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불교 미술

불교 미술 佛敎美術

불교의 교리와 신앙에 기초하여 불교적인 소재를 시각적인 방법으로 조형화한 미술. 예배의 대상 또는 교화활동, 불교의식의 필요에 의해 발생하였고, 미술의 각 부문에 나타난다. 불교 미술은 불교의 성립과 동시에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초기에는 불(佛)을 상징하는 불족적*(佛足跡)이나 법륜*(法輪), 보리수(菩提樹) 등의 대상물 혹은 본생담*과 불전담* 등을 다루다가, 나중에는 불탑*(佛塔)과 불상*(佛像)이 주된 불교 미술이 되었다. 특히 사리와 불탑숭배가 성행하여 불탑의 조영과 장엄을 필요로 하게 됨에 따라 차차 불교 미술이 발전하게 되었다. 또한 의식 및 장엄구의 필요에 따라 공예의 발달을 보게 되었다.
불상의 출현은 1세기 말부터이며 간다라*와 마투라*지역에서 급속도로 발전했다. 불교 미술은 크게 3가지 흐름으로 전개되었다.
①초기 이래 불탑의 조영과 숭배에 중심을 둔 계열이다. 불상의 표현도 석가불로 집중되고, 나머지는 본생도와 불전도로 장엄하면서도 단순, 소박한 내용을 갖는다. 스리랑카*와 동남아시아*로 전파된 이른바 남방 불교 제국의 미술이 대체로 여기에 속하고, 또한 북방의 중앙아시아, 중국, 한국, 일본에서도 불탑과 석가상을 다룬 미술이 주류를 이루었다.
②불탑보다도 불상*을 주로 제작하면서 불상 이하 여러 존상의 도상제작을 전개시킨 대승불교(大乘佛敎) 미술이다. 이는 북방 불교 제국의 다양한 발전과 더불어 남방의 인도네시아*와 인도차이나* 일부에 전래되었다.
③밀교 미술(密敎美術)로 7~8세기 인도에서 발생, 중국과 일본에 전파되었으며 인도네시아에서 넓게 분포되었다. 한편 네팔과 티베트*로 들어가 독특한 라마교 미술*을 전개시켰고, 다시 몽골, 만주, 북중국에 전파되었다.
불교 미술은 동아시아 고대, 중세 미술의 주류를 이루었다. 불교 미술의 내용은 크게 현교 미술(顯敎美術)과 밀교 미술, 대승 미술과 소승 미술로 구분한다. 소승 미술은 초기부터 행해진 불탑 중심의 미술이고, 스리랑카 이하 남방 불교 미술 및 북방 불교의 전기 미술이라 할 수 있다. 대승 미술은 북방 불교의 주류를 이룬 미술이고 불, 보살, 기타 여러 존상을 중심으로 다루는데, 특히 중국, 한국, 일본에서 성행하여 정토교 미술, 법화경 미술, 선종 미술 등으로 분화되었다. 밀교 미술도 사상적으로 대승 미술의 일종이다.

불교 벽화

불교 벽화 佛敎壁畵

사원의 벽면에 직접 그린 불화*. 인도의 아잔타 석굴* 벽화를 비롯해 미란, 키질, 돈황* 등지에 많이 남아 있는데, 이들 초기의 작품들은 주로 본생도*와 불전도* 등의 불교설화를 다루었다.
중국 당나라 때에 이르면 불교학의 발달과 경전 번역사업에 힘입어 경변상도가 주요 테마로 대두되고, 이 밖에 예배도, 설법도 등도 많이 그려졌다. 한국에서는 기록상으로 삼국시대부터 불교 벽화가 발전되었다고 하나, 현존하는 유물로는 고구려, 백제고분에 불교예배도, 보살, 비천 및 연꽃, 화염문 등의 표현을 확인할 수 있다. 현존하는 불교 벽화 가운데 가장 오래된 〈부석사浮石寺 벽화〉는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제석천*과 범천* 그리고 사천왕상*이 그려져 있다. 그 밖에 조선시대의 벽화로는 강진 무위사無爲寺 극락전 벽화, 안동 봉정사鳳停寺, 고창 선운사禪雲寺 등에 남아 있다.

불구

불구 佛具

불교의식이 거행되거나 법당의 장엄을 위한 도구. 의식용구로는 범종, 운판, 목어, 법고, 목탁, 향로, 정병, 요령, 금강저, 석장, 위패 등이 있고, 장엄용구로는 번, 당, 천개, 풍령, 화병 등이 있다.
①범종(梵鐘):범종은 종루에 걸어놓고 당목(撞木)으로 쳐서 시간을 알리거나 대중을 모을 때 사용된다. 범(梵)은 우주만물이며 진리란 뜻으로, 범종은 그 소리를 내는 것이란 뜻. 종소리를 듣는 순간 모든 번뇌가 없어지고 악도(惡道)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신앙적 의미가 있다. 기원은 인도의 ‘건추犍椎’라는 악기이나 유물이 남아 있지 않아 생김새는 알 수 없다. 중국의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에 만들어진 ‘동탁’이나 ‘풍탁’이 변형된 것이라 추정된다.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부터 범종이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으나 현존유물은 8세기 이후의 작품들이 대부분이다. 범종의 외형은 용뉴(龍鈕), 음관(音管, 용통), 유곽(乳廓), 유(乳), 당좌(撞座) 등으로 갖추어져 있으며, 음관은 한국 범종의 특징이다. 725년 〈상원사上院寺 동종〉이 가장 오래된 예이며, 고려시대에는 공예적인 성격의 소종(小鐘)이 많이 만들어졌다.
②금강저(金剛杵)vajra(범):밀교의식용(密敎儀式用) 불구로서 번뇌를 없애는 보리심을 상징한다. 원래는 고대 인도의 무기였다가, 불교에 들어와서 여래의 금강과 같은 지혜로서 마음속에 있는 어리석은 망상을 파멸시키는 무기로 의미가 변화하였다. 형태는 양쪽 끝이 뾰족하며, 독고(獨鈷)저, 2고저, 3고저, 4고저, 5고저, 9고저가 있다. 독고저가 가장 고식(古式)이다. 금강저는 사악한 것을 없앤다는 의미에서 만다라*나 사경* 등 불화의 테두리에 장식되기도 한다.
③금강령(金剛鈴):불교의식에 사용되는 불구의 하나. 진언을 송경할 때나 성현 또는 천인 그리고 망령들을 초청할 때에 쓰인다. 요령(搖鈴)이라고도 한다. 청동제품이 대부분이며, 형태는 종신(鐘身)과 손잡이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종(鐘)에 번뇌를 없애준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갖고 있는 금강저의 형태가 합쳐진 것이다. 원래는 인도에서 유래된 것으로 중국 당唐나라 때 불교에 수용되어 금강저와 함께 밀교의식용으로 쓰여지게 되었다. 보통 손잡이 형태에 따라 독고령, 3고령, 5고령, 9고령, 보주령(寶珠鈴), 탑령(塔鈴)으로 분류되는데, 한국에서는 3고령과 5고령만 볼 수 있다. 종신부분에는 용 또는 불상*, 사천왕*, 명왕*상 등의 문양이 조각되어 있다.
④정병(淨甁)kundika(범):가장 깨끗한 물을 넣는 병으로, 주둥이 부분과 목부분, 몸체부분 등 3부분으로 이루어졌는데 목부분이 길다. 인도에서 발생하여 불교와 함께 중국과 한국 등에 전해졌으며 불(佛) 앞에 물공양으로 바치는 불기(佛器)로서의 성격과 불, 보살의 구제자적인 성격을 표현하는 지물*이라는 두 가지 성격이 있다. 정병은 청동으로 만든 것과 도자기가 주로 쓰였으며, 고려시대에 대량으로 조성되었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국보 제92호 〈청동은입사포류수금문정병靑銅銀入絲蒲柳水禽文淨甁〉은 고려시대의 우수한 금속공예의 한 면을 보여준다.
⑤당번(幢幡):‘증번(繒幡)’이라고도 한다. 불, 보살의 위덕을 표시하고 불전을 장엄하기 위해 사용된 ‘당(幢)’과 ‘번(幡)’이다. 당은 장군이 병졸을 통솔할 때 쓰는 군기의 일종이다. 불교에서는 부처가 법왕으로서 모든 번뇌를 파괴한다는 상징적인 의미에서 쓰였다. 번은 불전 안의 기둥이나 천개 또는 법당 밖에 거는 깃발을 말한다. 인도에서는 성자(聖者)를 표시하거나 무공을 알리기 위해 쓰였으나 불교에 들어와서는 악귀를 항복시키는 것을 상징한다. 번의 종류로는 관정번(灌頂幡), 정번(庭幡), 평번(平幡), 사번(絲幡), 옥번(玉幡), 목당번(木幢幡) 등이 있다.
⑥천개(天蓋):불상 위에 설치되는 일종의 닫집. ‘보개(寶蓋)’ ‘화개(花蓋)’ ‘산개(傘蓋)’ ‘현개(縣蓋)’ ‘원개(圓蓋)’라고 하기도 한다. 부처가 머무는 도솔천의 내원궁(內院宮)을 묘사하여 불상의 상부를 장엄하는 일종의 목조건물이다. 고대 인도에서 햇빛이나 비를 막기 위한 우산에서 출발하여 귀인(貴人)의 상징으로 쓰였다. 불교에 들어와서 사원의 천장을 장식하거나 불, 보살의 머리 위를 장엄하는 장식물로 바뀌게 되었다.

불상

불상 佛像

불상은 넓은 의미로는 불교교리에 의한 예배의 대상을 시각적인 조형매체로 표현한 말로, 여래상은 물론 보살상, 신중상, 나한*상, 명왕*상 등을 모두 포함한다. 좁은 의미로는 불(佛)의 상, 즉 여래상만을 가리킨다. 원래 불상은 석가상을 만드는 데서 출발하였다.
소승 내지 남방 불교에서는 석가상만 집중적으로 제작하였고, 그 외에 약간의 과거불이나 미륵불을 상으로 제작하였다. 대승 또는 북방 불교에서는 아미타*, 아촉, 약사*, 비로자나불* 등의 여래상과 관음*, 세지, 문수*, 지장* 등의 보살상을 만들어 숭배하였다. 또한 밀교(密敎)가 흥기하자 새로이 분노형을 특징으로 하는 명왕상을 만들고, 천부(天部), 귀신상을 다수 더하는 등 불상이 다양해졌다.
불교 초기에는 여래형의 불상이 출현하지 않았는데, 약 500년 동안의 이 시기를 무불상의 시대라고 한다. 불(佛)을 보리수*, 연화*, 불탑*, 불족적*으로 표현하거나 본생담*(本生譚), 불전도*(佛傳圖) 등 회화*나 부조* 등의 여러 가지 상징적인 형태로 나타내었다. 인체의 형상을 빌려 표현된 불상이 처음 조성된 시기는 1세기경으로 인도의 쿠샨왕조*시대에 간다라*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졌다. 간다라지방은 헬레니즘*의 영향을 받아 서방의 고전문화가 들어왔던 곳으로, 소조상이나 회색의 편마암 조상이 많으며 불안(佛顔)이 서구적이며 사실적이다.
한편 인도 중북부의 마투라* 지역에서도 인도 고유의 조각전통에 따른 불상이 등장하는데, 붉은 색에 흰 반점이 있는 사암질(砂巖質) 조상이 많으며 상징적인 인체표현을 주로 하였다. 불상의 도상*적인 특징은 대좌* 위에 불상을 놓으며 두광*(頭光) 혹은 신광*(身光)으로 구성된 광배*가 있어 신성함을 강조한다.
또한 머리의 육계(肉髻), 미간의 백호(白毫), 나발(螺髮) 등의 32상 80종호(三十二相八十種好)로 부처의 초인간적인 신체를 표현하며, 그 상의 성격과 의미에 따라 시무외인(施無畏印), 여원인(與願印),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설법인(說法印) 등 여러 가지 수인*을 하거나 지물*을 들고 있다. 이러한 도상*적인 규범은 인도에서 성립되었으며 중국을 거쳐 한국으로 전파되면서 새로운 의미의 도상이 첨가되기도 하였다.

불전

불전 佛殿

불교사원(佛敎寺院)에서 본존 및 보살, 호법선신 등을 봉안하는 건물. 불탑과 더불어 가람*의 중심적인 시설. 인도에서 부처님을 빛이 나는 인물이라 하여 부처님을 모신 건물을 금당(金堂)이라고 하였다. 한국의 절에는 많은 불전이 있는데, 석가모니불을 모신 불전을 대웅전(大雄殿), 비로자나불*을 모신 불전을 대적광전(大寂光殿), 아미타*를 주존으로 모신 불전을 무량수전(無量壽殿), 약사불*을 모신 약사전(藥師殿), 미래불인 미륵보살*을 모신 미륵전(彌勒殿) 혹은 용화전(龍華殿), 부처님의 제자인 16나한을 모신 응진전(應眞殿) 혹은 나한전(羅漢殿), 관세음보살을 주존으로 한 원통전(圓通殿) 등이 있다. 그밖에 북두칠성을 모신 칠성각(七星閣), 산신을 모신 산신각(山神閣), 중생에게 복을 베푸는 나반존자를 봉안한 독성각(獨聖閣) 등이 있다.

불전도

불전도 佛傳圖

석가모니 일생의 중요한 사건이나 가르침의 내용을 묘사한 그림이나 조각*. 불전(佛傳)이란 석가의 전기라기보다는 그 생애를 미화시킨 전설이라고 할 수 있다. 불교경전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중요한 사건이나 내용은 거의 유사하다. 보통 탁태(托胎), 탄생에서부터 학습, 사문출유(四門出遊), 납비(納妃) 등의 태자시대, 출가하여 고행하고 보리수 아래서 깨달음을 얻고 처음으로 설법하는 초전법륜(招電法輪), 10대제자에게 설법하는 데에 이르는 시기까지의 내용을 이른다.
특히 석가의 일생 가운데 가장 중요한 8가지 사건을 ‘석가팔상(釋迦八相)’이라고 한다. 대체로 석가의 전반생(前半生)에 한하며, 열반전후를 다룬 내용은 열반도(涅槃圖)라고 한다. 이러한 불전도는 기원전 2세기경에 나타나며, 대승, 소승과 무관하게 각지에서 성행하였다. 인도의 산치*, 간다라*, 아마라바티*의 각 부조*와 아잔타의 벽화*, 중앙아시아*의 키질벽화, 중국의 돈황벽화 등에서 볼 수 있고 자바에 있는 보로부두르*의 120면에 달하는 불전부조는 매우 훌륭하다.

불족적

불족적 佛足跡

부처의 상징. 중생을 보살피기 위해 동분서주한 부처님을 상징하기도 한다. 주로 무불상시대에 부처를 상징하기 위해 보리수, 법륜*, 연화* 등과 함께 많이 표현된 도상*. 《법현전法顯傳》에 수록되어 있는 ‘마갈타국의 화씨성을 지나면서 남쪽에 있는 바위에다 발자국을 남겨두시고 곧 열반에 드실 것을 예언하셨다’는 기록과 ‘부처님이 열반에 드실 적에 가섭존자에게 관 밖으로 두 발을 내보이셨다’라는 기록 등에서 경배의 기원을 찾을 수 있다. 또한 부처님의 32상 80종호(三十二相八十種好)의 한 부분으로 자연히 숭배의 대상이 되었다.

불화

불화 佛畵

불교회화의 줄임말. 좁은 의미로는 존상화(尊像畵) 즉 전각* 등에 모셔놓고 예배하는 그림을 일컬으며, 넓은 의미로는 교화를 목적으로 그린 갖가지 그림이나, 가람*을 장엄(莊嚴)하게 하기 위하여 그린 일체의 그림을 말하므로 단청*도 여기에 속한다.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根本說一切有部毘那耶雜事》에 최초의 사원인 ‘기원정사祇園精舍’에 불화를 장식하였다는 기록이 있어, 불교의 성립과 비슷한 시기(기원전 3~2세기)에 불화가 그려졌던 것으로 추정된다.
최초의 불화는 아잔타 석굴*의 벽화*들로 기원전 2세기경의 작품이다. 불화는 재료의 바탕에 따라 벽화, 베 또는 종이를 사용한 탱화*, 병풍화로 나눌 수 있으며 나무, 금속, 돌을 사용하는 등 재료가 다양하다. 용도에 따라서 장엄용, 교화용, 예배용이 있다. 주제에 따라서는 불화(佛畵), 보살화(菩薩畵), 신중도*(神衆圖), 나한조사도(羅漢祖師圖) 등이 있다.

브라흐마

브라흐마 Brahmā(범)

인도 베다 시대에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 신이었고 그 후 힌두교 신 중의 하나가 되었으며 불교에서는 ‘범천*梵天’이라고 한다. 브라흐마는 ‘세계의 창조자, 자기 스스로를 창조한 아버지’라고 불리기는 하지만 힌두교의 다른 두 신인 시바*와 비슈누* 보다는 중요하지 않다. 브라흐마를 섬기는 특별한 종파는 없으며 인도의 아즈메르Ajmer에 있는 푸시카르Puschkar 사원이 유일하게 브라흐마를 모시고 있다.
브라흐마는 사면사비상(四面四臂像)으로 표현되는데 그의 지물*로는 악샤말라Akshamala(염주), 카만달루Kamandalu(물병), 시루크Shruk(숟가락), 경권(經卷)이 있다. 고행의 상징인 검은 사슴 가죽을 둘렀고 그의 바하나*는 거위 혹은 백조로 번역되는 함사hamsa이다. 단독으로 혹은 그의 배우자인 사라스바티*와 같이 연화좌* 위에 앉은 모습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6세기 초에 만들어진 데오가르의 비슈누 신전에는 아난타 위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는 비슈누의 배꼽에 핀 연꽃에서 태어난 브라흐마의 이야기를 부조*로 나타낸 작품이 전하고 있다.

브루탈리즘

브루탈리즘 Brutalism(영)

1950년대 영국에서 형성된 건축의 한 경향으로 르 코르뷔지에 Le Corbusier(1887~1965)의 후기 건축과 그의 영향을 받은 동시대 영국 건축가들을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1954년 영국의 건축가 피터 스미슨과 앨리슨 스미슨 부부Alison & Peter Smithsons가 노포크 지방의 한스탄튼 학교 건축에서 보여주기 시작한 비정하고 거친 건축 조형미학을 가리킨다. 브루탈리즘이라는 명칭은 전통적으로 우아한 미를 추구하는 서구 건축에 대해서 야수적이고 거칠며 잔혹하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제2차세계대전 이후 형식주의화한 브루탈리즘은 기능주의*로의 복귀를 꾀하면서 신절충주의나 신아르누보라고 불려지는 것처럼 일종의 조형화된 근대 건축에 반기를 들었다. 그 건축적 특징으로는 가공하지 않은 재료 그대로의 사용과 노출 콘크리트(béton brut)의 광범위한 적용, 비형식주의, 건물에서 감추어져 왔던 기능적인 설비들을 숨기지 않고 그대로 드러낸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스미슨 부부 외에 스털링James Stirling, 하웰William Howell 등이 브루탈리즘을 대표하는 건축가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