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글자로 미술용어 찾아보기

0 1 2 7

도화견문지

도화견문지 圖畵見聞誌

중국 북송北宋의 곽약허郭若虛(구어 루어쉬, 11세기 후반경 활동)가 지은 화론서 6권. 장언원張彦遠(즈앙 이앤위앤)의 《역대명화기歷代畵名記》를 이어 당唐 회창 원년(會昌, 814)에서부터 송宋 희녕 7년(熙寧, 1074)까지 생존했던 화가들의 전기와 화론, 회사(繪事)를 서술하였다. 당말(唐末)부터 북송 중기에 걸친 회화사의 기본적인 문헌이다. 제1권에는 화론, 제2, 3, 4권에는 당말에서 오대(五代), 송대(宋代)에 이르는 화가 280여명에 대한 간략한 전기와 평론을 실었다. 제5, 6권은 당, 송간에 일어난 회사의 고사일화로 채워졌다.
곽약허는 인종仁宗(재위 1022~1063), 신종神宗(재위 1067~1085)경의 사람으로 추정되는데, 회화를 좋아하고 회화 이론에 밝았다. 곽약허의 예술사상은 《도화견문지》 1권에 실려 있는 16편의 단문에 집중되어 있다. 이 단문들에는 회화의 규칙과 감상, 대상관찰의 방법, 제재의 선택, 형상의 묘사, 표현 기교, 작가와 모사대상의 관계 등이 서술되어 있다. 이러한 글에는 곽약허의 미학사상이 도처에 반영되어 있다. 그의 대표적인 미학사상은 기운생동(氣韻生動)은 배워서 얻을 수 없는 것이고 문인사대부만이 얻을 수 있는 것이라는 주장으로 요약된다. 이는 인품이 높으면 기운이 높지 않을 수 없고, 기운이 높으면 생동이 이르지 않을 수 없다는 북송시대 문인화*론을 대변하는 것이다.

도화서

도화서 圖畵署

조선시대 궁정에서 회화를 담당했던 기관. 궁중 및 정부가 필요로 하는 회화를 제작하였는데, 어용(御容, 왕의 초상화), 풍경화*, 고화모사(古畵模寫), 삽화, 도자기 그림, 세화*(歲畵), 능원도(陵園圖) 등을 주로 그렸다. 중국의 화원인 한림도화원*翰林圖畵院 제도를 모방한 것으로, 《삼국사기》에는 전채서典彩署, 《고려사》에는 한림도화원, 화국畵局 등에 대한 기록이 있다. 조선시대 초기에는 도화원圖畵院으로 부르다가 세조(재위 1455~1468) 말경 도화서로 개명하였다. 직원(職員)에는 제조(提調) 1, 별제(別提) 1, 선화(善畵) 1, 선회(善繪) 1, 화사(畵史) 1명을 포함한 화원*(畵員) 20명, 생도(生徒) 10명이 있었다. 조선 후기에 실무주관자인 별제가 폐지되고, 화원이 20명에서 30명으로 늘고, 전자관(篆字官) 2명이 추가되는 등 다소간의 변화가 있었지만 기본적인 골격은 한말(韓末) 순조 때까지 지속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