뮤니케이션의 기능을 시각적으로 조형하는 창작 활동이 중심이 되고 있다.

그랜드 매너

그랜드 매너 grand manner(영)

역사화*의 고상하고 화려한 양식을 이르는 용어. 회화의 주제를 가장 고상하고 진지하게 만드는 것과 관련된 아카데믹한 이론에서 언급된다. 그랜드 매너는 1770~1771년에 레이놀즈Sir Joshua Raynolds(1723~1792)의 《제3, 제4담론》에서 처음으로 주장되었다. 레이놀즈는 “이탈리아의 구스토 그란데(Gusto Grande), 프랑스의 이상적인 미(beau idéal), 영국의 위대한 양식(great style), 천부적인 재능 및 취미는 단지 동일한 것에 대한 서로 다른 명칭일 뿐이다”고 주장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역사화에서의 조화*도 장엄한 것과 화려한 것, 혹은 장식적인 것의 두 가지 구별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구분은 양식의 다른 범주들과 마찬가지로 고전적인 편람으로 거슬러 올라가 숭고*한 것, 우아한 것, 평범한 것, 힘찬 양식으로 구분된다. 벨로리Bellori(c.1615~1695)는 그의 글에서 이러한 범주들이 17세기 이탈리아에서 최초로 회화에 적용되었다고 기술하였다. 그에 따르면, 그랜드 매너의 대표자로는 푸생Nicolas Poussin(1594~1665)과 17세기의 볼로뉴 화파의 화가들(Bolognese painters)이며, 그중에서도 가장 위대한 화가는 라파엘로Raffaello(1483~1520)다.
회화에서 그랜드 매너는 특이성을 무시하고 일반성을 강조한다. 따라서 화가는 추상 속에서도 본질을 생각해야 하고, 어떤 형상 속에서도 그 종의 특성을 표현해야만 한다. 또한 이 양식은 저속한 것과 일상적인 것에 관심을 표명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저속한 생활이 배제된 영웅적이고 귀족적인 것에 대한 선호도 역시 거부한다. 네덜란드 정물화와 소박한 장르에 대한 경시는 이러한 그랜드 매너 태도가 반영된 것이다.

그로테스크

그로테스크 grotesque(영, 프)

원래 식물, 동물, 인간, 공상속의 동물 등이 환상적인 방식으로 서로 결합되는 고대 장식의 어떤 특정한 형식을 일컫는 용어. 그로테스크한 종류의 장식은 1500년경에 로마의 공중 목욕탕과 왕궁에서도 발견되어 라파엘로Raffaello(1483~1520)의 바티칸 발코니의 형상화를 위한 모범이 되었다. 18세기 후반에 들어 그로테스크는 미적 범주*로 일반화되어 역설이나 우스꽝스러움, 기괴함에 대한 편애(偏愛)를 통해서 소름끼치는 코믹한 작용이나 가슴을 죄는 듯한 작용을 하는 모든 왜곡되거나 희화화된 낯선 표현을 통틀어 일컫게 되었다.
낭만주의*는 그로테스크에서 한편으로는 환상의 근원적 형식을 보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것을 육체와 영혼이라는 기독교적 이분법으로 소급시켜 추한 것과 결합시킴으로써, 그로테스크를 고대 미술에 대립되는 근대 미술의 특성으로 제기하였다.

그리드

그리드 grid(영)

1960년대 초 전반적으로 추상적이고 비관계적인 예술을 하는 화가와 조각가들이 선택하였던 특정한 중성적인 구조 혹은 도구. 르윗Sol Lewitt(1928~ )은 “그리드는 편리한 것이다. 그것은 모두를 균등하게 취급함으로써 크기를 안정시키고, 공간을 중성화한다”고 설명하였다. 그리드는 1960~1970년대에 미국과 영국 추상미술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상투적인 표현이 되었다. 리파드Lucy R. Lippard는 “그리드는 전체를 형성하는 임의적인 구조물이고,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자기 구속적인 도구이며… 마음의 상태, 색채 사상을 표현하는 악보이다. 그것은 캔버스 자체의 전통적인 형태를 되풀이한다. 그것은 논리, 조화, 통일성을 의미한다”고 주장하였다. 존스Jasper Johns(1930~ ), 라인하트Ad Reinhardt(1913~1967), 르윗, 인슬레이Will Insley, 헤세Eva Hesse, 켈리Ellsworth Kelly(1923~ ), 푼즈Larry Poons, 마틴Agnes Martin(1908~ ) 등이 그리드를 이용하여 작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