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하루 그만보기
소프트 스타일 soft style(영)
주로 현대조각의 하나의 실험적 성격을 나타내는 일종의 양식* 개념이다. 조각의 최종적인 형태를 영구적으로 보존하기 위해 경성재료(硬性材料)를 사용하는 고정 관념에서 벗어나 연성재료(軟性材料)를 사용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조각의 전통적 속성인 보수성과 수구성에 새로운 파장을 일으켰던 경향. 이 경향의 출발은 1963년 재료 자체가 어떤 이야기를 할 수 있게끔 제시한 올덴버그Claes Oldenburg(1929~ )의 ‘소프트 스컬프처(soft sculpture)’에서 유래하고 있다.
그는 이 부드러운 조각들의 촉각적인 효과를 통해 조각의 오랜 배타적이고도 관념적인 방식에 도전하고 있는데, 여기에서 관중은 손을 통해 작품의 유연한 재질감을 즐김으로써 적극적인 의미에서 미술의 참여자가 된다. 올덴버그는 전통조각이 보였던 영속성의 허구와 번지르르한 기념비성 그리고 소비재로서의 내구성에 비판적인 입장을 표명하였고, 그 후 연질 재료를 이용해 많은 일상적 소재를 작품으로 표현했다.
그의 이러한 개혁적 표현은 달리Salvador Dali(1904~1989)의 초현실주의* 회화에서 그려졌던 연성 오브제*에서 이미 예시된 것이었다. 연성 조각의 흐느적거리는 유연성은 인간의 살이나 기관과 유사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몇몇 비평가들은 내장(內臟)의 함축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주장한다.
1960년대 이후 비닐, 고무, 파이버글라스, 라텍스, 플라스틱, 깃털, 펠트천, 모래, 머리카락 등 부드러운 재료의 가능성을 찾는 작가들이 늘어나면서 조각의 영역도 그만큼 확대되었다.
소필 燒筆
먹붓을 대기 전에 구도*와 선*의 기초를 잡는 밑그림에 사용되는 목탄. 서양화에서 석고데생에 쓰는 부드러운 버드나무 목탄과 같은 성질의 것이다.
소호 SoHo(영)
뉴욕 맨해튼의 남쪽, 휴스턴가(街)와 커널가(街) 사이의 화랑 밀집지대. 소호라는 명칭은 ‘South of Houston’의 약어로, 원래 공장, 창고 지구로 사용되던 곳이었다. 전후의 맨해튼이 국제 무역도시로 성장하면서 무역 사무실이나 호텔 등에 비해 공장의 수요는 줄어들어 임대료가 낮아지게 되자, 1950년대부터 이 지역에 가난한 예술가들이 불법적으로 거주하기 시작했고, 1960년대에는 합법화되어 로프트(loft)라 불리던 창고 공간은 예술가들의 생활과 작품제작의 장소가 되었다. 특히 1950~1960년대의 추상표현주의*는 대형 작품을 제작, 수용, 전시할 공간을 필요로 했으므로 소호의 공장과 창고는 적절한 조건을 제공해줄 수 있었다.
1968년 폴라 쿠퍼화랑을 시작으로 1970년대 후반 레오 카스텔리가 업타운에서 이전해 온 후, 무수한 화랑이 연이어 오픈했다. 메어리 분화랑을 중심으로 1980년대에 신표현주의* 회화가 대두되면서 소호에는 활기차고 감각 있는 화랑과 상점들이 잇따라 들어섰다. 그러나 점차 전문직종의 젊은이들이 이주해오고, 관광지가 되면서 임대료가 높아져, 역으로 예술가들은 소호를 떠나는 현상이 초래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호는 예술의 거리로서 그 명성을 보존하고 있다.
소혼점 小混點
담묵(淡墨)의 점을 먼저 찍고 그 위에 농묵(濃墨)을 사용해 붓끝으로 작은 타원형의 점을 찍는 기법. 흐리고 진한 것을 뒤섞어 혼란스럽게 그린다. 비오는 경치의 산이나, 나뭇잎 등의 묘사에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