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한림도

한림도 寒林圖

산수화*의 한 화제(畵題)로, ‘한림’이란 잎이 다 떨어진 쓸쓸한 숲을 의미한다. 한림이란 용어는 이미 당시(唐詩)에 보이지만 화제로 취급된 것은 당말오대(唐末五代)부터이다. 주로 화북계(華北系) 산수화가들에 의해 산수화의 점경(点景)이나 주경(主景)으로 그려졌다.
한림도는 이성李成(리 츠엉)에 의해 완성된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이성은 오대 말기부터 북송北宋 초기에 걸쳐 화북지방에서 활약하였다. 그는 겨울 풍경을 전문으로 했는데, 가지들의 곡선 장식과 더불어 벌거벗은 나무들을 통해 자연의 장엄함과 황량함을 표현하였다. 송대(宋代)의 허도녕許道寧(쉬 따오닝), 곽희郭熙(구어 시) 등의 작품은 이성의 작풍(作風)을 이어 받았다. 한림도에는 풍설(風雪)에 부대껴 끝이 게발톱처럼 표현된 나뭇가지가 자주 등장하는 것이 특징이다. 해조묘*라 불리는 이러한 기법은 이성, 허도녕, 곽희와 원대(元代)의 이곽파* 작품에서 그 예를 찾아 볼 수 있다.

한림도화원

한림도화원 翰林圖畵院

북송北宋 전기의 화원(畵院). 화원 제도의 기원은 당대(唐代)에도 보이며 오대(五代)의 후촉後蜀, 남당南唐에서 제도화되었다. 북송시대에는 태종太宗과 신종神宗 모두가 회화를 좋아해 이를 적극 후원하였다. 따라서 황실에서는 오대의 화원제도를 계승하여 한림도화원을 건립하고 내시성內侍省 밑에 두었다. 대조(待詔), 예학(藝學), 지후(祗候), 학생 등의 직급과 정원, 승진제가 확정되고 무인계 관직이 주어지게 된 것은 진종眞宗(998~1022)에 이르러서라고 추측된다.
진종에서 휘종徽宗(1067~1125)에 이르는 사이에 여러번 제도가 변혁되었다. 특히 휘종의 화원개혁에서는 직업화가로서의 질적 향상이 도모되고 원체화*(院體畵; 화원회화양식)가 확립되어 후세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화원화가는 주로 궁정용, 외국 사신들에게 증여하기 위한 회화, 궁정 사관 관공서에 필요한 장식화 등을 제작하였다. 주로 제왕과 궁정의 심미안을 반영하였고, 북송 전기 예술의 발전과 번영을 보여준다.

할렌키르헤

할렌키르헤 Hallenkirche(독) hall church(영) église halle(프)

광간식 성당(廣間式聖堂)이라 한다. 기독교 성당 안에서 신랑*과 측랑*의 높이가 똑같이 되어 있는 형식의 성당. 이 형태는 로마네스크*식 건축에서 개발되었으며, 특히 독일의 후기 고딕*식 교회에 자주 나타난다.

해경화

해경화 海景畵 Seascape(영)

바다를 주제로 한 그림. 고대의 신화나 해상전투 또는 해적행위 같은 사건들을 묘사한 그림 속에서 즐겨 다루어졌다. 고대 회화*의 주된 관심은 인간이었기 때문에 바다나 강은 대개 관례적으로 묘사되거나 신성(神性)이 깃들어 있는 형태로 표현되었다. 풍경화* 그 자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던 로마 시대에도 해경화에는 이르지 못했다. 또한 브뤼겔Pieter Bruegel(c.1525~1569) 역시 배에 대한 관심을 보였으나, <이카루스의 추락>에서 보여지듯이 중심 주제에 부속된 것이었다.
한편 거센 바다 위의 배를 즐겨 다룬 그의 만년의 회화들은 바다 그 자체에 대해 주목하고 있는데, 이러한 화풍은 17세기의 네덜란드 화가들에 의해 주로 시도되었다. 핸드릭 코르넬리스 브룸, 비에링겐 코르넬리스 클래츠 등이 있으며, 1625년경 반 에르트벨트Andries van Eertvelt는 다채로운 플랑드르 양식의 낭만적인 해경화를 보여주고 있다. 18세기의 영국 화가들로는 모나미Peter Monamy, 스콧Samuel Scott 등이 있다. 그 후 터너William Turner(1775~1851)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영국 해경화는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된다.
19세기에 이르면 보닝턴Richard Parkes Bonington, 코트맨John Sell Cotman 같은 뛰어난 해경화가들에 의해 풍경화와 해경화 간의 구분이 희미해지기 시작하며, 근대와의 간격을 메워주고 있는 윌리W. L. Wyllie는 특히 독특한 물의 색채를 통해 수많은 해경화가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해삭준

해삭준 解索皴

피마준*에서 약간 변형된 동양화 준법*. 밧줄을 풀어헤친 것같이 꼬불꼬불한 필촉으로 처리되는 것이 특징이다.

해상화파

해상화파 海上畵派

중국유파의 하나로 ‘해파(海派)’라고도 한다. 아편전쟁(1840~1842) 이후 상해上海는 통상항구로 개방되었고, 각지에서 몰려든 화가들의 수가 늘어나 회화 활동의 중심이 되어서, ‘해파’라는 명칭이 생겼다.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①전통의 기초 위에 파격적인 참신함과 자유로운 유파를 추구하여 개성이 분명하다. ②품학수양(品學修養)을 중시한다. ③민간 예술과의 관계 속에서 아속공상(雅俗共賞)의 경지를 이룩한다. ④외래예술을 흡수한다. ⑤그림모임(畵會)들이 일어나 융성한다. 대표적인 화가로는 조지겸趙之謙(자오 즈지앤, 1829~1884), 허곡虛谷(쉬 꾸), 임이任頤(르언 이), 오창석吳昌碩(우 츠앙스, 1842~1927), 황빈홍黃賓虹(후앙 빈홍, 1864~1955) 등이다.
이 밖에 임태任態(르언 슝), 포화蒲華(후 화), 호공수胡公壽(후 꽁서우), 장태張態(즈앙 슝), 오우여吳友如(우 이어우르우), 정장程璋(츠엉 즈앙), 오경운吳慶雲(우 칭윈), 임훈任薰(르언 쉰), 전혜안錢慧安(치앤 후에이안), 사복沙馥(사 후), 황산수黃山壽(후앙 산저우), 예묵경倪墨耕(니 모징), 조자운趙子雲(자오 쯔윈), 왕일정王一亭(우앙 이팅), 빙초연(빙)招然(훵 츠아오르안), 정우창鄭牛昌(즈엉 우츠앙) 등이 있다. 《해상묵림海上墨林》에 기록된 화가의 수는 700여 명에 이른다.

해서

해서 楷書 kái -shu(중)

한자 서체*의 일종. ‘정서(正書)’ 혹은 ‘진서(眞書)’라고도 한다. 예서*의 왼삐침과 오른삐침을 없애고 방정한 체를 이룬 것으로, 옛날에는 예서에 포함되었으나 육조(六朝)시대에 이르러 정서 또는 진서의 명칭이 붙었다. 옛날에는 해법이라고 하여 서법을 모방한다는 의미로 쓰였으므로 서체에만 한정된 명칭은 아니었다.

해양사가

해양사가 海陽四家

→ 신안화파

해조묘

해조묘 蟹爪描

동양화에서 나뭇가지를 그리는 기법. 마른 나뭇가지의 구부러진 형상을 게의 발처럼 날카롭게 그리는 수지법*(樹枝法)이다. 화북계통 산수화에서 앙상하게 헐벗은 한림(寒林)의 가지나 말라 죽은 고목(枯木)의 가지를 그릴 때 사용한다. 이곽파*李郭派 산수에 많이 쓰였으며 조선초기의 안견파*安堅派도 이를 받아들여 애용하였다.

해체

해체 deconstruction(영)

→ 탈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