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초기 기독교 미술

초기 기독교 미술 early christian art(영)

고대 말기에 기독교가 나타난 뒤, 5세기 전반 경우에 따라서는 6세기에서 중세로 넘어갈 때까지의 기독교 미술을 말한다. 중세 유럽의 미술이 대부분 기독교 미술이지만, 초기 기독교 미술(300~700)은 그 중에서도 주로 이탈리아와 지중해 서쪽 지역의 미술을 지칭할 때 사용된다. 이 시기의 동유럽은 이른바 비잔틴 미술*과 새로 유입된 게르만 족의 투박한 미술이 유행하였다. 물론 동서 유럽 미술의 경계가 확실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중복은 불가피하다.
보통 기독교의 공인(4세기 초)을 구획으로 하여 ‘카타콤* 시대’와 ‘승리 교회 시대’로 구분한다. 전자는 기독교 탄압이 이따금 행해지던 시기로, 중앙 권력이 비교적 약한 시리아의 두라 에우로포스 유적에서 발견된 소성당이 있고, 또 2세기에는 시리아나 소아시아에 교회가 있었던 것을 문헌에 의해 알 수 있으나 전반적으로 성당 건축은 발달하지 못했다.
유적은 카타콤을 주로 하고 미술은 죽은 자를 위한 것이었다. 현재의 카타콤의 대부분은 로마 교회에 집중되어 있고, 벽면을 장식하는 벽화가 주목된다. 대부분 3세기 이후의 것으로 주제, 기법, 양식 등에 있어서 고대적인 성격이 강하다. 로마 이외에는 근래에 니슈(유고슬라비아), 페치(헝가리), 이즈니크(터키) 등에서 벽화가 있는 카타콤이 발견되었다.
또 카타콤에서는 석관부조(石棺浮彫), 석관선조(石棺線彫) 외에 소조각, 소공예품 등이 나왔다. 카타콤 시대의 미술은 고대 로마 미술이나 유태교 미술과도 많은 관련이 있는데, 두라 에우로포스에 남아 있는 유태교 신전벽화(3세기 중엽)도 그런 의미에서 중요하다. 콘스탄티누스 대제 시대에 들어와 각지에 일제히 성당이 세워졌다. 원칙적으로는 동향의 바실리카식 플랜으로, 2열 기둥으로 구획된 삼랑식 플랜의 동쪽 끝에 반원형의 애프스*가 돌출되고 서쪽에 종종 나르텍스와 아트리움*이 붙는다. 옆 복도는 트리뷴을 갖는다.
대성당에는 독립된 세례당이 부속된다. 그 외에 묘당, 순교자 기념당, 세례당과 같이 둥근 지붕의 원당 또는 팔각당이 있다. 외벽은 모두 장식이 없으나 내벽은 모자이크*로 화려하게 장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색감, 소재(색유리를 많이 이용)도 종래의 벽면 장식법을 일변시켰다. 카타콤에서 볼 수 있듯이 고대적인 것도 남아 있지만 기독교 교의를 나타내는 새로운 그림이 급속도로 발달했다.
건축활동은 로마에 그치지 않고 콘스탄티노폴리스(천도 330), 안티오키아, 나아가 기독교 성적(聖跡)이 많이 남아 있는 예루살렘 부근에도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고 집중식과 절충식 플랜도 나타났다. 콘스탄티누스 대제 시대에 이은 4~5세기에는 특히 건축가들의 창조적인 노력이 나타났다. 이는 유스티니아누스 대제 시대에 큰 결실을 보게 되었는데 이를 비잔틴 미술*이라 한다. 조각은 주로 석관 조각이 대표적이며 그 공방은 서쪽에서는 로마, 아를르, 타라고나(스페인)였고, 동쪽은 소아시아 방면이었다. 전반적으로 말하면, 초기 기독교 미술은 고대 로마의 전통에 대한 동방적 기술과 감각을 가미하여 이를 기독교 정신에 의거, 종교적 성격을 높여 갔다.
기독교 미술은 도상적 관념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주로 고대 고전기의 우상숭배적인 양식과 예술 언어를 받아들였다. 그러나 기독교의 정신성을 강조하기 위해 고전기의 미술이 채택되었지만, 그것은 미의 이념이라든지 시각적 아름다움, 또는 기술적 완전성 따위보다도 상징적 의의때문이었다.
그래서 새로운 미술 양식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새로운 도상학*이 나타났다. 예컨대 초기 기독교 미술은 고전 후기(300~500)와 비교해서 양식상으로는 구별되지 않고, 기교상으로는 보다 저급하며, 도상학적으로는 아주 새로운 것이다. 초기 기독교 미술 중에서도 특히 회화의 경우, 그 예를 카타콤에서 잘 볼 수 있다. 이 좁은 카타콤의 벽면(주로 천장)을 장식하고 있는 벽화들이 당시 회화의 특징을 잘 드러내고 있는데, 기독교의 상징주의*에 입각하여 그림의 모티브*가 신중하게 선택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리스도를 의미하는 양치기, 하늘의 연회, 불멸성을 상징하는 수탉, 영혼을 의미하는 비둘기, 희망을 상징하는 닻 등이 종종 쓰이고 있으며, 구약성서에 나오는 요나의 이야기 등이 구원의 전형으로 그려지기도 한다. 그리스도의 기적 장면을 묘사하는 경향은 점점 일반화되었고, 이 시기의 그리스도는 주로 수염이 없는 젊은이의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
건축에서는 바실리카*라는 커다란 교회당이 나타난다. 이 건축들은 서유럽 교회당 건축의 기본적인 모델이 되었지만 불행히도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며 내려오지 못했다. 초기 기독교의 바실리카는 집회당과 신전, 사저(私邸)의 종합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당시 교회 건물의 구성 요소 중 특징적인 것으로 모자이크*가 있는데, 이것은 소박하고 단순한 건물의 외경과는 달리 그 찬란한 광채로서 신의 영적인 위엄을 환기시키는 장엄한 세계를 연출했다.
조각은 회화나 건축에 비해 보수적이었는데, 기본적으로 우상 숭배의 오명을 피하기 위해 등신대의 인물상이나 대형 예배상의 제작을 꺼렸던 당시 상황의 반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기독교 조각은 처음부터 모뉴멘털한 방향으로 나아간다. 즉, 그리스 로마 조각의 공간의 깊숙함이나 당당한 규모가 없어지고 소규모의 형태와 레이스 같은 평면 장식으로 기울어졌다.

초기 영국 양식

초기 영국 양식 Early English Style(영)

영국 고딕* 초기의 양식. 대개 1190년부터 1310년까지의 작품이 이에 해당하고, 프랑스 초기 및 전성기 고딕을 도입하여 영국적으로 수정한 것. 특색은 트레이서리가 없는 란세트창, 비교적 낮은 볼트 천장, 장대한 복도, 별스럽지 않은 플라잉 버트리스* 등이다. 솔즈베리 대성당이 대표적인 작품이며 링컨 대성당이나 웨일스 대성당의 대부분, 웨스트민스터 사원, 로체스터 대성당 등도 이 양식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