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산수화

산수화 山水畵

산과 강, 자연경관을 그리는 동양화의 한 분야. 동양에서는 산악을 신선이나 진귀한 짐승이 살고 있는 영적인 곳으로 인식하여 왔으므로 이미 진秦, 한漢 때부터 공예의장 등에 산수를 도식적, 관념적 문양으로 표현하는 것이 성행하였다.
자연 경관을 대상으로 하는 순수한 회화로서의 산수화는 육조(六朝)에 이르러서야 독립된 주제로 그려지기 시작하였다. 육조시대의 고개지顧愷之(꾸 카이즈, 344~406)는 도교의 선산(仙山)을 교리적으로 그렸으며, 종병宗炳(쫑 빙)은 기억 속의 산천을 즐겨 그렸다는 일화가 있다. 그러나 그때까지만 해도 나무나 언덕, 특히 공간 표현은 여전히 고졸한 형태였다가 당대(唐代)의 이사훈李思訓(리 쓰쉰), 이소도李昭道(리 사오따오) 등에 의해 청록산수*의 화풍이 완성되었다. 때를 같이하여 오도자吳道子(우 따오쯔)가 수묵화* 기법으로 산수를 표현하는 이른바 ‘산수의 변화’를 일으켜 그 표현 방법이 한층 다양해졌다.
그후 오대(五代)의 형호荊浩(싱 하오), 이성李成(리 츠엉), 북송北宋 초기의 범관范寬(환 쿠완) 등으로 대표되는 화북계(華北系) 산수화와 동원董源(똥 위앤), 거연巨然(쥐 르안) 등이 중심인 강남산수*(江南山水)가 형성된다. 이들은 곽희郭熙(구어 시)에 의해 종합적인 이론으로 정립되었다. 명대(明代)의 동기창董基昌(똥 치츠앙, 1555~1636)은 그때까지의 산수화를 다시 남종화*와 북종화*로 나누고 남종화를 우위에 놓음으로써 남종화의 확립자인 원사대가*(元四大家)의 화풍이 중국은 물론 우리나라에도 오래도록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