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라마교 도상학

라마교 도상학 Lamaist Iconography(영)

티베트 불교미술의 조각*, 회화*에 보이는 여러 불존의 형태는 원칙적으로 인도 후기 밀교의 탄트라* 성전에 근거를 두고 있지만, 거기에 지역적인 변용이 첨가되어 독자적인 도상학*을 이루고 있다. 라마교의 세계관에는 만물의 근원적인 존재라고 일컬어지는 본초불(本初佛)로부터 5불이 나오고 이 5불에서 일반의 여러 불, 보살, 제천을 비롯해 현상세계의 사물이 유출되어 나온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라마교의 여러 존상은 계통적으로 5불에 속하며, 이를 부주(部主, 각 부를 주재하는 불)로 하여 색채나 외형 등이 비슷하거나 머리에 부주의 소상이 붙기도 한다.
라마교 도상의 기본이 되는 5불의 명칭은 다음과 같다(표 참고). 라마교의 제존은 형태상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①본초불:지금강(指金剛)금강, 살타, 보현 등. ②5불:표의 5불. ③명비:표의 5명비. ④불:가섭(迦葉), 연등(燃燈), 석가(釋迦), 미륵(彌勒), 약사(藥師) 등 인간의 모습을 한 것도 있다. ⑤보살:관음, 문수, 지장 등으로 이들은 온화한 표정을 짓는다. ⑥염지불(念指佛):헤바주라, 산뒤 등. ⑦호법존:성천녀(聖天女), 마하카라, 야만탄카 등 만다라의 수문장. ⑥과 ⑦은 다면다비(多面多臂)로서 분노형을 띤 것이 많다. ⑧여존(女尊):변재천(辯才天), 백산개(白傘蓋) 등 분노형을 띤 것도 있다.
이 이외에 사계절의 신도 있다. ⑨제천(諸天):다키니, 용신(龍神, 나가), 금시조(金翅鳥, 가루다) 등. ⑩지방신(地方神):부(富)의 신, 동물의 신, 하신(河神), 산신(山神), 야차(夜叉) 등. ⑪조사상(祖師像):파드마산바바, 촌카바 등 역사상 실재했던 라마교의 조사. 이상 라마교의 제존은 색채, 법구, 대좌, 좌법(asana), 인계, 명비의 유무 등에 의해 식별되지만 전거가 되는 인도 밀교의 성전, 의궤와 엄밀하게 대응하지 않으므로 판정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라마교 미술

라마교 미술 Lamaist Art(영)

티베트 불교 미술. 라마교는 티베트 본토뿐만 아니라 히말라야 산맥 주변의 서 티베트, 라다크, 네팔, 시킴, 부탄 외에 중국 본토와 티베트 지방이 접하는 지역, 북쪽으로는 몽골 고원 일대로부터 중국 동북 지방에 걸쳐 광범위하게 신봉되었다. 이들 각 지역에는 모두 같은 수준의 라마교 미술이 발달했다.
라마교에는 우주의 근원적인 원리를 불격화(佛格化)한 본초불 이하 많은 수의 존상으로 된 판테온(panthéon, 제존의 체계)이 있으며, 개개의 존상을 조상하는 것 외에 판테온 전체를 벽화*나 금동상 등으로 나타내는 예가 있다. 이와 같은 조상의 예는 불교도상학*에 나타난 산발적인 조상의 예보다 훨씬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자료를 제공한다. 어느 책에서는 이 존상들을 약 21항목으로 분류하였는데, 그 중에는 대비밀불(大秘密佛), 오방불(五方佛) 등 여러 종류의 현교적인 불(佛)이나 비밀불, 35(참회)불, 7약사불, 여러 종류의 보살, 구도불모(救度佛母, 多羅), 그 외의 불모(女神)들이 있고 호법신, 호법여신, 십팔나한, 인도 이래의 현교의 조사들 등이 포함되어 있다. 자주 나오는 금강수(金剛手)나 다수의 다키니 등도 이들 항목 속에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제존은 유화형과 분노형으로 나누어지고 또 단신과 쌍신포옹으로 나누어지지만, 라마교에는 분노형이나 쌍신포옹형이 매우 많다. 한 화면에 주존을 중심으로 제존을 중첩해 그려 나무와 같은 형태를 한 것을 쏘크신(tshogs-śin, 集會樹)이라고 한다. 대좌*나 수인*(手印, mudrā)은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에서도 촉지(觸地), 설법(說法), 선정(禪定), 시무외(施無畏), 여원(與願)의 다섯 가지 인(印)이 가장 보편적으로 나타난다. 7보(七寶)나 8길상(八吉祥; 白傘蓋, 魚, 具, 蓮華, 幡, 甁, 法輪, 吉祥結) 또는 그 외의 문양이 흔히 쓰여지고 공양구나 지물*(持物)도 종류가 풍부하다.
만다라*는 라마교 사원에 그려질 뿐만 아니라 흙, 쌀, 금속을 사용하여 입체적으로도 표현된다. 사원의 대전 안벽은 불전도*나 호법신상으로 장식되는 경우가 많고 전면 바깥벽에는 주로 생사륜*이나 수미산 또는 사천왕*의 그림이 보인다. 경내의 곳곳에는 여러 가지 마니통*(嘛尼筒, mani-hkhor)이 놓여 있다. 법회에는 가면무용(hcham)이 공연되며 여기에 등장하는 불, 보살, 호법신, 연화생조사(蓮華生祖師) 등의 가면이나 악기는 각지의 사원에 보존되어 있다.
이상의 벽화*나 존상 혹은 그 외의 미술 공예품은 티베트 중부 지방 및 동부의 여러 사원에서 보인다. 특히 서부 티베트의 트린, 파란, 다보, 만난 등의 여러 절에는 그 연대가 11세기까지 소급되는 우수한 작품이 있다. 몽골 고원 동쪽의 여러 절은 게르구파의 수호신 야만다카, 몽골 민족의 수호신인 마하카라Mahākālā(嘛吟喝喇; 시바)의 거대한 상이 계속 받들어지고 있다. 청해靑海 부근의 쿤붐, 라부란, 중국 북부에는 북경, 오대산, 열하, 몽골의 드론 노루, 울란바토르 등이 그 중심지이다.

라마교 신화

라마교 신화 Lamaist Mythology(영)

티베트 불교의 신화로 라마교 미술*의 소재가 되었다. 불교는 원래 무신론이므로 거의 신화가 없으나 대승불교를 거쳐 7~8세기의 탄트라 불교가 되면 유신론적 경향이 강해져 방대한 판테온(불교 제존의 체계)이 성립된다. 라마교는 말기의 인도 불교를 수입하였으므로 이들 판테온에 있는 여러 불, 보살의 신화를 모두 그대로 수용하였고, 그 밖에 힌두교의 신화도 탄트리즘을 통해 많은 부분이 도입되었다. 티베트 지방에는 우주 창조의 신화나 티베트 인의 시조를 원숭이로 생각하는 전설이 있다. 또한 선사시대의 왕조 성립에 관한 신화나 영웅신화로서의 《케사르 이야기》가 유명하고, 불교 전래에 관해서는 하늘에서 불전이 내려왔다는 전설이 있다. 그러나 이것들은 어느 것이나 인도 및 그외 다른 나라의 신화적 요소를 어느 정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라마야나

라마야나 Rāmāyana(범)

‘라마의 이야기’라는 뜻으로, 인도의 2대 서사시 중의 하나이며 기원전 3세기경의 시인인 발미키Valmiki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비슈누*신의 7번째 화신(아바타라*)인 라마의 이야기를 서술한 이 서사시는 기원전 5~6세기경에 성립되었다고 하지만 계속해서 내용이 첨가되었고, 지역과 종파에 따라서 내용이 서로 다르다. 총 7권의 라마야나 중에서 첫번째와 마지막 책은 후대에 삽입된 것으로 여겨진다. 여러 판본 중 특히 북인도 지역에서 유명한 것은 시인 툴라시다사Tulasidasa가 17세기에 지은 《라마카리타마나사Rāmacaritamānasa》이다. 아요드야국Ayodhya의 왕자인 라마Rāmā가 랑카Lanka의 왕인 라바나Ravana를 물리치는 내용이 주된 줄거리이며, 라마의 동생인 락슈마나Lakshmana와 부인인 시타Sita, 원숭이인 하누만Hanuman이 라마를 도와주는 주요한 인물들이다. 이러한 라마야나의 내용은 인도 세밀화*와 사원을 장식하는 부조*로 많이 표현되었다.

라슈트라쿠타왕조 미술

라슈트라쿠타왕조 미술 Rāstrakūta Dynasty Art(영)

757년경 단티두르가Dantidurga가 전기 서(西)찰루키야 왕조를 멸망시키고 세운 왕조로 인도의 데칸Deccan 고원 서부를 통치했다. 아모가바르샤왕Amoghavarsha(재위 814~880) 때 가장 번영하였고 973년경 후기 찰루키야 왕조*에 의해 붕괴되었다. 이 시대에 만들어진 중요한 유적은 마하라슈투라주에 있는 엘로라Ellora 석굴이다. 엘로라 석굴은 불교(1~12굴), 힌두교(13~29굴), 자이나교(30~34굴)의 석굴 등 모두 34개의 굴이 있다. 그 중 중앙에 있는 제16굴 카일라사나타Kailasanatha 석굴이 가장 중요하다. 시바*신의 사원인 이 석굴은 단티두르가 시대에 시작되어 그 후계자인 크리슈나 1세Krsna(재위 757~773) 때 중요한 건축물(중앙의 사원, 난디Nandi 성소, 입구)이 완성되었다. 암벽을 파서 만든 이 사원은 건물을 중심으로 주위에 회랑*이 둘러져 있으며 사원은 남인도 양식으로 지어졌다. 건물의 기단에는 《마하바라타》와 《라마야나*》의 내용을 새긴 부조*가 장식되어 있다. 라슈트라쿠타 왕조는 북인도와 남인도의 교량적인 역할을 했으나 미술에 있어서는 찰루키야 왕조나 팔라바 왕조*의 영향을 받았다.

라스코 동굴벽화

라스코 동굴벽화 Lascaux cave art(영)

→ ‘구석기시대 미술’ 참조

라오스 미술

라오스 미술 Laos Art(영)

라오스는 타이족의 일파인 라오족이 1360년 란창Lan Chang 왕국으로 독립하면서 이루어진 국가. 처음에는 루앙프라방Luang Prabang이 수도였으나 16세기 중엽 비엔티안Vientiane으로 옮겼다. 라오스의 미술은 이 두 도시를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타이족과 마찬가지로 소승불교이며 타이 미술*의 영향을 받았으므로 루앙프라방 및 그 이북 지역은 타이의 쳉마이Chieng Mai 미술에, 비엔티안은 타이의 아유티야Ayuthya 미술에 속한다.
건축물은 주로 목조로서 좌우로 급경사진 2단 지붕이 특징이다. 벽돌이나 스투코*를 이용하기도 했으나 석조 건축물은 전혀 만들어지지 않았다. 사리탑은 타이어와 동일하게 타트(that)라고 한다. 형식은 여러 가지이나 대체로 복발*형(覆鉢形)의 탑신을 갖추고 있어 스투파*에서 유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비엔티안에 있는 타트 루앙That Luang은 1586년에 조영되었으나 18~19세기에 보수를 하였다. 불상* 조각도 아유티야 양식에 가깝지만 유형적인 예들이 많으며 청동제 상이나 목조로 된 상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라오콘

라오콘 Laokoön(이)

트로이의 아폴론 신의 제사장(祭司長). 트로이 전쟁 때 그리스인이 계략으로 사용한 목마에게 라오콘이 창을 던지자 신들이 노하여 해신(海神) 포세이돈에게 공물을 바칠 때, 그를 아테네가 보낸 두 마리의 큰 뱀에 의해 그의 두 아들과 함께 교살하였다. 이 전설의 내용 중에서 임종 당시의 고통을 묘사하여 조각한 유명한 대리석 군상*이 로마의 바티칸 미술관에 있다. 1506년 로마의 티투스의 목욕탕 유적 부근에서 발견된 것이다. 작자는 로도스섬의 조각가 아게산드로스Agesandros, 폴리도로스Polydoros, 아테노도로스Athenodoros이며 제작 연대는 기원전 50년경이라고 추측된다. 동요와 격돌함에서 미를 찾은 헬레니즘* 시대의 전형적인 작품의 하나이다.

라이트 아트

라이트 아트 light art(영)

1960년대에 빛의 효과를 극적으로 살려 새로운 시각적인 이미지를 창출해 내려는 의도에서 만들어진 작품의 총칭. 넓은 의미의 키네틱 아트*라고 할 수 있는 분야에서 라이트 아트의 수많은 실험적인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엄밀히 말해 키네틱 아트가 주로 ‘운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개념이라면, 라이트 아트는 그야말로 ‘빛’을 기본으로 하는 개념인 까닭에 서로 다르며 그 발전 과정도 사뭇 다른 감각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도시생활 속에서 일상적인 네온관의 모습을 그 참모습으로 받아들이는 면에서는 레이스Martial Raysse의 작품처럼 팝 아트*를 구성하는 경향도 있다. 안토나코스Stephen Antonakos의 작품은 네온을 선적인 요소에 사용하고 이것을 기하학적으로 구성한다. 플래빈Dan Flavin(1933~ )은 형광등 그 자체를 배치시킬 뿐인 작업에 의해 미니멀한 상황을 만들었다. 또 빛의 스펙트럼*을 전개하여 빛의 영상을 보여주는 쇠페르Nikolas Schöffer(1912~ ) 등 다양한 종류와 차원으로 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라이트 아트는 그 자체의 개념에 한정되기보다는 키네틱 아트, 팝 아트, 미니멀 아트*, 개념미술* 등에 인접하는 동시에 다양한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장르라 할 수 있으며, 특히 테크놀로지와 더불어 제2세대를 형성하는 것은 필연적이다. 오늘날의 작업은 과거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모습을 지니는데, 전반적인 이념이나 양상은 복합적인 것일지라도 그 기술적인 면에서 감상자가 어렵게 접근하지 않고 오히려 간단하고 알기 쉽게 이해하도록 하여 보다 대중적인 표현형식을 갖게 된 것이 특징이다.

라이트 앤드 스페이스 아트

라이트 앤드 스페이스 아트 Light and Space Art(영)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에 이르기까지 미국 캘리포니아 남부에서 일어난 미술경향 중의 하나. 1960년대 후반 로스앤젤레스에서 어윈Robert Irwin과 터렐James Turrell이 빛과 공간의 연결 운동을 개척하였다. 빛과 공간의 예술은 전혀 새로운 소재를 사용함과 동시에 작품의 탈(脫)물질화를 특징으로 한다. 이 운동은 보다 먼저 나온 ‘로스앤젤레스 룩Los Angeles Look’의 후예로 간주될 수 있는데, 로스앤젤레스 룩에 참여한 미술가들은 주물용 수지나 파이버글라스같이 특이한 소재를 사용한 작품을 제작했다. 빛과 공간의 미술은 개념미술*과 마찬가지로 비물질적이기는 하지만 아이디어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감각적 지각 작용에 더 중점을 두었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어윈은 항상 빛을 투과시키는 면직물을 통해 들어오는 변화하는 자연광선에 의해 공간이 재구성되는 설치*미술 작품들을 제작하였는데, 빛이 가득한 신비적인 그 공간은 보는 자에게 강한 시지각을 의식시키며 광선을 통해 자연 그 자체를 선명하게 체험하도록 한다. 빛과 공간의 미술작품들은 과학적이거나 형이상학적 해석을 이끌어내는 경우가 잦으며, 둘 다 적절한 해석방법이다. 예를 들면 어윈과 터렐은 1967년에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에서 주최한 미술과 테크놀로지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지각상실 현상을 연구했다(이는 심리학에서 다루는 것으로 감각을 전혀 느낄 수 없는 환경이 조성되면 환각을 느끼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당시 조사결과, 두 사람은 공통적으로 미미한 물체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약한 광선을 사용한 작품을 전개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