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신사

신사 神寫

대상에 내재되어 있는 정신성을 표현해 내는 것. 형사*(形似)와 대비되는 동양회화 용어이다. 직역하면 ‘정신의 닮음’이다. 훌륭한 그림은 본래 형사와 신사가 통일되어야 하는데 ‘형(形)’과 ‘신(神)’ 중에서 어느 것이 더 중요한가 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시대마다 그 입장이 달랐다.
중국 춘추(春秋)시대로부터 양한대(兩漢代)까지는 형사를 더 중시했다. 그러나 동진東晋(317~420)의 고개지顧愷之(꾸 카이즈, 346~407)가 전신*론을 제시하면서부터 신사가 중시되기 시작했다. 아울러 그는 전신을 획득하는 방법으로 ‘이형사신(以形寫神;형상으로 정신을 그린다)’을 주장하였다. 따라서 남북조(南北朝)에서 수隨, 당唐에 이르는 동안은 ‘형’과 ‘신’이 함께 중시되었다.
송대(宋代)에 이르러서는 문인화*론의 발달로 신사가 더욱 중시되었다. 신사는 문인화의 이론이 정착되면서 회화 비평의 중요한 기준이 되었다. 북송北宋의 소식蘇軾(쑤 스, 1036~1101)은 “형사로써 그림을 논하는 것은 어린 아이의 견해와 같다”고 말했다. 원문袁文(위앤 원)은 “그림을 그릴 때 형의 묘사는 쉽지만 신의 묘사는 어렵다. 형이란 그 형체(形體)요, 신이란 그 신채(神彩)이다. 무릇 사람의 형체란 그림을 배우는 사람이면 모두 그려낼 수 있지만, 신채에 이르면 스스로 남을 앞지르지 못하면 표현해낼 수 없는 것이다”고 말했다. 그러나 진정한 신사는 형신겸비(形神兼備)를 통해서 얻어질 수 있다.
북송의 황휴복黃休復(후앙 시어우후, 10세기말~11세기초)은 육법*을 논하면서, “오직 형사와 기운(氣韻) 이 두 가지를 먼저 내세워야 한다. 기운은 있는데 형사가 없으면 바탕(質)이 무늬(文)를 앞서게 되고, 형사는 있는데 기운이 없으면 화려하지만 내용은 사라져 버린다”고 하였다. 여기서 ‘기운’이란 곧 ‘신사’이다. 조이도晁以道(츠아오 이따오), 양신楊愼(양 선) 등도 “그림이란 그저 형상만 그리는 것이 아니라 바로 형신(形神)을 함께 있도록 하여야 한다”고 했다.

신사실주의

신사실주의 新寫實主義
New Realism(영)

신사실주의는 이미 1962년에 미국과 프랑스에서 팝 아트*를 달리 부르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 용어는 미국에서 팝 아트의 의미로는 널리 통용되지 못했고 대신 새로운 형태의 사실주의*를 의미하기 시작했다. 전통적인 사실주의는 인본주의적인 내용을 지녔고, 관찰한 실재 사물을 사실로 착각하도록 묘사했으며, 추상*에서 나온 평면적인 화면공간을 배격하였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뉴리얼리즘은 1950년대를 장악한 추상표현주의*에서 근본적으로 탈피한 미술임에도 불구하고 평면화된 공간, 거대한 캔버스*, 모더니즘* 회화의 단순화된 색채사용 등의 특징을 받아들였다.
신사실주의는 너무나 포괄적인 용어이기 때문에 추상표현주의나 미니멀리즘을 추상으로 분류하는 식과 마찬가지로 신사실주의를 구상*이라고 간단히 정의하는 방법 외에는 정확한 의미를 규정지을 수 없다. 신사실주의는 포터Fairfield Porter의 평화스러운 풍경에서부터 닐Alice Neel의 교묘하게 내면을 드러내는 심리학적 초상화*, 그리고 펄스타인Philip Pearlstein(1924~ )의 추상화된 누드화에서부터 베크먼William Beckman의 지적인 자화상*에 이르기까지 여러 형태로 나타났다. 또 신사실주의란 용어는 비제스처적이거나 비표현적으로 물감을 다루는 기법을 의미하며, 이로써 표현대상의 외형을 충실히 전달하려는 경향을 보였다.