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미술 新羅美術
신라는 사로斯盧라는 성읍국가가 핵심체가 되어 4세기로 들어서면서 실질적인 왕국으로 발전한 나라이며, 내물마립간(奈勿麻立干, 356~402)시대가 신라왕국 전환기의 김씨 왕족의 세력정착기로 파악되고 있다. 7세기 중엽에 백제, 고구려를 차례로 정복하여 역사상 처음으로 단일국가를 이룩하였다. 신라의 미술 문화를 대표하는 것으로는 경주 시내에 분포하고 있는 돌무지덧널무덤(積石木槨墳)과 이곳에 부장된 금은장신구, 칠기*, 무구, 마구, 유리기, 토기* 등의 부장품과 황룡사를 비롯한 절터 등의 불교 유적과 불상, 와당 등의 불교 조각과 건축물들이 있다.
고분:돌무지덧널무덤은 지하나 지상에 덧널을 짜넣고 그 속에 널과 껴묻거리를 넣은 후 덧널의 상부에 돌을 쌓고 그 위에 봉토를 씌우는 특이한 구조로 고구려나 백제, 가야와는 다른 독특한 형식이다. 대표적인 무덤으로 〈금관총金冠塚〉 〈금령총金鈴塚〉 〈서봉총瑞鳳塚〉 〈식리총〉 〈천마총天馬塚〉 〈황남대총皇南大塚〉 등이 있다.
공예:장신구로는 관귀고리, 목걸이, 허리띠, 금동식리(金銅飾履) 등이 있다. 관은 내관과 외관으로 되어 있는데, 내관은 중국에서 변(弁)이라 부르는 삼각형의 모자형이고 내관의 앞면에 새날개 모양의 장식을 꽂았다. 외관은 둥근 테에 세개의 출자형(出字形) 장식관과 두개의 사슴뿔 모양의 장식관을 작은 못으로 고정시켰고 여기에 금판으로 만든 장식과 곱은 옥*(曲玉)을 달았다. 귀고리는 귓불에 끼는 윗고리가 굵은 태환식(太鐶式)과 가는 세환식(細鐶式) 두 종류로 나눌 수 있으며 중간 장식과 끝장식은 여러 가지 형태이다.
허리띠는 금, 은, 금동으로 만든 네모난 둥근 판에 하트형 또는 둥근 모양의 고리 여러 개를 가죽 또는 천으로 된 허리띠 표면에 작은 못으로 박고 여기에 여러 줄의 긴 장식을 달았다. 장식에는 손칼, 족집게, 약통 등이 있어, 각종 일상도구를 몸에 지니고 다녔던 북방 유목민족의 풍습과 연결된다. 무기로는 손잡이 끝에 둥근 고리가 달린 환두대도*(環頭大刀)가 대표적이다.
용기류에서는 서역과의 교류를 보여주는 유리기가 주목되는데, 금관총, 서봉총, 천마총에서 출토된 잔(盞)과 황남대총 남부에서 출토된 봉수형병(鳳首形甁)이 있다. 토기로는 밀폐된 가마*에서 고온으로 구워진 아주 단단한 긴 목항아리, 짧은 목항아리, 굽다리접시가 중심을 이루고 그 외에는 그릇받침 손잡이 달린 잔, 동물, 배 모양의 이형토기(異形土器)들도 있다.
회화:신라의 회화는 고구려와 백제의 영향을 받으면서 신라 고유의 회화양식을 구축하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삼국 중에서 화적(畵跡)이 가장 알려지지 않았으나 천마총(天馬塚) 출토의 자작나무 껍질테에 그려진 천마도(天馬圖), 기마인물도(騎馬人物圖), 천마총, 황남대총(皇南大塚)에서 출토된 칠기(漆器)에 그려진 화염문, 봉황문 등이 발굴되었다. 이들 회화적 요소들은 공예를 주로 하던 장인들의 솜씨라는 점에서 당시 최고수준의 회화를 엿보기에는 미흡하나 능숙한 묘사력을 보여주고 있다. 신라에는 채전(彩典)이 설립되었음을 《삼국사기》의 기록을 통하여 알수 있는데, 후대의 도화원圖畵院과 같이 화원들이 활동을 한 국가기관이었던 것으로 추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