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면문
귀면문 鬼面文
gui-mian-wen(중)
벽사(辟邪)의 뜻으로 괴수(怪獸) 얼굴을 나타낸 문양. 대체로 얼굴부분을 표현하였으나 몸체까지 나타내기도 하였다. 귀면문의 형상은 험상궂고 무서운 것이 특징으로 그 기원은 은대(殷代) 청동기의 도철문*(饕餮文)인데, 이후 귀면으로 발전하면서 용문양이나 사자문양의 영향으로 소의 뿔, 맹수의 치아, 사자의 갈기 등을 조합해 놓은 듯한 험악하고 위압적인 귀면문의 기본형이 완성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귀면문은 인간생활을 위협하는 재앙과 질병 등의 사악한 것들을 초자연적인 존재인 ‘귀(鬼)’의 힘을 빌려 멀리 쫓음으로써 행복을 얻고자 하는 ‘벽사구복(辟邪求福)’에 따라 만들어졌다. 따라서 외부의 세계로부터 보호할 신성한 공간의 입구에 장식되게 마련이어서 궁궐사원과 같은 건축물의 기와류, 출입문의 고리, 묘실(墓室)의 장식 등에 자주 쓰였다.
또한 공예품의 손잡이를 물리는 장식에도 수면문(獸面文)이 장식되었는데, 이는 문을 꼭 닫고 숨어버리는 우렁이신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일명 ‘포수(鋪首)’라고도 한다. 이러한 포수 또한 은, 주(殷周)시대 청동기에 장식된 도철문과 유사한 ‘희수(犧首)’에서 파생된 것이다. 몸체까지 표현한 괴수의 형상을 ‘외수화*(畏獸畵)’라고도 한다. 한국에서는 귀면문이 고구려 고분벽화의 기둥 위나 천장에 보이며 삼국시대 이래로 기와, 방울, 대도(大刀)의 손잡이 등에 다양하게 장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