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형식주의

형식주의 形式主義 formalism(영)

예술*의 다른 특성들보다 예술작품의 형식*에 우선권을 부여하는 예술 이론, 또는 실제 1970년대에 특정한 예술권에서 남용한 용어. 분석적으로 볼 때 대상으로부터 특정한 속성, 성질 또는 관계를 추상화하거나 뽑아내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정신작용은 대상의 다른 속성들을 무시함으로써 가능하다. 그러므로 비평적 분석은 필연적으로 예술작품의 총체성을 분열시킨다. 예를 들어 한 미술 비평가는 예술작품의 형식과 내용*을 상호보완적이기보다는 독립적인 것처럼 논의할 수 있다. 좁은 의미의 ‘형식’은 대상을 색채나 텍스처*에 관계없이 묘사하는 것을 가리킨다. 형식의 개념과 연관된 철학적 문제들은 고대 그리스에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시각 예술에서 형식주의는 일반적으로 20세기의 현대 미술, 그리고 클라이브 벨Clive Bell(1881~1964), 프라이Roger Fry(1866~1934), 그린버그Clement Greenberg(1909~1994)와 같은 이론가들에 대한 특별한 논점을 의미한다. 벨은 ‘시각예술’이라는 표제 아래 여러 시대와 문화에서 나온 다양한 대상들의 공통분모를 찾아냈다. 그는 특징 중 하나가 미적 감정*을 일으키는 선과 색채의 결합으로 이를 ‘의미있는 형식(significant form)’이라고 불렀다. 리글Alois Riegl과 미술사가들은 예술가들이 ‘형식에 대한 의지’를 가진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순수 형식에 가장 가까운 예술은 음악이므로 이론가들은 모든 예술이 음악의 조건을 갈망한다고 주장했다. 그래서 이런 경향은 내용이 없는 순수 형식의 추상미술, 즉 형식추상(Formal Abstraction)이라는 개념이 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실제로 그런 것은 있을 수 없다. 심지어 추상예술조차도 내용을 가진다.
예술가들은 그 후에도 물질 자체의 색채와 질감, 선을 취함으로써 예술작품을 구성하려고 시도했다. 그리고 그들은 예술작품이 외부의 현실과 관련이 없다고 생각했다. 즉 예술을 독자적이라고 주장하는 예술과, 부분과 전체의 관계라는 면에서 형식을 분리시키는 예술로 나아가기 시작했다.
전후 미국이 현대 예술의 중심지로 부상했을 때 형식주의는 미국의 미학과 비평에 의하여 영국의 예술로 스며들었다. 또 버긴Victor Burgin이 지적했듯이 또다른 형식주의의 전통, 즉 사회주의적 형식주의가 유래한 러시아 형식주의가 있다. 1960년대까지 많은 예술가와 비평가들은 형식적 추상이 고갈되고, 어휘상으로도 지루해졌다는 것을 느끼기 시작했다. 현실의 문제들을 반영하지 못하고 대중이 이해할 수 있는 표현을 하지 않음으로써 형식적 추상주의자는 엘리트이며 사회적으로 무책임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형이상학적 회화

형이상학적 회화 形而上學的繪畵
Metaphysical Painting(영) Peinture Metaphysique(프) Pittura Metafisica(이)

이탈리아 근대 회화의 한 경향. 1915년부터 1918년에 이르기까지 데 키리코Giorgio de Chirico(1888~1978), 카라Carlo Carra(1881~1966), 모란디Giorgio Morandi(1890~1964) 등의 작품에 적용되었다. 시인이자 데 키리코의 형인 사비니오Alberto Savinio는 그것에는 “조형적 한계 내에서의 정신적 요구에 대한 총체적 표상이라는 아이러니가 있다”고 말한다.
1938년 데 키리코는 스스로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예술작품이 진실로 불멸의 존재가 되기 위해서는 전적으로 인간적 한계 내에서 벗어나야 하며, 논리나 상식은 이에 방해가 된다. 따라서 이는 꿈과 어린아이의 정신상태에 가깝다…선사 이래 인간이 물려받은 가장 강력한 감각은 예감으로, 늘 우리와 더불어 있다. 마치 우주의 무의미의 영원한 증거인 것처럼….” 형이상학적 회화는 물론 데 키리코의 개인적인 성격이 강하게 작용했지만 미래파에 대한 반동으로 일어났다.
카라는 미래주의*에서 전향했으며, 모란디 또한 보치오니Umberto Boccioni(1882~1916)의 영향을 받았다. 카라는 데 키리코의 그림에서 볼 수 있는 기묘한 심리학적 암시보다는 선과 색의 시각적 특성 및 회화상의 문제에 주목했다. 모란디 역시 심리 묘사보다는 조형적, 회화적 효과를 위해 수수께끼 같은 ‘형이상학적’ 이미지를 사용했고 선에 대한 뛰어난 재능을 보여주었다. 형이상학적 회화는 제1차세계대전 중에 이미 쇠퇴했으나 그 영향은 아직도 지속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1918년에서 1921년까지 기관지인 《발로리 플라스티치Valori Plastici》를 발행했다. 데 키리코의 회화는 그가 1924~1929년 사이 파리에서 가담했던 초현실주의*운동의 전조를 보여주고 있다.

호 壺

→ ‘이기’ 참조

호이살라왕조 미술

호이살라왕조 미술 Hoysaia Dynasty Art(영)

1006년경 남인도의 데칸 지방에서 등장한 호이살라는 후기 찰루키야 왕조*가 붕괴한 이후인 1192년경 발라라Bāllāla 2세(재위 1173~1220)가 독립을 선언하였고 14세기 중엽까지 남부 데칸 지역(현 남부 카르나타카주)을 지배하였다.
호이살라의 미술은 북방과 남방의 요소들을 결합시킨 데칸 양식을 잘 보여 준다. 이 시대 힌두 사원*의 특징은 열주*가 있는 만다파* 주위에 여러 개의 비마나*(성소)를 세우고 각 비마나의 평면을 별 모양으로 만들었다는 점이다. 그런데 이런 사원은 북방 또는 남방 형식의 사원과는 다르므로 힌두 사원의 제3형식인 베사라Vesara 형식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요철(凹凸)이 많은 별 모양 비마나의 벽면에는 세부까지 세밀하게 새긴 부조*상들이 굉장히 많이 장식되어 있어서 매우 복잡해 보인다.
대표적인 사원으로는 〈벨루르Bēlūr의 케샤바Keśava 사원〉(1117), 〈할레비드Halebīd의 호이살레쉬바라Hoysaleśvara 사원〉(1121~1160), 〈솜나트푸르Somnāthpur의 케샤바Keśava 사원〉(1268)을 들 수 있다.

호주죽파

호주죽파 湖州竹派

중국 북송北宋 때의 문인이었던 문동文同(원 통)을 중심으로 묵죽*(墨竹)을 즐긴 문인화가(文人畵家)의 일파. 문동의 마지막 관직이 지호주(知湖州)였던 데에서 호주죽파란 명칭이 붙여졌다. 그들의 묵죽*은 양식적으로 초서*의 필법을 그림에 원용한 것이었다. 기본적인 구도는 뿌리에서부터 대나무 전체를 그리면서 돌을 곁들이는 죽석도(竹石圖)였고, 맑고 깨끗한 화취(畵趣)가 이 일파의 특징이다. 문동의 제자였던 소식蘇軾(쑤 스, 1036~1101)이 실질적인 주도자였다.

호초점

호초점 胡椒點

동양회화에서 나뭇잎을 그리는 기법. 후추알같이 작고 둥그스름한 묵점(墨點)을 조밀하게 찍는 수법으로, 가령 산봉우리 부근의 멀리 보이는 나무를 표현할 때 흔히 쓰인다. 바위나 낮은 언덕에 찍는 점태를 일컫는 경우도 있다. 또 거연巨然(쥐 르안), 오진吳鎭(우 즈언) 계열의 산수화*에서 보이는 것처럼, 산봉우리를 표현하는 만두법(巒頭法)으로 쓰인 예도 있다.

호초점수

호초점수 胡椒點樹

동양 회화에서 근경의 수목묘법(樹木描法)의 하나. 호초점* 같은 작은 흑점을 밀집시켜 나뭇잎을 표현하는 수법이다. 원대(元代)의 오진吳鎭(우 즈언)이 즐겼다고 하는 매화서족점*(梅花鼠足點)과 같은 계열의 묘법이며, 문인 산수화*에 흔히 쓰인다.

혼묘

혼묘 混描

→ ‘인물십팔묘’ 참조

혼병

혼병 魂甁 hunping(중)

중국 고대 명기*(明器)의 일종. ‘혼병(魂甁)’ 또는 ‘혼백병(魂魄甁)’ ‘곡창(谷倉)’으로도 불린다. 육조(六朝)시대 초기에 남방에서 유행한 기물로, 당시에 성행한 종교미신과 관련한 부장품이다. 일반적으로 청자* 제품이 많은데 형태는 항아리 위에 인물과 누각, 쌍궐(雙闕), 불상*(佛像), 포수*(鋪首) 및 금수(禽獸)를 소조*로 만들어 복잡하게 쌓아 올려 붙였다.

혼유석

혼유석 魂遊石

묘의 상석과 봉분 사이에 놓는 장방형의 돌로서 영혼이 나와서 놀도록 만든 돌. 능원에는 봉분 앞에 놓이며 일반봉분에는 상석과 봉분사이에 배치된다. 묘제를 지낼 때 영혼이 나와서 이곳에서 후손이 올리는 제수를 흠향한다고 생각하여 배치한 자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