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대 미술
수대 미술 隋代美術
수隋(581~618)는 북조(北朝)의 북주北周에서 일어난 양견(文帝, 재위 581~604)이 남조(南朝)의 진陳을 멸망시키고 세운 왕조. 율령제를 정비하는 등 획기적인 정책을 단행하여 중국 전국을 통일했으나, 둘째 아들 양광(陽帝, 재위 604~618)이 사치한 생활과 과도한 토목공사를 하고 고구려 원정까지 실패하여 내란이 일어나 838년에 멸망하였다.
건축:수도로 서경의 대흥성(唐代의 장안)과 동경의 낙양성이 새로 축성되어 동서, 남북 양방향으로 도로를 개통하고 궁성과 황성을 북쪽에 건립하고 광대한 외곽성을 건립하였다. 북주시대에는 불교를 배척하였으나, 문제의 즉위년 개황 원년(581)에 불교 부활의 칙명을 내렸다. 인수 원년(601), 인수 2년(602), 인수 4년(604) 3회에 걸쳐 전국의 명소와 사원에 110여기의 사리탑*, 즉 인수 사리탑을 축조하였다.
이 탑들의 기본은 목조 오층탑이며, 지하의 석함에 사리 용기를 넣었다. 문제는 개황 4년(584)에 장안과 황하를 연결하는 광통거廣通渠를, 개황 7년(587)에는 회수와 양자강을 연결하는 상양독山陽瀆을 개통했다. 이어 양제는 대업 원년(605)에 회수, 황하간의 통제거通濟渠를 완성하였고, 대업 4년에는 고구려 원정을 목적으로 황하와 탁군(북경 근교)사이에 영제거永濟渠를 개통하였다.
조각:조정의 불교 보호책에 따라 불교 석굴과 불상* 제작이 활발하였다. 천룡산 석굴의 제8굴의 상들, 제남부근의 옥함산 불곡사, 운문산 석굴 제1, 2굴, 타산 석굴 제2, 3굴이 수대의 석굴이다. 수나라 불상은 북제불의 강직하고 웅대한 면이 보이면서도 부드러운 당唐양식으로 옮아가는 과정을 보인다.
회화:수대에는 회화 부문에서 남북이 통합되었는데, 북조계의 화가가 남조의 양식을 흡수한다는 의미의 통합이었다. 수대 27년간의 화단은 남북조시대에 이어 장안화단(長安畵 壇)에서 많은 활동이 이루어졌다. 화가로는 장안의 정림사定林寺, 해각사海覺寺 등의 벽화를 그린 전자건展子虔(잔즈치엔), 정림사의 〈유마도維摩圖〉등을 그린 손상자孫尙子, 서역의 요철법*을 중국에 도입시킨 위지발질나尉遲拔質那 등이 존재하였으나, 이들의 화적은 남아있지 않다.
서예:북조의 검경과 남조의 유미가 융합한 것이 수대 서풍의 특징이다. 용장사비龍藏寺碑(586)는 남조계열이며, 조식묘비, 수공자묘비 등은 북조풍이다. 사경으로는 대반야경(603)과 현겁경(610)이 대표적 수경으로 간주된다.
공예:도자로는 월주요*越州窯계의 청자*가 전대에 이어 계속 제조되었고, 호남의 장사요, 안휘의 수주요에서도 청자가 생산되었다. 또한 투명유 백자*가 이정훈묘, 희위묘, 전덕원묘(611)에서도 출토되었고, 요지는 하남성 공현에서 발견되었다. 금속공예 중에서 우선 동경을 보면, 한식경(漢式鏡) 계통의 방격사신경(方格四神鏡)과 일광경, 내외구의 여백에 팔메트* 등 서아시아계 문양이 나타나는 당경의 선구가 되는 것이 있다. 금속공예는 북조 말기이래 사산조 페르시아의 영향을 받았고, 금속 표면에 좁쌀 같은 문양을 새긴 세공은 수대에서 시작되었다고 추정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