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스코
프레스코 fresco(이)
벽화*를 그릴 때 쓰는 화법. 이탈리아어로 ‘신선하다’라는 뜻. 덜 마른 회반죽 바탕에 물에 갠 안료로 채색한 벽화. 그림물감이 표면으로 배어들어 벽이 마르면 그림은 완전히 벽의 일부가 되어 물에 용해되지 않으며, 따라서 수명도 벽의 수명만큼 지속된다.
프레스코는 석고가 마르기 전에 재빨리 그림을 그려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그림의 수정도 거의 불가능해 정확하고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다. 또 사용할 수 있는 안료의 색깔도 제한되어 있고(15~16세기 화가들은 프레스코에는 천연 안료만이 적합한 것으로 보았다), 벽이 마를수록 색깔도 옅어지며, 색의 농담을 이용한 효과도 얻을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어려움과 제약이 오히려 광범한 주제의 디자인과 과감한 방식의 도입을 권장하는 격이 되어, 이탈리아 르네상스* 회화의 순수함과 힘, 불멸성을 크게 촉진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프레스코 화법에서 석고는 안료를 접착시켜 주는 매체*로 작용하며, 흰색만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정통적인 방법의 프레스코를 이탈리아에서는 프레스코 부오노 또는 부온 프레스코라 하며, 같은 안료를 사용하여 다른 회벽에 그리는 것을 프레스코 세코 또는 단순히 세코라고 불렀다. 프레스코는 기념 건조물의 벽화를 그리기에 가장 적합하다. 다만 습기가 차면 석고가 부서지므로 그림도 함께 떨어져 나가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건조한 지방에서는 가장 영구적이며, 그 결과 베니스를 제외한 이탈리아에서 많이 사용하였으며 북유럽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프레스코 회화는 크레타(→‘에게 미술’ 참조)와 그리스의 벽화, 폼페이의 그레코-로만 벽화가 있다. 중세 초에는 벽화를 그릴 때, 여러 방법이 혼합 사용된 듯하며, 프레스코로만 된 벽화는 없는 듯하다. 그러나 로마의 수도원 건물의 벽화를 보면 12~13세기에는 프레스코가 모자이크* 공예*의 일부로도 사용된 것이 발견된다.
훌륭한 프레스코는 대부분 이탈리아의 대가들에 의해 제작되었다. 그 일인자가 지오토Giotto(1266~1337)이고 그 밖에 마사치오Masaccio(1401~1428),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Pierro della Francesca(1415~1492), 라파엘로Raffaello Sanzio(1483~1520), 미켈란젤로Michelangelo(1475~1564), 코레지오Correggio(c.1490~1534) 등이 있다.
프레스코의 융성기는 14~15세기이며, 16세기 이후로는 점차 유화로 대체되었다. 19세기에 독일 기독교들과 영국의 라파엘전파*의 화가들이 전통적인 이탈리아 프레스코의 부활을 시도했으나 기법의 복귀가 어렵자 들라크루아Eugène Delacroix(1798~1863), 퓌비 드 샤반느Pierre Puvis de Chavannes(1824~1898) 등 많은 화가들이 그 대신에 표구(marouflage)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프레스코는 20세기에 들어와 멕시코의 리베라Diego Rivera(1886~1957)나 오로츠코José Clemente Orozco(1853~1949)에 의해 재발견되는 등 그 전통은 계승되고 있다.
한편 아시아 지역에서는 전통적으로 벽화를 그릴 때 마른 석고 위에 안료로 그리는 방법을 사용해 왔으나, 인도 지방의 벽화기법을 조사해 본 결과, 11~12세기에 프레스코 기법이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