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직준
수직준 垂直皴
조선 후기에 활약한 겸재 정선鄭敾(1676~1759)이 창안한 준법*. 예리한 필선을 수직으로 죽죽 그어내려 나타낸다. 금강산 내외경의 뾰족한 암산을 묘사하는데 많이 사용된다. 준법은 본래 중국 화보에서 발전되어 왔으나 수직준은 진경산수*를 대성시킨 정선의 독특한 준법을 말하기 위하여 근래에 만들어낸 용어이다. 수직준법은 그 후 김홍도金弘道 등 진경산수화파에 이어졌다.
→ ‘정선파’ 참조
수직준 垂直皴
조선 후기에 활약한 겸재 정선鄭敾(1676~1759)이 창안한 준법*. 예리한 필선을 수직으로 죽죽 그어내려 나타낸다. 금강산 내외경의 뾰족한 암산을 묘사하는데 많이 사용된다. 준법은 본래 중국 화보에서 발전되어 왔으나 수직준은 진경산수*를 대성시킨 정선의 독특한 준법을 말하기 위하여 근래에 만들어낸 용어이다. 수직준법은 그 후 김홍도金弘道 등 진경산수화파에 이어졌다.
→ ‘정선파’ 참조
수채화 水彩畵
water-color painting(영)
물에 용해되는 매재(일반적으로는 아라비아 풀)와 혼합된 안료로 그린 회화를 가리키며, 서양 회화의 양식들 중 유화*와 대응되는 용어다. 넓은 의미에서 르네상스* 전후에 유화기법이 일반화되기 이전의 대부분의 회화기법은 물을 직접 또는 간접적인 매개로 사용하였으므로, 동양의 수묵화*나 담채화를 포함하여 고대 이집트의 파피루스* 두루마리* 그림, 템페라*나 과슈*, 중세 유럽의 도판 필사본*에 그려진 장식화들도 수채화의 범주에 속한다. 그러나 보다 엄밀한 의미에서의 수채화는 과슈, 템페라, 미니어처* 등과는 구별된다. 과거에 수채화는 유화와 비교하여 유화 과정을 위한 밑그림이나 미술 수업을 받는 학생들이나 사용하는 방식인 것처럼 여겨지기도 하였으나, 오늘날에는 소묘*와 더불어 독자적인 위치를 확보한 중요 회화 양식이 되었다.
갈색 비스터 물감이나 오징어 먹으로 된 엷은 색조의 단색 도료가 17세기의 펜 소묘화에서 인물이나 풍경 묘사를 위해 쓰였으며, 로랭Claude Lorrain(1600~1682)과 렘브란트Rembrandt(1606~1669)는 이 방법으로 탁월한 효과를 거두었다. 또한 네덜란드의 풍경화가들은 공간의 느낌, 원거리와 대기의 인상을 놀라울 만큼 성공적으로 표현했으며, 이런 효과는 단색조를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되었다. 뒤러Albrecht Dürer(1471~1528)와 반 다이크Anton van Dyck(1599~1641) 등의 화가들에 의해서 시도된 예가 있긴 했지만, 대체로 18세기말 이전의 수채화에서 다양한 색채를 구사하는 일은 극히 드물었다.
수채화의 획기적인 발전은 18세기와 19세기초의 영국에서 일어났다. 단색조의 바탕에 일정 범위의 색을 점차 많이 사용하였지만, 영국의 수채화는 네덜란드의 전통으로부터 광선과 대기의 자연스러운 효과를 잘 이어받았다. 이러한 양상은 18세기 중기 이래 샌드비Paul Sandby(1725~1809)의 작업에서 절정에 달했다. 토포그래피(topography, 지역의 풍토에 맞는 기법)는 계속해서 허언Thomas Hearne(1744~1817), 루커Michael Angelo Rooker, 맬턴Thomas Malton과 같은 영국 수채화가들의 주된 관심사가 되었다.
1802년 요절한 거틴Thomas Girtin(1775~1802)은 단색조와 결별하고 색채가 가미된 매체를 자유분방하고도 직접적으로 밑그림 없이 사용했으며, 광선 효과를 위해 화폭의 흰 표면을 여백으로 남기거나 아주 엷은 색조로 처리하였다. 터너William Turner(1775~1851)는 50년 동안 이 기법을 바탕으로 작업하였다. 수채화의 새로운 기법은 콘스터블John Constable(1776~1837)에 의해 개척되었다. 낭만주의* 정신과 닿아있었던 그의 접근방법은 수채화의 전반적 성격을 변화시켰다.
여러 가지 물감을 사용함으로써 미술가들은 색채의 범위를 확장할 수 있었고, 초상화를 제외한 모든 영역의 영국 회화에 수채화가 등장하게 되었다. 전시회 그림용으로 수채화를 활용하는 것은 1804년 ‘올드 워터 컬러 소사이어티Old Water-Color Society’가 창립되면서 활발해졌다. 낭만주의 운동에 가담했던 몇몇 외국 화가들, 특히 카를 푀르는 수채화가 공감을 주는 매체이며, 쉽게 마르는 성질이 야외 작업에 적합함을 발견했다.
20세기의 영국 수채화는 스티어Philip Wilson Steer(1860~1942), 존 내시John Nash, 폴 내시Paul Nash(1889~1946), 서덜랜드Graham Sutherland(1903~1980) 등에 의해 발전되었으며, 유럽 전역에서도 대중적으로 활용되게 되었다.
제2차세계대전 이후에 수채화는 점점 더 폭을 넓혀갔고, 그 간편하고 속도감 있는 표현 기법으로 인해 많은 화가들에게 쉽게 받아들여져 유화와 다름없는 표현수단이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서양화 기법의 수채화가 시작된 것은 1910년 후반이다. 그러나 초기에는 유화의 기법을 연마하는 수준으로 인식되어 전시회에서 발표되는 일이 드물었다. 그런 중에도 이인성李仁星은 인물화와 풍경, 정물화에서도 높은 수준의 많은 수채화 작품을 발표했다. 또 현역 화가들 중 많은 사람들이 유화작품과 함께 수채 재료에 의한 작품들을 발표하고 있으며, 수채화 전문화가들도 다수 활동하게 되었다.
수태고지 受胎告知 Annunciation(영)
기독교 미술의 오랜 주제 중 하나. 도상은 신약성서의 누가복음 제1장 26~38절을 따른다. 예수 그리스도가 잉태되었음을 알리는 대천사 가브리엘과 이 소식을 전해 듣는 나자렛의 마리아가 주요 인물이다. 때에 따라서는 시녀, 헌납자 등 제 삼자를 배치하기도 한다. 중세 말에서 르네상스 때에는 성모의 순결의 상징인 백합 또는 올리브 가지를 들었고, 성모는 서거나 앉은 채로 이들을 맞는다. 중세에는 이와 같은 기본적 형태에 성부의 신, 성모 앞에 날아와 앉은 성령의 비둘기 또는 어린아이 모습을 한 그리스도 등을 배치하고 각종 상징들을 더하였다. 안젤리코Fra Angelico(c.1395~1455)의 피렌체, 산 마르코 수도원 벽화는 수태고지의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