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패널

패널 panel(영)

①그림을 그리는 판자 또는 타블로*가 그려진 판자로, 패널 페인팅은 판화(板畵)를 가리킨다. ②건축 용어로는 벽판, 벽 밑에 두르는 판자 또는 문의 판자 등을 말하여 이는 벽, 천장, 문 따위의 테두리 속에 쑥 들어가 있거나 밖으로 불쑥 나온 판자도 마찬가지이다. 벽을 판자로 덮는 것도 패널링이라고 한다.

패러디

패러디 parody(영)

주로 명작의 시구나 문체를 모방하고 내용은 전혀 별개의 것을 표현함으로써, 그 외형과 내용과의 불일치에서 익살스러운 효과를 주는 시. 그 기원은 기원전 7, 8 세기의 그리스로 거슬러 올라가는 초기 시와 운문(韻文) 등 주로 문학의 영역에서 행해졌으나, 오늘날에는 미술의 영역에서도 자주 사용되고 있다.

패스티시

패스티시 pastiche(영)

원본에서 따온 것을 수정해서 복제*하거나 조각들을 짜맞추어 만든 그림이나 도형, 다른 예술가들의 양식을 명백히 모방한 것, 또는 그런 것들의 양식을 일컫는다. 패스티시는 일반적으로 예술가가 스스로 빌려온 것을 자기 자신의 통일*된 양식으로 융합해내지 않은 것이라는 의미를 내포하면서 절충적인 작품에 대해 경멸적인 의미로 쓰인다.

패턴 페인팅

패턴 페인팅 Pattern Painting(영)

→ ‘패턴과 장식’ 참조

패턴과 장식

패턴과 장식 Pattern and Decoration(영)

패턴과 장식(P&D)은 1970년대 중반부터 1980년대 초에 주요 경향을 이루었던 미술 운동. 서구미술에서 ‘장식적’이라는 표현은 다소 모욕적이거나 부차적인 의미에서 사용되었으며, 장인적 기술이나 민속미술* 그리고 속칭 여성의 작업과 관련된 디자인과 기법 및 재료들은 속되거나 실용적인 목적인 감각적 쾌락을 위한 것으로 치부되어왔다.
지극히 이론적이고 환원주의적인 미니멀리즘이 지배적이던 1970년대 중반에 일군의 미술가들은 이슬람, 비잔틴*, 켈트족, 아메리칸 원주민의 미술 등 비서구적 미술을 망라한 동서양의 미술과 소위 ‘장인적 기술’ 작업인 퀼트, 카펫, 직물, 모자이크*, 자수, 레이스, 벽지 등에서 영감을 얻은 작품을 제작함으로써 장식미술을 금기시하는 미술계에 반기를 들기 시작했다. 여타 많은 주의(主義)들과 달리 패턴과 장식은 사실상 하나의 운동이었다.
1974년 패턴과 장식 미술가들은 자카니치Robert Zakanitch의 스튜디오에 모여 장식미술의 예술성에 관해 토론하기 시작하였다. 패턴과 장식은 문화적 경험의 주류에서 소외되어오던 부분을 부각시킴으로써 모든 양식을 포괄하는 다양성을 지니게 되었으며 페미니즘 미술*의 한 유형이 되기도 하였다. 비평가 카레이 리키는 “패턴미술의 힘의 원천은 어떠한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으려는 데 있다. 왜냐하면 그것은 결코 이것이냐 저것이냐를 결정하는 영역이 아니기 때문이다”라고 평가하였다.
한편 존 페로가 “하나의 구조이자 하나의 과정으로서의 패턴화는 근래에 있었던 가장 비사실주의적이며 전위적인 어떤 회화보다도 더욱더 복합적인 시각 경험을 제공해 준다”고 했듯이, 패턴 페인팅이 미니멀 아트*에 내재하는 형식주의적* 구조와 반복적인 격자에서 출발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할지라도 그 효과는 정반대로 나타난다.
샤피로Miriam Schapiro(1923~ )는 단추, 실, 의복장식용 금속조각, 뜨개실, 비단, 올굵은 삼베, 모직물 등을 짜고 수놓고 이어붙여 실용적이면서도 장식적인 물건으로 만들었다. 그는 자신의 재조립 과정을 ‘여성(female)’과 ‘이미지(image)’를 합쳐 ‘파마주(famage)’라고 이름붙였다. 그는 부채꼴 모양의 콜라주*들에서 여성적인 이미지와 추상을 종합하였다. 본래 색면추상 작업을 하던 자카니치는 정교한 색채와 구조를 여전히 존중하면서 벽지와 같은 격자의 꽃무늬 패턴회화로 전환하였다.
매코넬Kim Macconnel은 타피스트리* 같이 느슨한 화포에 화려한 색채와 꽃무늬 또는 기하학적인 패턴을 옛 문화로부터 차용해온 미묘한 이미지들과 결합시켰다.
조던Valerie Jaudon은 켈트미술의 양식화된 문양, 특히 매듭과 겹친 부분이 있는 리본의 형태로 패턴화하였으며, 또한 패턴과 장식 미술가들은 장식의 역할을 미술에서 뿐만 아니라 가정내에서 그리고 공공장소에서도 찾을 수 있다고 이해하였으며, 기능적인 오브제*와 설치*미술 작품(코즐로프Joyce Kozloff와 스미스Ned Smith의 타일, 지루아드Tina Girouard의 리놀륨, 매코넬의 가구 등)도 제작하였다. 그 외 쿠시너Robert Kushner, 립스 Rodney Ripps, 데이비스Brad Davis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