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청동기시대 미술
한국 청동기시대 미술 韓國靑銅器時代美術
주로 청동기 유물을 대상으로 해서 그들의 형식 변천과 공반관계(共伴關係)를 고찰하면, 대체로 기원전 10년경부터 시작하여 서기 4세기 전후까지를 청동기시대로 보고 있다. 이를 다시 대표적 유물인 동검(銅劍)의 형식 분류에 따라 , 제1기를 요녕식(遼寧式) 동검시기, 제2기는 Ⅰ식 세형 동검시기, 제3기는 Ⅱ식 세형 동검시기로 나눈다.
제1기의 청동기는 기원전 700~600년경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요녕지방에서 출토된 유물과 비슷한 형식이며 공반유물로는 석기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제2기에 이르러서는 석묘(石墓)계통의 분묘에서 출토되며, 종교적 색채의 청동기도 출토되기 시작한다. 공반유물로는 비실용화된 마제석촉(磨製石鏃), 천하석제식옥(天河石製飾玉), 점토대토기(粘土帶土器), 흑색장경호(黑色長頸壺) 등이 있다. 제3기에서는 공구(工具), 용기(容器), 거여구(車輿具) 등 일상생활의 실용품들이 토광묘(土壙墓)에서 출토된다. 공반유물로는 석기가 소멸되고 철기가 대량으로 나타난다. 또한 낙랑고분(樂浪古墳)의 출토품과 동일한 종류의 한식유물(漢式遺物)이 동반되고 있다.
분묘:가장 전형적인 것은 네 벽과 바닥 및 뚜껑을 각각 1장의 판돌로 조립한 석관묘(石棺墓)이다. 또한 북방식(탁자식)과 남방식(바둑판식)으로 구분되는 지석묘(支石墓)가 있다. 동검이 부장되며 돌로 구축된 동검석묘(銅劍石墓)는 지석묘와 석관묘 사이에 새로이 채택된 무덤으로 추정된다. 매장 시설로서 목관이나 목곽이 사용된 토광묘는 청동기시대에서 초기철기시대로 변천함에 따라 나타나는 고분구조이다.
토기: 청동기 시대에 사용된 토기* 전체를 가리켜 무문토기(無文土器)라고 명명한다. 이들 토기의 종류들은 크게 세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음식을 끊이는 자비용(煮沸用)으로 사용한 원통형의 토기이다. 그리고 저장의 용도로 쓰인 호형(壺形)토기와 음식물을 담기 위한 접시, 굽접시, 대접 등이 있다. 무문토기는 태토 속에 굵은 모래알이 포함되어 있어, 표면을 매끈하게 하는 작업이 뒤따른다. 이 표면처리의 특수한 기법으로 홍도(紅陶), 흑도(黑陶)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