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복발

복발 覆鉢

→ 안다

복사

복사 卜辭

→ 갑골문

복수 미술

복수 미술 複數美術 multiples(영)

대량생산을 위해 고안된 미술작품으로서, 예술의 독창성과 위대한 예술가의 가치 기준이자 미술의 오랜 관습인 오리지널리티에 도전한다. 복수미술품의 역사는 오래되었는데, 르네상스* 이후 판화*와 조각*은 작업실이나 공방*에서 그 수를 제한하여 한정판으로 복제되었으며 원작과 다를 바 없는 구매력을 갖고 있었다. 1950년대 중반에 등장한 용어인 멀티플은 다수로 제작되지만 그 수를 한정적으로 제한함으로써 복제와는 달리 작품의 오리지널리티를 보유하는 혁신적인 개념이다. 대량생산이 가능해짐으로써 보다 많은 사람들이 미술품을 구입하고 향유할 수 있다.
1955년 아감Yaacov Agam(1928~ )과 팅겔리Jean Tinguely(1925~1991)는 파리의 미술상인 르네Denise René에게 작품을 복수로 제작하자는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그로부터 4년 후에 스포에리Daniel Spoerri(1930~ )는 파리에 에디시옹 M.A.T.(Editions Multiplication Arts Transformable)를 설립하고 칼더Alexander Calder(1898~1976), 뒤샹Marcel Duchamp(1887~1968), 만 레이Man Ray(1890~1977), 팅겔리, 바자렐리Victor Vasarely(1908~ ) 같은 미술가들의 작품들을 100부 한정판으로 제작하여 판매하였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의 복수미술은 1960년대 이후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번졌다. 특히 키네틱 아트*는 기계에 의해 제작된 대량생산품을 원작으로 보급하였는데, 바자렐리는 1955년에 복수미술의 가능성을 다음과 같이 시사한 바 있다. “우리는 미술 작품에 대한 이해를 요구하는 대신, 작품의 존재를 양적으로 확산시킬 것을 권한다.” 공업적으로 대량생산된 복수미술 작품들은 예술을 소비품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의도를 기반으로 대중 속에 깊숙이 파고 들었다.

복음서

복음서 福音書 Gospels(영)

성서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삶과 죽음을 다룬 네개의 이야기. 마태, 마가, 누가, 요한이 저술했다고 전해지는 복음서들은 신약성서의 가장 처음에 놓이며 그 분량은 신약성서의 절반에 해당한다. 원래 복음이라는 말은 ‘좋은 이야기’를 뜻하는 앵글로 색슨어 ‘god-spell’에서 유래했는데, 이것은 또한 ‘기쁜 소식’ 혹은 ‘좋은 이야기’라는 의미의 라틴어 ‘evangelium’과 그리스어 ‘euangelion’을 번역한 것이다. 18세기말부터 요한복음서를 제외한 나머지 세개의 복음서들은 본문 중 중복되는 내용들이 많고, 예수 그리스도의 삶과 죽음에 대한 묘사가 서로 비슷하기 때문에 ‘공관복음서*(Synoptic Godspels)’라고 불린다.

→ ‘공관복음서’ 참조

복음서 저자

복음서 저자 福音書著者
Evangelist(영)

신약 성서의 네 복음서*의 저자인 마가, 누가, 마태, 요한. 이들은 기독교 미술에서 인간의 모습이나 날개가 달린 짐승으로 상징화되며 서적의 표지나 모자이크*화, 제단*, 출입문 등에 자주 등장하였다. 복음서 저자들의 초상을 책 앞에 내세우는 것은 헬레니즘*의 관례에 기인한다. 튜닉과 망토 차림을 한 예수가 네 명의 복음서 저자들 사이에 서있는 그림은 340년경에 만들어진 로마의 카타콤*에서 유래한다.
복음서 저자들을 동물로 상징한 그림에서 마가는 사자로, 마태는 천사로, 요한은 독수리로, 누가는 황소로 나타난다. 이러한 복음서 저자들의 상징*은 고딕 성당 건축에서 장식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특히 15세기 이후 자주 묘사되었다. 16~17세기의 네덜란드 회화에서 그들은 책을 들고 함께 무리를 이루는 모습으로 그려졌다.

복제

복제 複製 reproduction(영)

원작이 다른 사람의 손에서 동일한 기술적 수단에 의해 모방되는 것을 말한다. 원작의 예술 작품과 동일성이 있다고 인정되는 상태로 재현하며 소재나 기법, 크기가 원작과 같은 경우와 다른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복제는 원작자 이외의 손을 빌리게 되는데 작가 자신이나 그의 지시에 따라 행해지는 경우도 있다. 만약 동일 작가의 손에서 이루어질 때는 ‘사본(replica)’이라고 하며, 다른 재료를 사용하거나 원작의 대부분을 임의로 바꾸는 경우도 복제에 해당한다. 모사나 모각에 의한 복제는 비교적 그 수가 적으나, 복제판이나 형 뜨기에 의한 복제는 대량으로 만들어지기도 한다.
특히 판화는 사진기술이 보급되기 이전에는 복제기술로 많이 사용되었다. 조각상의 복제는 이미 헬레니즘* 시대에 성행되었다. 특히 기원전 1세기말부터 상당 기간 성행한 그리스 조각의 복제는 오늘날에도 많이 전해지고 있다.
근세 초기에 이르러 예술가의 개성과 독창성이 중시되면서 미술 작품에 대한 학술적 연구가 이루어졌고 기법의 학습을 위해 복제가 다시 유행하게 되었다. 18세기 이래 각지에 아카데미*가 창설되고 연구와 학습용으로 훌륭한 조각 작품의 복제가 많이 필요하게 되면서 석고 모형이 복제되었다.
이러한 복제품을 세계 최대로 소장하고 있는 곳은 프랑스 국립 박물관이다. 또한 목재와 석재를 써서 조각을 모조하는 성취(punktierung)가 있다. 복제품은 유실된 귀중한 원작의 진면모를 후세에 전하는 중요한 근거를 제공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