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누동화파

누동화파 婁東畵派

중국화 유파의 하나로 ‘태창파太倉派’라고도 불린다. 이 파의 대표자인 청대(淸代)의 산수화가 왕원기王原祁(우앙 위앤치, 1642~1715)는 조부 왕시민王時敏(우앙 스민, 1592~1680)의 가법(家法)을 계승하고 황공망黃公望(후앙 꽁왕, 1269~1454)의 기법을 모방하여 성조 강희 연간(聖祖 康熙, 1661~1722)에 명성이 높아져 그를 따르는 이들이 매우 많았다. 사촌 동생 왕욱王昱(우앙 위)과 조카 왕소王愫(우앙 쑤), 그리고 제자인 황정黃鼎(후앙 띵), 왕경명王敬銘(우앙 칭밍), 금영희金永熙(진 융시), 이위헌李爲憲(리 웨이시앤), 조배원曹培源(차오 페이위앤), 화곤華鯤(화 꾼), 온의溫儀(원 이), 당대唐岱(탕 따이) 등이 누동화파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 후로 증손자 왕신王宸(우앙 츠언), 사촌조카 왕삼석王三錫(우앙 싼스), 그리고 성대사盛大士(츠엉 따스), 황균黃均(후앙 쥔), 왕학호王學浩(우앙 쉬에하오) 등이 있다. 이 화파의 숭고보수(崇古保守) 화풍은 우산화파*와 영향을 주고 받았으며 후세에 큰 영향을 끼쳤다.

누보 레알리슴

누보 레알리슴 Nouveau Réalisme(프)

1960년대 초에 당시 유럽과 미국의 지배적인 조류였던 추상표현주의*, 서정 추상*, 타시슴* 등 일련의 앵포르멜 미술*에 대응해서 일어난 운동. 누보 레알리슴은 공업제품의 단편이나 일상적인 오브제*를 거의 그대로 전시함으로써 ‘현실의 직접적인 제시’라는 새롭고 적극적인 방법을 추구했던 미술이다. ‘기계화되고 공업화되면 광고로 넘치는 우리들 현대의 자연’을 있는 그대로 ‘차용’하여 제시하는 것은 누보 레알리슴의 가장 중요한 원리이자 방법이다.
누보 레알리슴의 중심 인물은 비평가 레스타니Pierre Restany로서 그는 1960년 4월 밀라노 아폴리네르 화랑에서 제1차 선언을 발표하고 <현실의 새로운 조망적 접근>이라는 기치로 전시를 개최했다. 정식으로 ‘누보 레알리스트’로서 그룹이 결성된 것은 같은 해 11월 클랭Yves Klein(1928~1962)의 방에서였으며, 이어 그해 말에 파리에서 열린 제2회 전위미술제에서 작품 전시, 1961년 5월 파리 J화랑에서 제2회 전시 <다다보다 40도 위>를 개최하고 선언서를 발표함으로써 그 주장을 보다 명확히 했다.
이 전시회에서 아르망Arman(1928~ )은 그림물감의 튜브나 진공관과 같은 대량생산의 공업제품을 집적(集積)한 작품을 출품하여 ‘현실의 직접적 제시’라는 방법을 구체화 시켰다. 스포에리Daniel Spoerri(1930~ )는 <타블로 피에지(함정의 회화)>라는 작품을 내놓았는데, 이는 음식물이 남아 있는 식기류를 쟁반 위에 그대로 고착시켜 음식을 먹고 난 그 시각과 상태를 현상 자체로 제시한 것이었다. 팅겔리Jean Tinguelly(1925~1991)는 폐물들을 이용한 작품을 하였고 세자르César(1921~ )는 자동차를 입방체로 압축시킨 조각을 보여줌으로써 소재의 특이성과 기교를 아주 내버린다는 점에서 누보 레알리슴의 미학을 잘 드러내었다. 빌르글레Jacques de la Villeglé(1926~ )와 앵스Raymond Hains는 벽에서 떼어내거나 찢어진 포스터 및 광고로 작업했다.
누보 레알리슴 운동의 최초 그룹 참가자는 레스타니, 아르망, 뒤프렌느François Dufrêne, 앵스, 클랭Yves Klein(1928~1962), 레이스Martial Raysse, 스포에리, 팅겔리, 빌르글레 등 10명이었으나 곧 세자르, 생팔Niki de Saint Phalle(1930~ ), 크리스토Christo Javacheff(1935~ ) 등이 참여했다. 이들은 세 개의 선언을 발표하면서 이념적인 통일성을 보이긴 하였으나, 구체적인 개개 작품간의 공통적 특성은 명확하지 않다.
1960년의 선언에서는 ‘실재를 자각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 방식’ 만을 요구하였으며, 각 작가들은 자신의 방식대로 다양하게 작업했다. 이들의 결속은 현대적 자연을 제시하려는 필요에 의한 전략적인 것이었으므로 조직력은 강하지 않아서, 의견의 대립으로 곧 클랭, 앵스, 레이스 등이 그룹의 해산을 선언했고 1962년 클랭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동요되다가 1963년에 운동으로서의 누보 레알리슴은 막을 내렸다.

눈속임 기법

눈속임 기법 trompe-l’œil(프)

세밀한 묘사로 실제의 것을 보는 듯한 착각을 주는 기법. 처음에는 세속적인 물체를 소유하고 싶은 원망(願望)을 나타낸다는 식으로 묘사했던 일도 있다. 근세 네덜란드 시민들의 생활 속에서 정물화*의 변종으로서 환영을 받았다. 대상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 말은 보통 나쁜 뜻으로 쓰였지만, 초현실주의*에서는 데페이즈망*이나 편집광적 비판* 방법에 바탕을 둔 이 수법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였다. 이 기법의 의도는 보는 자의 의식을 착란시키려는 데 있다.
데 키리코Giorgio de Chirico(1888~1978)를 비롯해 달리Salvador Dali(1904~1989), 마그리트René Magritte(1898~1967), 델보Paul Delvaux(1897~1994), 로이Pierre Roy 등의 작품이 잘 알려져 있다. 존스Jasper Johns(1930~ )의 정교한 맥주 깡통 모형은 눈속임 그림의 삼차원적 입체화에 성공한 대표적 작품이다.

뉘앙스

뉘앙스 nuance(프)

일반적으로 음(音), 의미, 감정, 언어 등의 미묘하고도 섬세한 차이를 말하지만, 미술 용어로서는 색조, 명암, 형태, 정취 등에 관한 표현상의 미세한 차이를 가리킨다. 좁은 의미로는 색채의 그라데이션과 함께 생기는 미묘한 색조의 차이를 말한다. 색채는 그 세가지 속성(색상*, 채도*, 명도*)의 단계적 변화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이러한 색채의 변화 및 차이를 색의 뉘앙스라고 한다.

뉴 리얼리즘

뉴 리얼리즘 New Realism(영)

→ 신사실주의

뉴 바우하우스

뉴 바우하우스 New Bauhaus(영)

1937년 10월 시카고 미술공예협회의 후원으로 모홀리 나기László Moholy-Nagy(1895~1946)가 시카고에 설립한 미술 교육 기관. 당시 하버드 대학 건축과 교수였던 그로피우스Walter Gropius(1883~1969)를 고문으로 하여 처음에는 ‘뉴 바우하우스, 미국 디자인 학교The New Bauhaus, American School of Design’라는 명칭으로 36명의 학생들을 입학시켜 발족하였다. 그러나 관리 운영상의 실패로 이듬해인 1938년 폐쇄되고 말았다. 이어서 1939년에 재차 뉴 바우하우스 시대에 협력했던 사람들과 함께 디자인 학교를 재설립하고 주간과 야간과를 병설하여 운영하였다.
1944년에는 ‘디자인 연구소The Institute of Design’라 개칭하고 대학으로 승격시켰다. 1946년 모흘리 나기가 사망한 후, 1948년 후계자인 체르마이에프Serge Chermayeff가 뒤를 이었다. 1952년에는 ‘일리노이 공과 대학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에 합병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그 이념은 근본적으로 독일의 바우하우스*와 별 차이가 없지만 새로운 시대에 발맞춘 미국의 실정에 맞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기초 과정 18개월 후 전공 과정으로서 제품 디자인(product design) 부문과 커뮤니케이션 디자인(communication design) 부문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4년제이다.

뉴 이미지 페인팅

뉴 이미지 페인팅 New Image Painting(영)

‘뉴 이미지’란 마샬Henry Richard Marshall이 기획하여 1978년 휘트니 미술관에서 열린 전시회 <뉴 이미지 페인팅>에서 파생된 명칭이다. 이 전시회는 본질적으로 다른, 여러 양식의 미술을 아무렇게나 모아놓았다는 비판을 받았으나 매우 중요한 현상 두가지를 제시했다. 첫째는 1960년대의 미니멀 아트*가 10여년간 지속된 후 주제를 알아볼 수 있는 구상 이미지의 재등장, 그리고 둘째는 10여년간 지속되어 온 대상이 없는(non-objects) 개념미술* 이후 전통적인 캔버스* 회화형식으로의 복귀이다. 뉴이미지 회화의 선구자는 과거에 추상표현주의* 계열의 작품활동을 한 거스통Philip Guston(1913~1980)이다. 1970년에 이르러서 거스통은 색채가 어른거리는 듯한 추상을 버리고 비극에 직면한 인간 희극을 만화* 같이 묘사하는 독특한 작품을 그리게 되었다. 어떤 뉴 이미지 화가도 거스통의 개성적인 양식을 모방하지 않았지만 그의 대담한 기발함은 촉매 역할을 하기에 충분했다.
뉴 이미지 화가 개개인은 각기 독자적인 작품 방향을 설정했으나, 그들의 작품들은 대부분 추상적인 배경 속에서 대상이 서서히 드러나는 효과를 창조했다. 예를 들면 로덴버그Susan Rothenberg(1945~ )가 스케치풍으로 그린 말, 아프리카노Nicholas Africano의 아주 작은 인물들, 모스코비츠Robert Moskowitz(1935~ )가 실루엣*으로 처리한 대상 등은 본질적으로 추상적이며 회화적인 배경 안에 들어 있다. 뉴 이미지 화가로 분류되는 다른 미술가들은 보다 개념주의적인 접근방법을 적용시켰다. 제니Neil Jenney(1945~ )는 이미지를 화면 위에 그린 것은 물론 익살스럽고 설명적인 제목을 그림틀 위에 적어 넣었다. 바틀릿Jennifer Bartlett(1941~ )은 강철판 위에 그림을 그렸는데, 같은 주제를 각기 다른 양식으로 여러 번 시도하여 추상과 재현*의 회화적 언어를 체계적으로 탐구했다.
이렇게 각기 다른 미술가들을 한 데 묶어 그 성격을 일반화시키는 것은 어려운 작업이다. 그러나 이들의 화풍은 추상표현주의와 그 이후의 혼란스러운 작용과 반작용의 다양한 결과로부터 나온 것이다. 즉 이들은 선별, 고립, 단순화, 결합 혹은 제시 따위의 매우 개별화된 과정을 통하여 새롭게 활기를 부여한 형상을 선택함으로써 자신들을 구별시키고 있다.
따라서 뉴 이미지 페인팅의 독창성은 양식에 있는 것이 아니라, 가까운 과거로부터 차용한 것을 결합하고 혼합하는 특이한 기법과 이념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뉴 이미지 회화는 구상 이미지에 대해 관심을 나타내는 점에서, 그리고 스티어Pat Steir의 경우처럼 역사를 주제의 원천으로 차용한다는 점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을 예고했다고 할 수 있다.

뉴 일루저니즘

뉴 일루저니즘 New Illusionism(영)

눈속임 기법* 그림이나 착각을 불러일으키는 회화 및 조각류를 다시 채택한 주의. 모더니즘*이 현실세계를 이지적 성실성과 단순함으로 표현하고 있는데 비해 착각을 불러일으키는 사실주의*는 실제와 같은 회화와 조각을 통해 현실 세계를 반영함으로써 관객을 기만하고 있으므로, 순수한 의미에서 위조 혹은 순수라고 할 수 있다. 개념주의자들이 퍼포먼스*, 과정 미술*, 대지 미술*, 혹은 뒤샹적인 낱말 유희를 위해 화실에서의 제작과 오브제* 제작을 포기하고 있을 즈음, 뉴 일루저니즘 작가들은 미니멀 아트*의 주도권에 반발하였다. 새로운 극사실주의* 미술은 대중적 호소력을 지니면서 화상과 소장가들을 매료시켰다.

뉴 페인팅

뉴 페인팅 New Painting(영)

1980년대에 들어와서 대두되기 시작한 새로운 조류의 회화의 총칭. 1980년대 후반부터는 신표현주의*, 트랜스 아방가르드* 등의 이름으로 보다 구체화되고 분화되어 불리고 있는 까닭에 자주 사용되지는 않는 일종의 과도기적인 명칭이라고 할 수 있다. 거대한 캔버스에 거친 필치, 원색의 격렬한 색채 대비에 의해 그려지는 폭력, 죽음, 성(性), 꿈, 신화 등의 도상*을 갖는 이미지들을 그 특징으로 가진다. 모더니즘* 회화는 구상으로부터 추상 회화로, 그리고 다시금 회화 자체의 부정에로 그 가치관을 교체시켜 왔다. 그런데 1980년대의 새로운 움직임은 특히 바로 직전의 관념적이고 금욕적인 1970년대 모더니즘 회화의 가치관과는 지극히 대조적인 성격의 것으로서 대비된 까닭에 새 시대의 도래라고 흥분하는 면이 없지 않았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회화 발전의 역사로부터 이탈한 일시적인 현상이라 보는 측면도 있었다.
최근 들어 신표현주의라는 명칭이 점차 정착되고 있는 이 새로운 회화의 물결은 <뉴 스피리트 인 페인팅>(1981, 런던), <바로크 81>(1981, 파리), <슈나벨전>(1981, 뉴욕), <아방가르디아, 트랜스 아방가르디아 68~77>(1982, 로마), <자이트가이스트*>(1982, 베를린), <미니멀 아트에서 표현주의에로>(1983, 뉴욕) 등의 전람회에 의해 주목을 받았다. 관련했던 작가들은 미국의 슈나벨Julian Schnabel(1951~ ), 살르David Salle(1952~ ), 보로프스키Jonathan Borofsky(1942~ ), 독일의 키퍼Anselm Kiefer(1945~ ), 펭크A.R.Penck(1939~ ), 바젤리츠Georg Baselitz(1938~ ), 폴케Sigmar Polke(1941~ ), 이탈리아의 클레멘테Francesco Clemente(1952~ ), 팔라디노Mimmo Paladino 등을 들 수 있다.

뉴 피규레이션

뉴 피규레이션 New Figuration(영)

→ 신구상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