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조각

조각 彫刻 sculpture(영)

공간 속에서 삼차원적인 입체 형상을 창조해내는 시각예술. 회화*가 색이나 선에 의해 이차원적 화면에 평면적으로 표현되는데 반해, 조각은 공간을 점유하고 현존하는 삼차원의 입체로 표현된다. 즉 회화가 이차원에서 삼차원의 일루전*을 재현한다면, 실제로 삼차원의 물체인 조각은 물질적인 현존성을 보유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각된 상은 시각적이면서도 직접 만질 수 있는 촉각적인 장점을 지닌다. 조각은 또한 조소(彫塑)라고도 불리는데, 의미나 내용상의 차이는 없으나 일반적으로 조각이란 말이 통용된다.
조각은 그 표현 방식에 따라 부조*(浮彫)와 환조(丸彫)로 나뉘는데, 환조는 공간 속에서 그 자체로서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부조는 배경이 되는 벽 등의 바탕에 부착되어 그것의 일부로서 존재한다. 환조는 다시 단일상과 군상*, 또 인물의 자세에 따라 좌상(坐像), 반가상(半跏像), 와상*(臥像), 전신상(全身像), 반신상(半身像), 흉상(胸像), 두상(頭像) 등으로 나뉜다. 회화와 조각의 중간 형식이라고 할 수 있는 부조에는 새겨 넣는 정도에 따라 고부조와 저부도가 있고, 특수한 것으로는 이집트에서 볼 수 있는 음각이 있다. 형태를 만들 수 있는 것은 무엇이든 조각의 재료가 될 수 있으나, 그 중에서도 점토, 브론즈, 돌, 나무, 석고 등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석재(石材)는 기후 변화에 잘 견디고 어디에서나 쉽게 구할 수 있으며, 균일한 질감과 경도를 지니므로 기념 조각이나 건축적 조각에 자주 쓰였다.
반면에 돌보다 내구성이 약하고 기온과 습도에 변하기 쉬운 나무는 주로 실내 조각에 이용되었다. 석고는 조각의 원형 및 주형을 뜨기 위해 사용되며 특히 기존의 원작을 복제하는데 이용되기도 한다. 한편 현대 조각에서는 철강, 알루미늄, 플라스틱, 유리뿐만 아니라 움직임, 소리, 빛 등 점차 새로운 시대정신*과 조형감각을 수반하는 재료들이 조각의 제작에 이용되고 있다.
키네틱 아트*는 움직임을 조각의 중요한 요소로 받아들임으로써 이제까지 정적인 사물이었던 조각에 동적인 움직임과 생명을 부여하였다. 예를 들어 칼더Alexander Calder(1898~1976)의 모빌*은 기류나 바람에 의해 움직이고, 팅겔리Jean Tinguely(1925~1991)의 조각 작품은 전동장치에 의해 기계적으로 움직인다. 전통적으로 조각은 덩어리로 이루어진 물질적 실체로 간주되어 왔으나, 현대에는 비물질적인 빈 공간의 조형적인 의미가 부각되었다.
고대 및 중세까지만 해도 모든 조각에 채색하였으나, 근대에 들어서는 재료에 충실하기 위해 거의 착색을 하지 않고, 재료 자체의 자연색과 질감을 살린 조각이 많이 제작되었다. 그러나 현대미술에서는 선명한 원색으로 채색된 다색조각도 많이 나타나고 있다. 조각에서 역사적으로 가장 중심이 된 주제는 인물, 신, 동물 등이었다. 서양의 전통 조각은 르네상스에서 19세기에 이르기까지 이러한 대상들을 재현하는 것이 주를 이루었으나, 현대에 들어서면서 점차 기하학적이고 추상적, 개념적인 방향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조감도법

조감도법 鳥瞰圖法
bird’s-eye view(영)

투시도의 한 종류. 투시 투상(透視投象) 중에서 조감적 투시를 생략해서 조감도라고 말한다. 시점을 높이 하면 항공기나 고층 건물의 높은 곳에서 내려다 보는 것과 동일한 도형을 구할 수 있다. 복잡한 배치 등을 한 눈에 담으려고 할 때에 편리한 도형이다.

조몽시대 미술

조몽시대 미술 繩文時代美術

→ 일본선사시대 미술

조미전

조미전 朝美展

→ 조선미술전람회

조선 향토색

조선 향토색 朝鮮鄕土色

‘조선 향토색’이란 ‘조선 정조(情調)의 표현’으로 정의된다. 이는 일제시대 조선미술전람회*의 아카데미즘이었다. 이 조선향토색 작품의 특징은 조선의 민속적인 소재들을 사용하거나, 문명발달 이전의 동양의 목가적인 산천과 그 속에서의 삶을 자연주의적인 형식으로 표현해낸 것이다. ‘향토색’이라는 용어의 기원은 ‘향토 예술’에서 온 것으로, 이는 독일에서 19세기말에 벌어졌던 향토 예술 즉, ‘Heimatkunst’에서 온 용어이다. 이 용어는 1906년경 일본 문단에 수입되어 쓰여지기 시작하였으며, 이것이 일제시대 다시 한국으로 수입되어 문단과 미술계에서 사용되었다.
식민지 시대 미술계에서는 1922년 식민지 문화정책의 일환으로 조선미술전람회가 탄생되어 1920년 중반이 되면 이 전람회 일본인 심사위원들에 의해 조선의 향토색을 그릴 것이 권장되어, ‘조선 향토색’은 아카데미즘으로 자리잡기 시작한다. 조선향토색이 아카데미즘화한 배경은, 당시 일본에서 유행하였던 지방색, 동양풍의 유행과 일본인들의 이국취향, 그리고 한국의 농업과 농촌을 찬미하여 농업생산성을 높여서 이를 자신의 침략전쟁에 사용하기 위한 일제의 중농주의 정책, 그리고 일본을 중심으로 전 아시아가 하나되어 서구와 대항하자는 아세아주의와도 관련된다.
‘조선 향토색’의 영향력은, 일본의 식민지라는 정치적 상황과 근대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하는 경제적 상황 속에서 매우 광범위하여, 우리 미술가들 사이에서도 자신의 정체성을 민족주의에서 찾을 것인가, 사회주의에서 찾을 것인가, 아세아주의라는 국제주의에서 찾을 것인가에 따라 다양한 논의가 유발되었고, 그러한 작품이 시도되었다.
그 대표적인 논자는 김용준金瑢俊(1904~1967), 심영섭沈英燮, 오지호吳之湖(1905~1982)이다. 김용준과 심영섭 논의는, 당시 프로미술에 대한 반동으로서 그리고 당시의 아카데미즘에 반하여 제기된 것으로, 아세아주의를 토대로 ‘조선 향토색’을 추구하여 조선적 모더니즘*을 실현하고자 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들이 갖고 있던 서양미술사에 대한 인식 부족과 일제의 탄압으로 구체적인 결과물을 이룩해내지는 못하였다. 오지호는 원색을 조선적인 색채라고 정의하고, 조선적인 색채를 사용하여 조선의 ‘향토색’을 표현할 것을 강조하여, 조선 향토색 표현에 있어 하나의 주요한 경향으로 자리잡았다.
그러나 우리 화가들의 노력은 일본 제국주의의 탄압으로 양식적인 공감대나 뚜렷한 성과물을 얻기 전에 사그라 들었고, 1930년 후반이 되면 조선미술전람회의 일본심사위원들은 향토색을 더욱 노골적으로 권장하여 이후 조선향토색은 화단을 장악하게 되었다. 이렇게 아카데미즘화한 조선향토색은, 해방 이후에도 국전*을 통해 계속적으로 화단에 영향을 미쳤다. 해방 후에 우리나라가 급속하게 산업화됨으로써 도시민들에게 고향의 향수로 어필되어 계속적으로 존재가치를 지닐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 대표적인 작가들로는 박항섭朴恒燮, 박창돈, 유경채柳景採, 양달석梁達錫, 최영림崔榮林, 박상옥朴商玉, 박수근朴壽根 등이 있다. 이는 이후 1970년대까지도 우리 화단을 지배하는 커다란 흐름으로 존재하다가 1970년대 이후 추상의 물결이 거세지면서 점차 위축되었다.

조선미술전람회

조선미술전람회 朝鮮美術展覽會

일제시대 조선총독부가 주관하여 1922~1944년 총23회에 걸쳐 개최한 종합 미술전람회. 약칭 ‘선전(鮮展)’, 혹은 ‘조미전(朝美展)’이라 한다. 일제는 3 • 1운동을 계기로 문화통치를 표방하는데, 이 과정에서 1921년 조선인 미술가 단체인 서화협회*가 전시회를 열자 이를 견제하고 조선 미술의 근본적 개조를 촉진하기 위해서 일본의 관전인 문부성전람회(文展)와 제국미술전람회(帝展)를 본떠 조선미술전람회를 개최하였다.
초기에는 제1부 동양화, 제2부 서양화, 조각, 제3부 서예, 사군자*로 국한하여 작품을 공모하고 입선, 특선의 심사전시를 하다가, 1932년 11회전부터는 서예, 사군자*부를 제외시키고 제3부를 공예*, 조각*부로 개편하여 운영하였다. 심사에는 조선인이 동양화부와 서예, 사군자부에 한해 참가하기도 했으나, 1927년의 제6회전부터는 전원 일본인으로 교체되어 일본의 관전출신 작가들이 심사위원의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심사위원으로 참여했던 일본인으로는 가와이 교쿠도川合玉堂, 고무로 스이운小室翠雲, 유키 소메이結城素明, 이케가미 슈호池上秀, 마에다 세이손前田靑과 같은 일본화가와 후지시마 다케지藤島武二, 미나미 군조南薰造, 다나베 이타루田邊至, 고바야시 만고小林萬吾와 같은 양화가도 있었다.
한편 초기에 실시한 참고품제도는 이후 출품작가의 창작방향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가와이 교쿠도의 <폭포>, 시모무라 간잔下村觀山의 <나무들 사이의 가을>과 같은 근대 일본화(日本畵)와 구로다 세이키黑田淸輝의 <백부용白芙蓉>, 오카다 사부로스케岡田三郞助의 <욕장에서>와 같은 인상주의* 화가의 작품들이 출품되었다. 그러한 상황은 일본풍의 미술이 직, 간접으로 유도되는 양상을 나타나게 하였는데 특히 동양화부에서 그러한 현상이 심하였다.
선전은 관전으로서의 문제점에 대한 비판이 일기도 하였지만 그 규모와 권위가 지속되었으며 일본의 군국주의화에 따라 점차 시국의 분위기를 반영하는 작품들이 늘어났다. 1932년 제도개편에 따라 조선의 향토미술을 장려한다는 취지아래 공예부가 신설되고부터는 향토색*을 드러내며 일본인의 이국취미에 부합하려는 경향들이 확산되어갔고, 이는 소재 및 내용상 뚜렷한 하나의 흐름을 형성하였다.
또한 선전의 추천작가제도는 관전의 권위를 배경으로 한 미술계의 엘리트층을 양산하고 조선의 미술을 일본미술의 아류로, 식민통치에 순응하는 식민지미술로 재편하는 제도적 장치의 역할을 하였다. 이는 민족의식과 현실의식을 지니지 못한 미술가들의 창작태도와 맞물려 동양화에서는 일본화와 소재 및 내용이나 양식상의 유사성이 두드러지게 되었으며 서양화와 조각도 일본식 서양화와 조각의 아류적 성격을 크게 벗어나지 못한 아카데미즘*적 경향의 작품들이 주류로서 자리잡게 되었다. 그 결과, 한국 근대 미술은 전통과의 단절과 자율적 발달의 제약, 그리고 현실대응력의 상실이라는 문제점에 봉착하였다. 그리고 관전 아카데미즘의 폐단이 대한민국미술전람회*大韓民國美術展覽會까지 지속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선전은 여러 분야에서 재능있는 신진들을 발굴하고 미술계 진출을 뒷받침함으로써 한국 근대 미술의 양적 성장에 기여하기도 하였다. 동양화의 김은호金殷鎬(1892~1979), 이상범李象範(1897~1972), 김기창金基昶(1914~ ), 장우성張遇聖(1912~ ), 서양화의 김종태金種泰, 이인성李仁星, 김인승金仁承, 심형구沈亨求(1908~1962), 조각의 김복진金復鎭, 김경승金景承, 윤효중尹孝重 등이 선전을 통해 발굴된 대표적인 작가들로 이들은 해방 후 한국의 미술발전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조선백자

조선백자 朝鮮白磁

연질백자는 신라 말기에 경기도 용인군龍仁郡 이동면二東面 서리西里에서 청자*와 같이 만들어졌고 고려 초기부터는 햇무리굽 백자*가 소량 제작되었다. 그러나 중국의 추부백자(樞府白磁)의 등장과 함께 14세기 후반에 이르러서 기벽과 유약이 두텁고 표면이 단단한 경질백자를 제작하게 된다. 조선시대에는 백자가 매우 성행해 국초부터 백자의 생산과 관리에 힘을 기울여 독특한 발전을 보였다.
조선백자는 경기도의 광주廣州와 관악산, 북한산 등을 중심으로 발전하기 시작하여 점차 지방으로 확산되었다. 광주요*는 사옹원司饔院의 분원(分院)으로 중앙관요였고 조선 백자가마의 핵심이었다. 광주요에서 주로 제작된 상품(上品)백자는 우수한 태토와 유약을 사용하고 갑발*(匣鉢)에 넣어 제작돼 형태와 색이 아주 우수한 것으로 ‘갑번(甲燔)’이라고 불렀으며 주로 왕실용이었다.
상품백자의 가마는 《세종실록世宗實錄》에 따르면, 경기도 광주요 중의 번천리樊川里 가마와 경북 상주군尙州郡 북추현리北楸縣里, 이미외리已未常里, 경남 고령군高靈郡 예현리曳峴里 등 4개소에 있었다고 한다. 조선전기의 백자는 빙렬*이 거의 없고 유약이 약간 두껍게 시유되고 은은한 광택에 약간의 푸른빛을 머금고 있다.
코발트 안료로 백자에 그림을 그린 청화백자*(靑華白磁)는 15세기 중엽에 토청(土靑)이 개발되자 본격적으로 생산되기 시작했다. 임진왜란으로 백자의 제작이 위축되었다가 17세기에는 백자의 발색이 회백색이 되고 생산이 비교적 저조해진 반면 청화백자가 전에 비해 제작이 늘어나 절정기를 이루며 한국적인 익살스러운 문양이 나타난다. 18세기들어 유태가 맑고 투명해지면서 푸른 기가 약간 도는 청백색이 되고 청화백자의 생산이 다시 활발해지는데 패랭이꽃이나 난초 같은 한국적인 정취를 보여주는 문양이 특징적이다.
또한 백자가 다양화되기 시작하여 백자 제기(祭器)와 문방구 등이 제작되었다. 1752년에 관요*가 광주의 분원리分院里로 이전하면서부터 1883년 민영화되는 시기에 백자가 대중화되었다. 이 때 민화*풍의 문양과 대담한 기형이 나타나며 다양한 일상용기가 제작된다. 19세기에 이르면 다양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수요층이 다양해지면서 그릇의 격조가 떨어진다. 조선시대 백자의 특징은 달항아리에서 보듯이 기형이 원만하고 유연하면서 절제된 선을 지녔다. 실용적이고 기능적이라는 점과 단순간결하면서도 익살스러운 문양이 조선 백자의 특징이다.

조선시대 미술

조선시대 미술 朝鮮時代美術

이성계가 고려를 멸하고 세운 조선왕조는 북벌을 포기하고 한(漢)민족의 명을 받들면서 일본이나 북방 민족과의 평화공존을 도모하였다. 그리고 국초부터 억불숭유정책(抑佛崇儒政策)을 시행하여 고려시대의 문화 업적을 기피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지나친 문치주의로 붕당 정치의 사화가 발생하고 엄격한 신분제가 확립되었다. 이에 따라 기예(技藝)를 천시하는 풍조가 생기는 부정적인 면도 보였다. 하지만 유교적 미의식에 따라 새로운 문화가 창출되기도 하였다. 그러한 예는 수묵화*(水墨畵) 중심의 회화, 백자*(白磁) 중심의 도자기, 재료의 특성을 살린 목공예, 자연과의 조화를 꾀한 건축과 조원(造園) 등에서 잘 나타난다.
조선시대 미술에는 이러한 유교적 측면 이외에 도가 사상과 불교 사상이 또한 중요한 몫을 차지하였다. 도가 사상은 이 시대의 산수화의 원리, 도자기의 문양, 조원의 원리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불교는 정책적인 억압에도 불구하고 끈질진 생명력을 유지하면서 조선시대 나름의 불교 회화*, 불상*, 불교 공예, 사찰 건축 등을 발전시켰다.
또한 이 시대의 미술은 중국의 영향을 수용하고 소화하여 독자적인 특성을 발전시키고 일본의 미술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끼침으로써 동아시아 미술사상 뚜렷한 기여를 하였다.
건축:조선시대의 목조건축은 공포*(栱包)의 배치에 따라서 크게 다포*(多包)집과 주심포*(柱心包)집으로 이분되는 것은 고려 말기와 같으나, 후기에 가서는 주심포계의 공포가 변화되어 익공*(翼工)이라는 특수한 구조로 변하였으며 후기 건축들은 다포집과 익공집으로 나눌 수 있다.
한편 세부에 있어서는 주심포집과 다포집의 양식이 서로 혼합하여 특색 있는 조선건축을 만들어 내고 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공포가 섬세해지고 내출목(內出目) 부분이 운궁(雲宮)이라는 화려한 장식체로 만들어지거나 공포에 조수형(鳥獸形), 초화형(草花形) 장식이 첨가되는 이른바 초공(草栱), 화공(花栱) 등이 사용되어 전체적으로 번잡해졌으며, 초기 건물이 가지는 정연한 선과 면, 공간의 구성이 깨지고 지붕이 무거워지거나 가벼워져서 건물 자체의 균형이나 안정감도 크게 줄어들었다.
회화:이 시기는 한국미술사상 회화가 가장 발전하였던 때이다. 조선시대에는 조직화된 도화서*(圖畵署)를 중심으로 다수의 화원(畵圓)이 배출되었고, 또한 상당수의 사대부 화가들이 두드러진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억불숭유정책으로 인하여 고려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던 승려 화가들의 활동은 매우 저조하였다. 조선시대의 회화는 고려시대보다 산수*, 인물*, 영모*, 화조*, 화훼* 등 감상을 위한 다양한 주제의 그림과 각종 기록화(記錄畵) 등을 포함하는 일반 정통 회화는 물론, 서민 대중을 위한 민화, 그리고 판화*와 불교회화 등 더욱 다양해졌고 또한 한국화 현상이 더욱 뚜렷해졌다.
이러한 한국화 현상은 조선 초기부터 구조, 공간처리, 필묵법*, 준법*, 수지법* 등에 뚜렷하게 나타났다. 더불어 송宋, 원元, 명明, 청淸의 중국회화를 선별적으로 수용하고 소화하여 독자적인 양식을 형성하였으며 일본의 수묵화*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공예:범종*은 고려형식을 계승하면서 상대(上帶)아래로 새로 범자대(梵字帶)가 돌거나, 이에 따라 유곽(乳廓)이 상대(上帶)에서 종신(鐘身) 쪽으로 내려오는 등의 변화가 있었다. 목공품으로는 장(欌), 궤(櫃), 사방탁자(四方卓子), 문갑(文匣), 연상(硯床), 필통(筆筒), 주상(酒床), 식기(食器) 등 가지각색이며 종류에 따른 나무의 선택, 든든한 짜임새, 나뭇결의 장식적 이용, 간결하고 평민적인 형태 등의 특징이 있다. 조선시대 목조의 미는 인공적인 장식성, 인위적인 조형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목재 자체가 갖는 나뭇결의 미로서 하나의 통일체를 만들어 낸 것에서 찾을 수 있다.
조선조 도자기는 크게 분청사기*와 백자*로 나눌 수 있다. 고려말과 조선조 초기에는 조질청자와 청자상감* 그릇을 생산하는 소규모의 가마*들이 산재하고 있었는데, 이 중에서 상감청자* 그릇들이 점차 변모하여 문양이 기면(器面) 전체로 확산되고 유약이 투명한 담청색으로 변하는 분청사기들이 생산되었다. 또한 수요는 적으나 고려백자의 맥을 이은 백자와 원, 명대(元明代) 백자의 영향을 받은 백자가 있었다. 전기의 백자는 기형이 유연하며 너그러운 양감을 지니고 있다. 백자에 코발트로 문양을 그린 청화백자*는 세종 연간부터 수입되어 만들어지기 시작하였다.

조소

조소 彫塑

→ 조각

조의묘

조의묘 曺衣描

→ ‘인물십팔묘’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