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암막새

암막새

→ ‘와당’ 참조

암문

암문 暗門

성(城)의 깊숙하고 후미진 곳에 적이 알지 못하는 출입구를 내어 사람과 가축이 통과하고 양식 등을 나르도록 하는 곳.

암벽화

암벽화 岩壁畵

동굴, 절벽, 암괴 등의 벽면에 그린 그림. 각지에 걸쳐 구석기 시대부터 중세까지 각 시대의 것이 있다. 실루엣*을 새기거나 윤곽선을 단색의 안료로 그린 것에서부터 부조나 여러 색채를 사용한 것까지 그 기법과 양식이 다양하다. 작품 소재는 구석기 시대에는 주로 수렵의 대상인 들소, 말, 맘모스, 코뿔소 등이었고, 신석기 시대 이후로는 집단적인 수렵, 어로, 경작, 제의 장면이 표현되었다. 이것들은 대개 주술적인 목적에서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구소련에는 구석기 시대의 암벽화로 카포바야 동굴과 쉬슈키노 등이 있고, 신석기 시대의 것은 자라보르가 등이 알려져 있으며, 특히 러시아 동북부와 동 시베리아에 많이 분포한다. 우리나라의 암벽화로는 경남 울주군 언양면 대곡리와 울주군 두동면 천전리의 것 등이 있다.

암영주의

암영주의 暗影主義
Nuagisme(프)

이 용어는 아이러니컬한 의미로 사용되어, 1953~1966년 함께 의견을 표명한 프랑스 화가 집단을 가리킨다. 이들은 벤라스Benrath, 뒤빌리에René Duvillier, 그라지아니Pierre Graziani, 로비에스René Laubiés, 룹찬스키Marcell Loubchansky, 아사르Nasser Assar 등으로, 평론가 알바르Julien Alvard(1960년 파리 장식 미술관에서 <대립관계Autagonismes>라는 전시를 기획)의 지지를 받으며 기하학적이지도 제스처적이지도 않은 추상미술을 전개하였다. 그들을 결합시켰던 것은 앵포르멜 미술*에서의 투명성과 심오함의 재도입이었다. 1953년 알바르에 의해서 주관된 그들의 첫 전시회의 제목인 <한계없는 자연으로부터 무경계의 회화까지D’une nature sans limites áune peinture sans bornes>에서 그들의 화풍이 잘 드러난 바 있다.

암포라

암포라 amphora(영, 라)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에 가장 널리 쓰였던 항아리의 한 형식. ‘2개의 손잡이’라는 뜻을 갖고 있다. 타원형으로 불룩 나온 긴 몸통을 가진 암포라의 경부(頸部)는 원통형을 이루고 받침 부분이 안정되어 있다. 항아리의 목 부분에서 몸통에 걸쳐 세로로 2개의 손잡이가 달려있고, 대부분이 동그란 손잡이가 붙은 뚜껑이 있다. 본래 포도주나 올리브 유 등을 담는 그릇이지만 곡식이나 물고기의 운반, 저장용으로 주로 사용되었고 묘표(墓票), 유회(遺灰) 용기, 경기의 승리자에게 주는 상품 등 특수한 목적에도 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