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도원도

도원도 桃源圖

고사산수*화의 한 화제(畵題). 중국의 동진東晋 태원 연간(376~396)에 무릉군(현 호남성 원남현 부근)에서 한 어부가 복숭아 꽃이 핀 선경(仙境)에 들어가 그 마을 사람들에게 환대를 받았다는 고사를 그린 것이다. 마을 사람들은 진대(秦代)에 전쟁을 피하여 은둔했던 사람들의 자손으로 한漢, 위진魏晋의 변천을 알지 못했다고 한다. 마을 사람들은 세상의 보통 사람들과 마찬가지의 옷을 입고 생업에 종사하는 사람들로 신선들은 아니었다고 한다. 동진의 도연명陶淵明(타오 위앤밍)이 《도화원기桃花源記》를 짓고부터 유명해졌으며, 별세계 혹은 선경의 의미를 갖게 되었다. 《도화원기》를 보면 도원은 우리와 다름없는 인간들이 사는 곳이다. 다만 외부세계와 차단되어 있는 이상향으로 묘사되어 있어 현실 세계에서 자유로워지고 싶어했던 문인(文人)들의 염원을 엿볼 수 있다. ‘도원’은 중국에서 일찍부터 시인과 화가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었으며, 도원도도 당唐, 송宋, 원元, 명明, 청淸에 걸쳐 많이 그려졌다.
당대(唐代)의 오도자吳道子(우 따오쯔), 남송南宋의 유송년劉松年(리우 쏭니앤), 원대(元代)의 전선錢選(치앤 쉬엔, 1235~1301 이후) 조맹부趙孟頫(자오 멍후, 1254~1322), 명대(明代)의 심주沈周(선 저우, 1427~1509) 문징명文徵明(원 즈엉밍, 1470~1559) 문가文嘉(원 지아) , 청대(淸代)의 석도石濤(스 타오, 1641~1717) 등이 많이 그렸다.
‘도원’이 한국에 언제 처음으로 알려졌는지는 분명치 않으나 조선시대의 화가 안견安堅이 그린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가 매우 유명하다. 이후 화원화가인 이징李澄(1581~1645), 이하곤李夏坤(1677~1724), 강세황姜世晃(1713~1791), 이인문李寅文(1745~1821), 허련許鍊(1809~1892), 근대의 안중식安中植(1861~1919) 등이 도원도를 그렸다. 복사꽃이 어지럽게 핀 푸른산이 사방으로 둘러싸여 있고 그 속에 마을이 자리잡고 있다. 아울러 어부와 밭, 연못, 뽕나무, 대나무 등이 묘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