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겸창시대 미술

겸창시대 미술 鎌倉時代美術

→ 가마쿠라시대 미술

경간구획

경간구획 徑間區劃 bay(영)

건축용어 중의 하나로, 건물의 내부공간 혹은 외부공간을 구획하는 구분. 보통 건물의 내부 공간을 구획한 부분, 기둥과 기둥 사이의 한 구획의 벽(교각의 사이)을 의미한다. 대개 연속적으로 서 있는 건축상의 지주가 한 구분씩 구획을 이룬다.

경덕진요

경덕진요 景德鎭窯
Jing-de-zhen-yao(중)

강서성江西省의 동북부 파양호鄱陽湖로 통하는 해운로인 창강昌江 남부의 부량현浮梁縣 경덕진景德鎭에 있는 도요*(陶窯). 남조시대(南朝時代)부터 자기*를 만들기 시작하여 당대(唐代)에 백자*를 제작했다. 오대(五代)에 당唐의 유명한 도자기를 모방하여 청자*와 백자 등을 생산했다.
송대(宋代)에는 더욱 많은 종류의 도자기를 제작했는데, 그 중에 청백자*(靑白磁)가 이름이 높았다. 청백자는 ‘영청자*影靑磁’라고도 하며 고령토*와 백돈자(白墩子)를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소성한 푸른 빛이 감도는 흰색 백자로, 명칭은 12세기초에 북경 상인들이 붙인 것이다. 북송대부터 제작되기 시작했고 기벽이 얇고 치밀질 백자보다 약간 낮은 화도에서 자기화되어서 백자처럼 견고하지 못하다.
원대(元代)에 궁정용 자기를 관장하는 부량자국浮梁磁局이 설치되어 14세기초부터 ‘추부백자樞府白磁’라는 새로운 치밀질 백자가 제작되었는데, 이것이 발달하여 현재의 백자가 되었다. 또한 청화(靑花), 유리홍(釉裏紅), 동홍유(銅紅釉), 난백유(卵白釉) 등 유명한 자기를 만들어냈고 송말부터 도자기를 수출하기 시작했다.
명청시대(明淸時代)에는 어기창御器廠이 설치되어 관요*(官窯)로서, 도자기 제작의 중심이 되었다. 명대의 오채(五彩), 두채(豆彩)와 첨백(甛白) 등 색유(色釉) 자기가 모두 여기서 창안되었다. 청대(淸代)에 들어서 여러 도공과 감독관 당영唐英 등의 노력으로 도자기술이 더욱 완벽해져서, 분채(粉彩) 뿐만 아니라 법랑채(琺瑯彩) 등 여러 새로운 종류를 만들어냈다. 또한 자기의 유색(釉色)과 조형, 장식이 매우 뛰어났다. 역대로 경덕진은 중국 도자의 중심이었으며 경덕진 동쪽의 고령산高嶺山은 양질의 자기원료가 풍부해서 ‘고령토’라는 세계적인 명칭이 나왔다.

경도화단

경도화단 京都畵壇

→ 교토화단

경상

경상 經床

→ ‘서안’ 참조

경직도

경직도 耕織圖

동양 인물 풍속화의 한 화제(畵題). 농민의 부지런함과 땀 흘려 일하는 모습을 임금에게 알리고, 임금이 백성들의 생업인 농업과 잠업에 대한 정책을 힘쓰도록 촉구하기 위하여 제작되었다. 일종의 권계화*(勸戒畵)로 왕실의 교육에 이용되었다. 남송南宋의 화가인 누숙樓璹(로우 즈우)이 고종高宗에게 진상한 것에서 비롯되었다. 절강성浙江省의 현령을 지낸 누숙은 빈풍칠월도*에서 힌트를 얻어 경직도를 그렸다고 한다.
농업과 잠업(蠶業)의 일을 시기 순으로 묘사한 경직도와 잠직도(蠶織圖)를 경직시(耕織詩)와 함께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경직도에는 농사를 짓는 21개의 장면이 묘사되고, 잠직도에는 베짜는 24개의 장면이 표현되어 총 45폭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 각각 오언시(五言詩)를 붙이는데, 원본은 남아있지 않다. 이후 많은 경직도가 그려졌는데, <누숙경직도樓璹耕織圖>를 모본으로 제작된 <패문재경직도佩文齋耕織圖>가 가장 유명하다. <패문재경직도>는 청淸나라 강희 연간(康熙, 1662~1722) 때인 1696년에 초병정焦秉貞(자오 빙즈엉)이 투시원근법을 사용하여 제작한 것이다.
한국에는 조선 중기인 1498년에 <누숙경직도> 모본이 전래되었다고 추정된다. <패문재경직도>는 18세기 초엽이나 늦어도 중엽에 전래된 것으로 보인다. 남아 있는 경직도로는 김홍도金弘道가 그린 <논갈이> 등의 경직도와 작자미상의 <경직도>(독일 게르트루드 클라센 소장) 등이 있다. 조선 후기 풍속화 중에 종종 보이는 논갈이, 베짜기, 실감기 등의 장면은 경직도에 그 연원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계문

계문 契文

→ 갑골문

계화

계화 界畵

건물, 배, 수레 등을 소재로 자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정밀하게 그리는 것 또는 그 기법. 본래 실용적인 목적에서 출발한 것으로, 장인적이라고 하여 낮게 평가되는 경우도 있다. 하나의 점, 하나의 필획(筆劃)일지라도 자나 컴퍼스와 같은 도구에 의해서 정확성을 기하고자 하는 것이며, 또 그리는 대상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도 요구되기 때문에 학습이 필요한 분야다.
그 역사는 진대(晋代)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고개지顧愷之(꾸 카이즈, 344~406)를 거쳐 수대(隋代)에 그 양식이 본격화되었다. 이사훈李思訓(리 쓰쉰), 동원董源(똥 위앤), 또 북송北宋의 곽충서郭忠恕(구어 쫑쉬), 명대(明代)의 구영仇英(처우 잉)이 대표적인 작가이다. 당대(唐代) 의덕태자묘(懿德太子墓)의 벽화에도 실례가 있으며 송대(宋代)의 〈황학루黃鶴樓〉 〈승왕각도勝王閣圖〉 등이 전한다.

계회도

계회도 契會圖

고려시대 및 조선시대에 유행했던 문인들의 계모임(契會)을 묘사한 그림. 조선시대에는 관아(官衙)의 동료나 과거의 동년(同年) 등이 명승지나 서당에서 계모임을 가졌는데 이를 기념하거나 기록하기 위하여 그 장면을 도시(圖示)했다. 특히 표제(標題)와 인적사항을 적은 좌목(座目)을 첨가하고 있다. 계회도는 옛날 문인들의 문화와 생활의 여러 단면을 그리고 있어 풍속적인 경향이 강하다. 전통문화 내지 회화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고 觚

→ ‘이기’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