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시각 언어

시각 언어 視覺言語
visual language(영)

시각에 호소해 의지를 소통시키는 언어를 뜻한다. 이러한 사고방식은 근대적인 조형예술의 일반 개념으로, 이전부터 존재해왔지만 케페시Gyorgy Kepesi의 저서 《시각의 언어》(1944)에서 비로소 상세한 규정이 내려지게 되었다. 시각 언어의 종류는 조형예술*, 영화, 사진*, 텔레비전 등 인간의 시각에 의한 생활이나 경험을 재현한 것으로 다양하다. 이것들을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가 시각어(視覺語)이며, 이로부터 시각언어가 성립된다는 사고는 상업디자인에서도 중요하게 받아들여 이용되고 있다.

시각 커뮤니케이션

시각 커뮤니케이션 visual communication(영)

전통적인 미술교육 과목인 소묘*, 유화*, 수채화*, 레터링* 등과는 별도로 광고, TV, 사진*, 영화, 만화*, 일러스트레이션*, 인쇄 등이 시각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되는 부분을 지칭한다. 《영역없는 미술》의 편집자들이 지적한 바와 같이, 이 용어는 때때로 ‘그래픽 디자인*’의 대용어로 쓰인다. 독일에서는 엔첸베르거Hans M. Enzenberger가 처음 사용하였으며, 프랑크푸르트에 있는 ‘실험예술 및 미학연구소Institute for Experimental Art and Aesthetics’에서 발간하는 《미학과 커뮤니케이션》 등의 잡지에서 1970년 이후 사용하고 있는 ‘Visuelle Kommunication’이란 용어는 정치적 사항들에 대한 대중의 인지 수준을 높이는 작업과 관련된 분야를 가리킨다.

시각 혼합

시각 혼합 視覺混合
optical mixture(영)

색채를 섞을 때 팔레트* 위에서 안료를 실제로 혼합하는 것이 아니라, 화면에 작은 색점을 인접하게 찍어두고 조금 거리를 두고 볼 때 눈에서 시각적으로 혼색되어 보인다는 현상을 원리로 하는 색채 혼합 방식. 인상주의* 화가들도 순도가 높은 색과 분할된 필촉을 사용하였으나, 시각 혼합 기법은 수학적이고 과학적인 색채 이론을 기반으로 했던 신인상주의*에서 확립되었다.
이에 따르면, 녹색과 같이 밝은 2차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두 개의 원색인 청색과 황색의 작은 점들을 병치한다. 색채는 혼합할수록 탁해지므로 시각적으로 혼합되었을 때 보다 선명하고 밝은 색채를 얻을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또한 감상자의 눈속에서 혼합이 이루어지는 데에는 항상 거리가 중요한 문제가 되므로 색점은 그림의 크기나 감상되는 거리에 따라 그 크기가 변화되기도 한다.

→ ‘점묘주의’ ‘분할주의’ 참조

시각예술탐구그룹

시각예술탐구그룹 Groupe de Recherche d’Art Visuel, GRAV(프)

1960년 르 파르크Julio Le Parc(1928~ )의 제창으로 결성되고 1968년 해산된 파리에 머무르던 키네틱 아트* 작가들의 그룹. 예술현상을 시각적인 불확실성, 즉 착시, 움직임, 빛, 반사 등으로 표현하고 관객을 예술적 작업과 작품에 직접 참여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르 파르크 외에 로시Garcia Rossi, 소브리노Francisco Sobrino, 스타인Joel Stein, 이바랄Yvaral, 모를레François Morellet(1926~ )가 참여하였다. 이들은 모두 이전에 결성된 ‘시각예술탐구센터’의 구성원이었으며, 1960년대의 제로 그룹*(독일), 그루포 T(이탈리아) 등의 활동으로 활발해진 빛을 이용한 시각적인 키네틱 아트의 한 계보를 형성한다.
본래 이 모임은 개개 회원의 자유로운 연구를 결집해 보다 고차원적인 공동작업 형식을 취했고, 더불어 1961년 파리 비엔날레에서 발표한 공동작품 <미로(迷路)>에서 보여주었듯이 관객의 참여를 전제로 함으로써 관람자와 분리된 종래의 작품 개념을 극복하는 것을 목표로 출발했다. 이들은 주로 반사경, 알루미늄, 비닐, 아크릴, 플라스틱 등의 공업재료를 사용하여 모빌*이나 부조* 및 각종 실험 장치를 제작했다. 회전과 요동, 착시 등을 통해 관람자의 불안정한 시각과 심리적인 반응을 불러 일으키는 옵 아트*와 키네틱 아트, 라이트 아트*가 결합된 이들의 작업은 관람자들을 새롭고 체험적인 상황으로 이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