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추전국시대 미술
춘추전국시대 미술 春秋戰國時代美術
주周는 수도 종주宗周(서안 부근)를 견융犬戎에게 빼앗기고 성주成周(낙양 부근)로 천도하였는데, 이후 기원전 221년 진시황제의 전국통일까지 550년간을 춘추전국(春秋戰國)시대라고 한다. 각 나라들이 부국강병에 힘써 패권을 다투는 과정에서 사상과 학문이 번성하였다.
건축:하북성河北省 역현易縣의 연하도燕下都, 평산현平山縣 중산국고성中山國故城 산동현山東縣 임치의 제성齊城, 등현鄧縣의 설성薛城 등에서 전국시대의 도성터가 발견된다. 이들 도성은 대부분 방형(方形) 평면으로 주위를 흙담으로 둘러싸고 외성과 내성으로 구분되며 내성에는 성문, 도로, 하수 등의 설비가 있고, 궁전지구, 수공업지구, 일반주거지구로 구분되어 있다. 궁전건축은 판축법(版築法)으로 굳힌 흙단 위에 세운 목조 건물로, 주초(柱礎)로 석재를 쓴 것이 있다. 또 처마를 받치는 두공*(斗拱)의 원형이 이미 나타났고 지붕은 박공*이거나 평지붕이다. 그리고 기와를 이었고 전국시대에는 둥근기와의 처마 끝에 와당*을 달았다.
공예:청동기* 기종은 서주西周 후기와 거의 같으나 춘추 말기부터 기마 유목민족과의 접촉으로 동물 의장을 주제로 하는 문양이 더해진다. 또 하남성河南省의 정국鄭國, 산서성山西省 진국晉國, 안휘성安徽省의 초국楚國, 하북성河北省의 중산국中山國 등에서 출토된 청동기들은 지역적 특징을 보이고 있다. 납형(蠟型)에 의해서 정교한 청동기도 주조(鑄造)하였으며, 유금, 금은착(金銀錯), 옥, 유리, 송록석(松錄石) 상감* 등 다채로운 장식이 이루어졌다. 금문*(金文)은 주명(鑄銘)에서 각명(刻銘)으로 변하고, 조서(鳥書) 등의 장식문자들이 유행하였다. 옥기*는 춘추 후기부터는 절탁(切琢)기술이 현저히 진보하여 용*(龍)이나 봉황 등의 동물형을 투조(透彫)로 나타낸 장신구나 용기가 제작되었다. 칠기*는 실용기나 제사 용기가 중심이 되었고, 관, 악기, 무기의 자루로도 쓰였다. 칠기의 문양으로는 운기문(雲氣文)이 대표적이며 신선(神仙), 영수(靈獸), 괴조(怪鳥)도 있다.
회화:청동기에서 상감이나 선각으로 한 회화적 표현을 찾을 수 있다. 그림의 주제는 연회, 수렵, 동물, 신선 등이 S자형, C자형의 문양 사이에 배치되었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회화는 1949년 2월 장사진가대산초묘長沙陳家大山楚墓에서 발굴된 인물용호도(人物龍鳳圖)의 내용을 담고 있는 백화*(帛畵)와 1973년에 재발굴이 이루어진 장사자탄모초묘長沙子彈牟楚墓에서 출토된 인물어용도(人物御龍圖)의 백화이다. 이것은 모두 가는 필선으로 되어 있으며, 인물은 측면묘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