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하드엣지

하드엣지 Hard-Edge(영)

1950년대 말에 미국에서 일어난 기하학적 추상화*의 새로운 경향. ‘쿨 아트*’ ‘신추상(New Abstraction)’이라고도 불린다. 당시 미국 화단에서 지배적이던 추상표현주의*에 반기를 든 일련의 작가들의 작품을 이르는 말이다.
이 말을 처음 쓴 것은 1959년 미국의 평론가 랭스너Jules Langsner이지만 영국의 평론가 알로웨이Lawrence Alloway(1926~1990)에 의해 일반화되었다. 이* 회화의 특징은,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단단한 가장자리에 의해 화면이 구분되며, 시원하고 단순한 색깔로 그려졌다는 점이다. 또 종래의 기하학적 추상회화에서는 각각 독립된 의미를 지니는 형태 몇 개를 조합하여 하나의 전체를 구성하는 방식, 즉 화면 전체를 몇 개의 부분으로 분할하는 표현 방식도 사용되었다. 그러나 하드엣지의 경우에는 형태가 화면 전체여서 분할이 불가능하다.
뉴만Barnett Newman(1905~1970), 라인하트Ad Reinhardt(1913~1967), 로스코Mark Rothko(1903~1970)의 그림들은 이미 1950년대에 하드엣지의 출현을 예고하고 있으며, 또 보색과 병치된 색깔의 상호 작용에 관심을 기울였던 앨버스Joseph Albers(1888~1976)의 그림과 저서들도 역시 하드엣지 회화의 탄생에 중대한 영향을 끼쳤다. 특히 아크릴 물감*의 개발은 이 경향에 새로운 기술적 토대를 마련해 주었다.
‘범위’와 ‘경계’가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는 이 ‘가장자리(edge)’에 대한 최초의 강조는 1960년대에 미술을 산업적으로 조립하는 것을 가능케 했던 요소 중 하나이다. 이 경향의 대표적인 작가로는 놀랜드Kenneth Noland(1924~ ), 켈리Ellsworth Kelly(1923~ ), 스텔라Frank Stella(1936~ ) 등이 있다.

하르미카

하르미카 harmikā(범)

스투파*의 돔* 정상부에 올려지는 난간을 갖춘 발코니.

→ ‘스투파’ 참조

하모니

하모니 harmony(영)

→ 조화

하세가와파

하세가와파 長谷川派

→ 운코쿠파

하엽준

하엽준 荷葉皴

연잎 줄기처럼 생긴 동양화의 준법*. 물이 흘러내려 고랑이 생긴 산비탈 같은 효과를 내므로 주로 산봉우리의 표현에 사용한다. 긴 선으로 긋는 준이기 때문에 피마준*과 같은 계통이라 할 수 있다.
중국 북방 산수에서 양강(陽剛)의 아름다움을 나타내기 위한 준법이 부벽준*이라면, 남방산수의 차분하고 부드러운 아름다움을 나타내기 위한 준법은 하엽준을 비롯하여 피마준, 해삭준*이라 하겠다. 원대(元代) 화가 조맹부趙孟頫(자오 멍후, 1254~1322)의 그림인 〈작화추색도鵲華秋色圖〉에서 볼 수 있으며 남종화*가들에 의해 주로 사용되었다.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의 산수에서도 그 예를 볼 수 있다.

하이라이트

하이라이트 highlight(영)

회화*나 사진*의 화면 속에서 가장 밝게 빛나는 부분. 이를테면 측면 인물화*의 경우, 광선을 받은 이마 부분이나 책상 위에 놓인 기물 중에 유난히 반짝이는 돌출 부분 따위를 말한다.

하이테크 미술

하이테크 미술 high-tech art(영)

컴퓨터, 레이저, 홀로그램, 위성중계, 복사기나 팩스 같은 각종 기계 등 고도의 테크놀로지를 사용하는 현대 미술. 단순히 첨단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것이라기보다 미술가는 전통적인 미술 작업에서 장르나 재료를 택하듯이 작가의 의도를 전달하기에 가장 적합한 과학기술을 취사 선택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작가가 하이테크 미술에 필요한 기기나 그것을 취급하는 전문기술을 얻기가 어렵기 때문에 기업이나 대학 연구소로부터 하드웨어와 기술을 제공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초기에는 테크놀로지에 대한 모더니즘의 낙관적인 태도를 기반으로 하였으나 1970년대 이후에는 긍정적이면서 동시에 부정적인 과학기술에 대한 이중적인 태도를 반영하는 경향이 농후하며 첨단 기술을 이용하여 테크놀로지 자체에 대한 작가의 비판적 시각을 드러내는 작업들이 주를 이루게 되었다.

하이퍼리얼리즘

하이퍼리얼리즘 Hyperrealism(영)

→ 극사실주의

하쿠호시대 미술

하쿠호시대 미술 白鳳時代美術

여러 호족들의 연합정권으로 인해 불안정했던 조정이 권신(權臣) 소가蘇我의 권세를 꺾어 중앙정권을 장악하고 당唐을 본떠 국가를 건설한 645년의 다이카노카이신大化の改新으로부터 헤이조平城(현 나라奈良)로 천도한 710년까지의 미술. 국가의 보호를 받았던 불교는 헤이안(飛鳥)시대와 마찬가지로 미술 문화의 중심역할을 하였다.
이 시대의 미술양식은 이제까지와는 다른 양식으로 전개되었다. 이는 한반도를 거쳐서 일본에 전해지던 중국 대륙의 미술양식이 견당사(遣唐寺)의 파견에 따라 직접 일본으로 들어오게 되고, 백제와 고구려의 멸망에 따른 망명인들에 의해서 새로운 기술과 양식이 전해졌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효덕조孝德朝부터 천지조天智朝까지는 헤이안 양식의 여운을 지닌 작품들이 존재하고, 천무조天武朝 이후에는 수隋, 당唐의 영향을 받은 작품들도 나오게 되었다.
건축:호류지法隆寺의 금당金堂, 오중탑五重塔, 중문中門, 회랑回廊의 일부가 하쿠호시대의 건축이다. 그 특징으로는 중간이 굵은 엔타시스적 기둥과 처마밑 두공*에 구름 모양의 첨차를 사용한 것을 들 수 있다.
조각:하쿠호 전기에 속하는 대표적 조각은 도쿄東京국립박물관 소장의 〈신해명관음보살상辛亥銘觀音菩薩像> 등을 들 수 있는데, 좌우에 지느러미 모양으로 넓어지는 천의(天衣)의 형식 등 아직 헤이안시대의 양식이 남아 있지만 얼굴에는 엄숙함이 줄어들고 어린아이의 얼굴에 가까운 표정을 보이고 있다. 또한 북제北齊, 북주北周 양식을 보이는 〈관심사觀心寺 관음보살觀音菩薩〉, 당당한 체구나 둥글둥글한 얼굴 생김에서 수의 영향을 느끼게 하는 〈당마사當麻寺의 본존미륵상〉 등이 전기 시대의 작품들이다.
후기의 작품으로는 살집이 좋아지고 법의의 질감이나 주름이 사실적으로 묘사된 〈법륭사 대보장전大寶藏殿의 귤부인주자 아미타삼존상橘夫人廚子 阿彌陀三尊像〉, 체구와 조화 비율이 실제 사람에 가까워지고 치마를 통해서 허리나 다리의 선을 뚜렷하게 들여다보이게 만들어 초당(初唐)의 영향이 배인 〈약사사藥師寺 동원당東院堂 성관음상聖觀音像〉 〈약사사 약사삼존상〉 등이 있다.
회화:하쿠호 시대의 회화를 대표하는 작품은, 석실 세면에 성장한 남녀 인물과 현무, 백호, 청룡이 그려지고 천장에 성숙(星宿)이 그려진 〈다카마쓰쓰카高松塚 벽화〉와 1949년 화재로 상실된 대소 12면의 〈호류지 벽화〉가 있다. 이 벽화에는 약사藥師, 석가釋迦, 아미타阿彌陀, 미륵彌勒의 정토가 잘 표현되어 있다. 불보살의 몸이나 의복문양에 짙은 음영*을 나타내어 입체감을 살린 점과 철선묘*(鐵線描)라 부르는 비수 없는 탄력성 풍부한 선이 사용된 점이 특징이다.

한국 청동기시대 미술

한국 청동기시대 미술 韓國靑銅器時代美術

주로 청동기 유물을 대상으로 해서 그들의 형식 변천과 공반관계(共伴關係)를 고찰하면, 대체로 기원전 10년경부터 시작하여 서기 4세기 전후까지를 청동기시대로 보고 있다. 이를 다시 대표적 유물인 동검(銅劍)의 형식 분류에 따라 , 제1기를 요녕식(遼寧式) 동검시기, 제2기는 Ⅰ식 세형 동검시기, 제3기는 Ⅱ식 세형 동검시기로 나눈다.
제1기의 청동기는 기원전 700~600년경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요녕지방에서 출토된 유물과 비슷한 형식이며 공반유물로는 석기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제2기에 이르러서는 석묘(石墓)계통의 분묘에서 출토되며, 종교적 색채의 청동기도 출토되기 시작한다. 공반유물로는 비실용화된 마제석촉(磨製石鏃), 천하석제식옥(天河石製飾玉), 점토대토기(粘土帶土器), 흑색장경호(黑色長頸壺) 등이 있다. 제3기에서는 공구(工具), 용기(容器), 거여구(車輿具) 등 일상생활의 실용품들이 토광묘(土壙墓)에서 출토된다. 공반유물로는 석기가 소멸되고 철기가 대량으로 나타난다. 또한 낙랑고분(樂浪古墳)의 출토품과 동일한 종류의 한식유물(漢式遺物)이 동반되고 있다.
분묘:가장 전형적인 것은 네 벽과 바닥 및 뚜껑을 각각 1장의 판돌로 조립한 석관묘(石棺墓)이다. 또한 북방식(탁자식)과 남방식(바둑판식)으로 구분되는 지석묘(支石墓)가 있다. 동검이 부장되며 돌로 구축된 동검석묘(銅劍石墓)는 지석묘와 석관묘 사이에 새로이 채택된 무덤으로 추정된다. 매장 시설로서 목관이나 목곽이 사용된 토광묘는 청동기시대에서 초기철기시대로 변천함에 따라 나타나는 고분구조이다.
토기: 청동기 시대에 사용된 토기* 전체를 가리켜 무문토기(無文土器)라고 명명한다. 이들 토기의 종류들은 크게 세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음식을 끊이는 자비용(煮沸用)으로 사용한 원통형의 토기이다. 그리고 저장의 용도로 쓰인 호형(壺形)토기와 음식물을 담기 위한 접시, 굽접시, 대접 등이 있다. 무문토기는 태토 속에 굵은 모래알이 포함되어 있어, 표면을 매끈하게 하는 작업이 뒤따른다. 이 표면처리의 특수한 기법으로 홍도(紅陶), 흑도(黑陶)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