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반 盤

→ ‘이기’ 참조

반가사유상

반가사유상 半跏思惟像

왼쪽 다리를 내리고 그 무릎 위에 오른쪽 다리를 얹은 일종의 반가부좌의 자세로, 대좌* 위에 걸터 앉아 오른팔의 팔꿈치로 무릎을 짚고, 그 손가락으로 오른 뺨을 고이며 생각하는 자세의 보살상을 말한다. 원래는 부처가 태자였을 때 인생의 무상함을 느끼고 출가하여 중생구제라는 큰 뜻을 품고 고뇌하는 태자사유상에서 유래한 것이다. 인도에서는 간다라와 마투라에서 3세기경 불좌상의 양 협시*의 형식에서 출발하여 단독상으로 변한 것으로 추측된다.
중국에서는 북위北魏시대 5세기말 운강석굴*에서 교각미륵상과 함께 불좌상의 협시로서 나온다. 이후 6세기 후반의 북제北齊시대에 성행하였으며, 단독상으로 태자사유상이라 명(銘)한 것도 있다.
한국에서는 신라시대에 화랑제도와 미륵신앙을 연결시켜 ‘미륵보살반가사유상彌勒菩薩半跏思惟像’이라고 불렀다. 특히 삼국시대인 6세기 후반부터 유행하기 시작하여 통일신라 초기까지 금동 또는 석조로 많이 만들어졌는데, 대표적인 예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국보 제78호 및 국보 제83호의 〈금동반가사유상〉, 경북 봉화 출토 〈석조반가사유상〉(경북대학교 박물관 소장) 등이 있다. 이 반가사유상은 일본의 아스카*(飛鳥), 하쿠호시대*(百鳳時代)에 많은 작품을 남겼으며, 특히 고류지廣隆寺에 있는 〈목조반가사유상〉은 국보 제83호 반가사유상과 형태도 비슷하고 적송(赤松)으로 만들어진 점, 당시 삼국과 일본과의 교류관계를 통해서 볼 때 한국의 상으로 추정된다.

반닫이

반닫이

한국의 전통 목가구의 하나로, 주로 안방에서 물건을 넣어두는 장방형의 커다란 그릇으로 궤*(櫃)의 일종. 반닫이는 궤의 윗널이나 앞널의 절반쯤을 문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데서 생긴 호칭이다. 보통 느티나무, 느릅나무, 참죽나무와 같은 단단한 목제를 두껍고 폭넓은 널판으로 만들어서 튼튼하게 짠다. 판재끼리는 사개물림(양쪽 판의 끝을 모두 凹자 모양으로 엇갈리게 한 맞물림)을 하고 금구장식으로 보강한다. 주로 의복과 문서, 서책, 제기(祭器) 등을 간수하는 데 쓰였다.

반예술

반예술 反藝術 anti-art(영)

뒤샹Marcel Duchamp(1887~1968)이 제기한 후 현재까지 폭넓고 다양한 뜻으로 사용되고 있는 개념이다. 반예술에 대한 정의는 매우 다양하다. 마르쿠제Herbert Marcuse(1898~1979)는 반예술 작품을 그림이 있기는 하지만 예술로서 의도되지 않은, 예를 들어 낙서 같은 것이라고 정의했다. 배트코크Gregory Battcock는 기존 도덕을 위반하는 것, 예를 들면 불법 섹스만화 따위를 반예술로 본다. 미국의 미학자 디키George Dicky는 예술을 관습으로 보고, 진정한 반예술이란 그 관습 안에서 일어나는 행위로 이루어지면서도 관습의 규범을 교묘히 이용하여 어떠한 예술 장르에도 포함되지 않는 것을 뜻한다고 했다.
반예술의 개념은 예술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의 모든 영역에서 기성 가치의 부정을 표명했던 취리히 다다*에서부터 태동하였다. 다다는 입체주의*를 부정하면서 근대로부터 근세로 거슬러 올라가는 지속적인 흐름으로서의 예술을 부정하였다. 그러나 반예술의 가장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출발점으로 간주되는 것은 뒤샹이다. 뒤샹은 1916년 반예술이라는 이름 아래 앙데팡당*전에 가명으로 변기를 ‘샘’이라는 제목을 붙여 출품했지만 전시를 거부당했다. 예술과는 전혀 무관한 변기가 기성 가치를 부정하는 하나의 상징으로 등장하여 역설적이게도 예술의 전개와 그 개념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게 된 것처럼, 반예술은 무엇보다도 예술과 깊은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뒤샹은 고전 예술의 대표격인 레오나르도 다 빈치Leonardo da Vinci(1452~1519)의 <모나리자>에 수염을 그려넣어 기존의 미의 관념에 과감히 도전하였다. 한편 195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신사실주의*, 팝 아트*, 미니멀 아트*, 개념 미술* 등은 그 부정의 대상으로 앵포르멜*과 추상표현주의* 미학을 중심에 놓았다. 이렇듯 다다에서 시작된 반예술 개념은 예술의 외재적인 자기 비판을 거쳐 예술 자체의 구성요소를 검증하는 내재적인 방향으로 진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