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진, 한대 미술

진, 한대 미술 秦漢代美術

진秦(기원전 221~201)은 매우 단명한 왕조였지만, 전대까지의 중국 건축을 총괄하여 새로운 진대(秦代) 건축을 창시했다. 수도는 위수渭水의 북쪽에 세운 함양성咸陽城이었다. 위수의 남쪽에는 상림원上林苑을 설치하고, 그 안에 아방궁阿房宮을 건축하였다. 또한 진은 여산驪山의 북쪽 기슭에 대규모의 시황제始皇帝의 수릉壽陵을 축조하고 만리장성의 대토목공사를 하였다. 시황제가 기원전 210년에 죽고 그의 아들 호해胡亥가 기원전 207년 암살됨에 따라 진나라는 종말을 고하게 되었다.
한漢은 유방劉邦(재위 기원전202~195)이 세운 왕조로서 전한前漢(기원전 202~서기 8)과 후한後漢(25~220)으로 구분되며, 그 중간에 신新(9~23)이라는 나라가 존재했다. 전한은 장안長安에 도읍을 정하여 무제武帝(재위 기원전141~87) 때 가장 국력이 신장하였다. 이 때에 흉노를 정벌하여 장건張騫의 원정에 따라 서역과의 교역로가 열렸고 한반도에 사군(四郡)을 두었고 멀리 남월남까지도 세력을 뻗쳤다.
후한은 낙양洛陽에 도읍하고 유교 국가의 형성을 이념으로 하였다. 서역과의 관계는 반초班超 등의 경영으로 단속적으로 유지되었다. 그리고 명제明帝(재위 57~75)때 불교가 전래된 것으로 보인다.
건축:한은 진이 개척해 놓은 것을 이어받고, 장안성을 쌓아 수도로 삼았다. 장안에는 〈장락궁長樂宮〉 〈미앙궁未央宮〉 〈건장궁建章宮〉 등을 건축하였다. 또한 유교의 의식용 건물인 명당의 흔적도 보인다. 건축 유구로는 전, 후한의 분묘의 묘실, 사당, 석궐 등이 있다.
능묘:전한 시기 황제들의 능은 문제文帝의 〈패릉覇陵〉과 선제宣帝의 〈두릉杜陵〉이 서안의 동남쪽에 있고, 나머지 9릉은 위수 북안의 구릉일대에 산재한다. 이들 능은 모두 수릉(壽陵)으로 방대형(方臺形)의 분구를 가지고 있으며 황후와 나란히 안장되었다.
후한의 12릉은 광무제光武帝의 <원릉原陵>이 하남성 맹진현에 있는 것 이외는 모두 낙양 북쪽 교외의 망산邙山에 있다. 후한의 묘는 전한의 능제를 따른 것이며, 보다 작은 규모이다. 방분(方墳)이외에 원분도 있다 망산 남록에 위치한 소구燒溝에는 무제 시대부터 후한 말까지 왕후 귀족들의 전곽묘(塼槨墓) 200여기가 있다.
이들 묘에서 벽화, 도제 명기(陶製明器), 청동기, 옥기* 등 현존하는 한대 미술품의 대부분이 출토된 바 있다. 이외에 칠기와 백화*(帛畵), 백서 등이 주로 출토되었으며 수혈식목곽묘(竪穴式木槨墓)인 호남성 장사長沙의 마왕퇴1, 3호묘(馬王堆1, 3號墓, 기원전180 이후)와 청동기류가 많이 출토된 횡혈식 애묘(崖墓)인 하북성河北省 만성滿城의 중산정왕묘中山靖王墓(기원전 113)가 중요하다. 그리고 화북의 각지와 사천성四川省에는 화상석*(畵象石), 화상전*(畵像塼)과 벽화 분묘가 산재한다.
공예:도기는 전대이래 회도(灰陶)가 주류였으나 고화도에 의한 경질(硬質)이 보급되었고 또한 회유도가 남부 지방에서 발달하여 녹유, 갈유로서 주로 명기류에 쓰였다. 명기 이외에 채화도(彩畵陶)가 있으며, 홍도*나 흑도*도 있다. 청동기로는 전한시기에 전국식 검(戰國式劍)이 제작되었고, 각종 용기, 훈로(薰爐), 등(燈) 등이 있었다. 옥기로는 죽은 자가 몸에 지니고 매장되는 각종 장옥(葬玉)이나 실용과 장신구를 겸한 패옥(佩玉)이 성행하였다.
또한 서방으로부터 유리가 들어와 연옥의 대체품으로 장신구나 상감*에 쓰였다. 칠기는 전국시대 초楚의 기법을 이어받은 이배(耳杯), 각종 식기(食器) 등이 장사의 한묘에서 다수 출토되었다. 전한 후기, 후한 전기시대에는 촉나라 광한군廣漢郡의 관영공방(官營工房)에서 만들어진 것이 평양의 낙랑군 유적, 몽골 노인울라의 흉노묘, 귀주성貴州省 귀양貴陽의 청진淸鎭, 평파坪坡 ,한묘漢墓 등 한의 변경지대에서 출토되었다.
서예:장사 마왕퇴묘 출토의 죽간*(竹間), 백서, 산동성山東省 임기현 은작산묘에서 출토된 죽간 등에서 예서*(隸書)를 볼 수 있다. 또한 묘총(墓塚)에 돌비석을 세우는 풍습은 후한에서 비롯되어 비의 형식이 이루어졌다. 비의 서체*는 초기의 고예*(古隸)로부터 후기의 파책이 있는 팔분*으로 발달하였다.

진경산수

진경산수 眞景山水

조선 후기 정선鄭敾(1676~1759)에 의해 형성된 화풍을 말한다. 우리나라에 실재하는 경관의 사생에 주력하여 정선 특유의 화풍으로 발전시킨 산수화*이다. 이 화풍은 조선 후기의 화원(畵員)들 사이에서 한때 널리 추종되었다.

→ ‘정선파’ 참조

진묘수

진묘수 鎭墓獸
zhen-mu-shou(중)

중국에서 묘(墓) 속에 놓아 두는 신상*(神像)으로 주로 짐승형태를 하고 있다. 묘(墓)에 악영향을 미치는 악령을 내쫓을 목적을 지닌 것으로, 전국시대의 초묘(楚墓)에서 다수 출토되었다. 시기마다 형태가 다른데 초楚나라의 진묘수 중에서 초기의 것은 비교적 간단하여 얼굴에 오관(五官)이 없고 중기가 되면 복잡해져서 머리가 둘이 되고 호랑이의 얼굴에 오관을 구비했으며 구불구불한 목과 몸을 가진 것이 나타난다.
후기가 될수록 대체로 얼굴은 비교적 선하고 사람얼굴과 비슷해지기도 하지만, 공통된 특징은 머리에 꽂힌 사슴뿔과 방형(方形)의 대좌* 위에 위치한다는 점이다. 대부분 진묘수는 채색이나 칠(漆)이 되어있고 문양은 기이해서 신비함을 더한다.
이러한 진묘수는 초나라 신화 중에서 명부군주(冥府君主)인 토백(土伯)과 관련이 있다. 한대(漢代)부터 육조(六朝)시대의 묘에서 출토되는 토용(土俑)의 벽사(辟邪), 당唐나라 묘에서 출토되는 무서운 얼굴을 가진 짐승형 또는 인면수신(人面獸身)의 삼채용 등이 이에 해당하고 백제의 〈무녕왕릉〉에서도 출토되었다.

진사

진사 辰砂

적색 계통의 광물성 안료. 명칭은 산지였던 중국 호남성湖南省 북서부에 있는 진주辰州에서 유래되었다. ‘주사(朱砂)’ ‘단사(丹砂)’ ‘단주(丹朱)’라고도 한다. 세계 각지에서 고대로부터 쓰였고 동양에서는 화구(畵具) 외에 주칠(朱漆)이나 인주(印朱)로도 쓴다.
도자기의 안료로는 구리를 넣어 무늬를 그리는 데 사용하며, 무늬 위에 투명유를 발라 환원번조(還元燔造)하면 홍색으로 발색되는데 이를 ‘진사자기’라고 한다. 진사자기는 처음으로 12세기부터 한국에서 고려청자*에 사용하기 시작하였고 원, 명대(元明代)의 유리홍(釉裏紅)과 청대(淸代) 낭요(郎窯)의 우혈홍(牛血紅) 자기 등에 사용되었다.

진사채청자

진사채청자 辰砂彩靑磁

→ ‘고려청자’ 참조

진서

진서 眞書

→ 해서

진전

진전 秦篆

→ 소전

진채

진채 眞彩

→ 석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